메타버스의 개념 및 동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메타버스의 개념 및 동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메타버스의 개념
2. 메타버스의 동향
3. 결론 :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용을 줄이면서 다양한 콘텐츠를 확보할 수 있고, 개인들에게는 새로운 창업/부업의 기회가 생길 수 있다. 이미 로블록스에는 700만명의 개발자가 있으며, 제페토에는 누적 창작자만 6만명에 이른다. 유튜브 플랫폼이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통해 성장하면서 유튜버(Youtuber)/인플루언서(Influencer) 등 새로운 직업군을 창출한 것처럼, 메타버스 플랫폼에서도 사용자의 직접 참여를 통한 새로운 변화와 기회가 기대된다.
<그림-1> 메타버스를 활용한 업무 수행 예시
출처 : 한상렬(2021)에서 발췌 및 인용
3. 결론 : 시사점
본 리포트에서는 미래 사업으로 부각되고 있는 메타버스에 대한 이해도를 제고하고자 메타버스에 대한 동향을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보았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에서 메타버스가 지속적으로 미래 성장 사업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정부는 기업과 개인들이 메타버스 플랫폼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메타버스 관점에서 공공분야 혁신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메타버스 플랫폼 공간에서의 창업 지원, 보유 IP의 메타버스 전환, 메타버스 1인 창업자/창작자 지원 등 메타버스 시대에 적합한 정책지원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공공 서비스 측면에서는 정부, 교육, 행정, 의료 등 다양한 공공 분야에서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혁신방안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 공공 서비스를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구현한다면 이용자 시공간적 한계를 벗어나 직관적이고 편리한 서비스 구현이 가능해질 수 있다. 가령, 메타버스 공간에 시청·구청 등 가상 행정기관이 생긴다면 이용자는 아바타를 이용해 오프라인에서처럼 자신이 필요한 민원 구역에 찾아가 기관 아바타와 대화하거나 필요한 정보를 찾아볼 수 있다. 도서관은 메타버스 플랫폼에 가상 도서관을 구축하여 이용자에게 실제 도서관을 방문한 듯한 몰입감과 새로운 열람 경험 제공이 가능해질 것이다. 비대면 교육 격차, 지리적 격차에 따른 지방소외 등 시공간적 제약이 주요 원인인 사회적 이슈 대응 차원의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 방안도 구상해 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면서 리포트를 마무리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한상렬(2021), 메타버스 플랫폼 현황과 전망, 과학기술정책연구원, FUTURE HORIZONFuture Horizon: 2021 제49호, pp.19 24
이병권(2021), 한국콘텐츠학회한국콘텐츠학회지,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9권 제1호. 2021, PP.13-17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2.05.02
  • 저작시기202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682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