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사랑의 정의
2. 사랑의 요소
1) 친밀감
2) 열정
3) 결심/헌신
3. 사랑과 관련된 심리학적 이론
1) Sternberg의 사랑의 삼각형
2) Zick Rubin의 호감과 사랑
3) Elaine Hatfield의 동정심 대 열렬한 사랑
4) Bowlby의 사랑의 애착이론
4. 본인의 삶에 적용하여 배운 점과 느낀 점(본인의 경험을 중심으로)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사랑의 정의
2. 사랑의 요소
1) 친밀감
2) 열정
3) 결심/헌신
3. 사랑과 관련된 심리학적 이론
1) Sternberg의 사랑의 삼각형
2) Zick Rubin의 호감과 사랑
3) Elaine Hatfield의 동정심 대 열렬한 사랑
4) Bowlby의 사랑의 애착이론
4. 본인의 삶에 적용하여 배운 점과 느낀 점(본인의 경험을 중심으로)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관계에서 문득 평시와 다른 것을 느끼기 시작했다. 그 후 친밀감과 결심이 없는 사랑이 무엇인지 알았다. 나는 친구의 사촌 누나가 첫경험을 한 여자이기에 그녀와의 교감이나 성적이 결합이 사랑의 전부인 줄 알았으며 내 열정만 쏟아부으면 친밀감과 결심 그런 건 필요없는 줄 알았다. 그래서 당신 내가 그녀를 향한 열정이 그녀와의 사랑을 굳게 해주는 줄 알았다. 하지만 남자 경험이 있던 친구의 사촌 누나는 그냥 동생 치구에 대한 호기심 그리고 성적인 욕구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남자 정도로 나를 생각하고 있었던 것이다. 위에서도 말했지만, 친밀감을 쌓을 기회도 없어고 결심이나 헌신을 생각할 겨룰도 없이 뜨겁게 달아오르기만 했다. 이성교제에 대한 경험이 없던 나는 그것이 참사랑인 줄 알았다. 결국 친밀감도 없고 결심이나 헌신도 없이 육체적으로 타오르다가 식어버린 후에는 아무것도 남지 않고 내 마음에 상처만 남은 사랑이었다. 즉, 친구 사촌 누나의 욕망의 대상이었을 뿐이었다. 여기서 배운 것은 갑자기 뜨겁게 타오르는 사랑보다는 친밀감을 통해 서로의 관계를 단단하게 하면서 사랑을 키워나가는 것이 좋다는 것ㅇㄹ 배웠다. 남녀 간의 사랑에 열정만으로 이루지는 사랑은 친밀감, 결심/헌신의 요소가 결여된 열정적 흥분만으로 이루어진 사랑이다. 이는 지속하기 힘든 사랑이라는 것이다.
앞으로는 친밀감과 열정 요소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낭만적 사랑을 하고 싶다.
Ⅲ. 결론
사랑은 인간의 성장과 발달에 있어 중요한 요소이며, 인간의 관계 확장과 형성에도 기여하는 요소인데 사랑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다. 사랑은 온 인류의 최대 관심을 받으면서 여러 분야에서 회자가 되어 왔다. 이런 사랑은 인간관계에서 경험할 수 있는 가장 행복하고 오묘한 감정으로 때로는 가장 황홀하면서도 때로는 가장 고통스러운 체험이기도 하다. 사랑은 기쁨과 슬픔, 환희와 고통, 행복과 불행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여러 가지 복합적인 심리적 요소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다차원적인 요인을 가진다. 사랑의 요소에는 친밀감, 열정, 결심/헌신이 있다. 친밀감은 서서히 뜨거워지며, 상대방이 편안하고, 잘 이해되는 것으로 이에 따라 친밀감으로 인해 의사소통이 원활하고, 지지와 인정 또한 긍정적이다. 이를 따뜻한 사랑 즉, 친밀감이란 사랑의 정서적 측면으로 따뜻함(WARM)이다. 그리고 열정은 욕망이다. 열정은 생리적 흥분을 동반해서 성적인 결합을 통해 일체가 되고 싶은 강렬한 욕망으로 드러난다. 다라서 열정은 사랑의 동기적 측면이다. 열정은 급격하게 발전하지만 오래 지속되기가 어렵다. 또한, 결심/헌신은 사랑의 약속으로 사랑의 유지를 위한 약속이며 책임의식이다. 헌신이 가장 필요한 경우는 결혼 이후의 삶이다. 헌신이란 사랑의 인지적 측면이며 온도는 차가움(COLD)이다. 사랑의 맹세, 사랑의 징표 교환, 약혼이나 결혼 등은 서로가 서로에게 헌신하겠다는 약속이다. 사랑과 관련된 심리학적 이론에는 Sternberg의 사랑의 삼각형 이론, Zick Rubin의 호감과 사랑, Elaine Hatfield의 동정심 대 열렬한 사랑 등 다양하게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Ⅳ. 참고문헌
하혜숙·정환욱(2015), 청소년 성교육과 성상담, KNOUPRESS
공용(2017), 사랑의개론, 남녀간의 사랑의 시작과 끝
청소년의 사랑 “감춰진 10대의 이성교제”- 청소년상담문제보고서 57,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3
곽금주(2013), 현대 청소년의 이성교제 문화,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김동식, 낭만적 사랑의 의미론, 문학과 사회, 2001
변혜정(2014), 청소년의 건강증진을 위한 성교육정책의 방향, 한국모자보건학회지 제18권 제1호
앞으로는 친밀감과 열정 요소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낭만적 사랑을 하고 싶다.
