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교재 11장(평화와 전쟁)의 핵심 내용
3.교재 15장(세계시민의 연대와 공동행동)의 핵심 내용
4.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부터 발생한 전쟁의 발생과 진행 과정
5.교재의 내용을 바탕으로 이번 전쟁에 대한 이해
6.국제 평화를 위한 노력
7.결론
8.참고자료
2.교재 11장(평화와 전쟁)의 핵심 내용
3.교재 15장(세계시민의 연대와 공동행동)의 핵심 내용
4.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부터 발생한 전쟁의 발생과 진행 과정
5.교재의 내용을 바탕으로 이번 전쟁에 대한 이해
6.국제 평화를 위한 노력
7.결론
8.참고자료
본문내용
을 끝내기 위해서는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시민들, 그리고 전세계인의 저항이 중요하다. 이미 수천의 러시아 시민들이 반전시위 중 체포되고 있고 사회 각계 각층의 다양한 반전의 메시지들이 발표되고 있다.
걱정스러운 것은 군복을 입은 젤렌스키 대통령이나 무장을 하고 있는 우크라이나 사람들의 모습이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결과는 생각과는 정반대가 될 가능성이 크다. 군사적 충돌은 푸틴이 가장 강한 분야이다. 더 많은 비무장 시민저항을 지지, 지원해야 전쟁 종식과 국제 평화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7. 결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부터 발생한 전쟁은 아시아에서 현상 변경을 추구하고 있는 중국에 복합적인 메시지를 줄 것으로 보이며 우리나라에 시사하는 바도 있다.
우리 또한 상황 전개에 따라 예민하고 신속한 반응을 보일 필요가 있으며, 우크라이나의 분단으로 귀결되는 해결 방안에 대해서는 환영하지 않는 입장에 서야 할 것이고, 수출주도형의 우리 경제는 체제와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군과의 공급망/판매망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한미동맹의 신뢰도를 한층 강화하고 북한과의 비핵화 협상 전략을 새롭게 정비해야 할 것이다.
과거 어느 시기보다 전략적 모호성의 위험성이 큰 시대가 되었다. 모든 사안에 대한 우리 입장은 우리나라의 정체성과 헌법 정신을 바탕으로 수립해야 할 것이다. 일본의 정상 국가화 움직임도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되므로ㅍ한일관계의 재정립을 통해 양국 간 협력의 공간을 확장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도 이번 전쟁은 시사한다.
8. 참고자료
채인택(2022) 우크라이나 전쟁이 보여준 유엔 무능력과 러시아 미래. 이코노미스트
고형규, 2015, 연합뉴스. 우크라이나사태가 냉전 후 최대 위기인 6가지 이유
장세호(2022)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분석과 전망: 러시아의 인식, 목표, 전략, March 2022. No. 159
김원일, 2014. 뉴시스. 우크라이나사태, 러시아 그리고 한국
남보람(2021). 러시아의 영토확장 행동에 대한 나토와 미국의 군사적 대응 연구: 2008년 러시아-조지아 전쟁, 2014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중심으로. 한국과 국제정치 37권 4호
백민경. 2014. 서울신문, 美·러, 우크라 강대강 대치신냉전 시대 오나
조영원, 2022, 매일경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푸틴은 왜 우크라이나를 원하는가
김영준(2016) 푸틴의 전쟁과 러시아 전략사상, 국가전략
걱정스러운 것은 군복을 입은 젤렌스키 대통령이나 무장을 하고 있는 우크라이나 사람들의 모습이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결과는 생각과는 정반대가 될 가능성이 크다. 군사적 충돌은 푸틴이 가장 강한 분야이다. 더 많은 비무장 시민저항을 지지, 지원해야 전쟁 종식과 국제 평화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7. 결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부터 발생한 전쟁은 아시아에서 현상 변경을 추구하고 있는 중국에 복합적인 메시지를 줄 것으로 보이며 우리나라에 시사하는 바도 있다.
우리 또한 상황 전개에 따라 예민하고 신속한 반응을 보일 필요가 있으며, 우크라이나의 분단으로 귀결되는 해결 방안에 대해서는 환영하지 않는 입장에 서야 할 것이고, 수출주도형의 우리 경제는 체제와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군과의 공급망/판매망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한미동맹의 신뢰도를 한층 강화하고 북한과의 비핵화 협상 전략을 새롭게 정비해야 할 것이다.
과거 어느 시기보다 전략적 모호성의 위험성이 큰 시대가 되었다. 모든 사안에 대한 우리 입장은 우리나라의 정체성과 헌법 정신을 바탕으로 수립해야 할 것이다. 일본의 정상 국가화 움직임도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되므로ㅍ한일관계의 재정립을 통해 