Ⅲ. 결론
사랑은 인간의 성장과 발달에 있어 중요한 요소이며, 인간의 관계 확장과 형성에도 기여하는 요소인데 사랑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다. 사랑은 온 인류의 최대 관심을 받으면서 여러 분야에서 회자가 되어 왔다. 이런 사랑은 인간관계에서 경험할 수 있는 가장 행복하고 오묘한 감정으로 때로는 가장 황홀하면서도 때로는 가장 고통스러운 체험이기도 하다. 사랑은 기쁨과 슬픔, 환희와 고통, 행복과 불행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여러 가지 복합적인 심리적 요소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다차원적인 요인을 가진다. 사랑의 요소에는 친밀감, 열정, 결심/헌신이 있다. 친밀감은 서서히 뜨거워지며, 상대방이 편안하고, 잘 이해되는 것으로 이에 따라 친밀감으로 인해 의사소통이 원활하고, 지지와 인정 또한 긍정적이다. 이를 따뜻한 사랑 즉, 친밀감이란 사랑의 정서적 측면으로 따뜻함(WARM)이다. 그리고 열정은 욕망이다. 열정은 생리적 흥분을 동반해서 성적인 결합을 통해 일체가 되고 싶은 강렬한 욕망으로 드러난다. 다라서 열정은 사랑의 동기적 측면이다. 열정은 급격하게 발전하지만 오래 지속되기가 어렵다. 또한, 결심/헌신은 사랑의 약속으로 사랑의 유지를 위한 약속이며 책임의식이다. 헌신이 가장 필요한 경우는 결혼 이후의 삶이다. 헌신이란 사랑의 인지적 측면이며 온도는 차가움(COLD)이다. 사랑의 맹세, 사랑의 징표 교환, 약혼이나 결혼 등은 서로가 서로에게 헌신하겠다는 약속이다. 사랑과 관련된 심리학적 이론에는 Sternberg의 사랑의 삼각형 이론, Zick Rubin의 호감과 사랑, Elaine Hatfield의 동정심 대 열렬한 사랑 등 다양하게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Ⅳ. 참고문헌
하혜숙·정환욱(2015), 청소년 성교육과 성상담, KNOUPRESS
공용(2017), 사랑의개론, 남녀간의 사랑의 시작과 끝
청소년의 사랑 “감춰진 10대의 이성교제”- 청소년상담문제보고서 57,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3
곽금주(2013), 현대 청소년의 이성교제 문화,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김동식, 낭만적 사랑의 의미론, 문학과 사회, 2001
변혜정(2014), 청소년의 건강증진을 위한 성교육정책의 방향, 한국모자보건학회지 제18권 제1호
키워드
추천자료
심리학이란 무엇인가
(인간과심리 공통) 이제껏배운심리학이론과 관련된 최근의 사례(뉴스기사)를 찾아 그 심리학...
시민 교육론 - 2009 개정 고등학교 도덕교과서 민본주의와 민주주의 단원 분석
[사회문제론 C형] 교재 3장의 내용을 참조하면서 우리 사회에서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대학 ...
(사회문제론 C형) 교재 3장의 내용을 참조하면서 우리 사회에서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대학 ...
보육과정의 이론적 기초 중 철학적 기초에 대해서 서술하고, 자신의 아동관에 대한 자신의 생...
2022년 1학기 청소년성교육과성상담 기말시험 과제물(사랑의 정의, 사랑의 요소 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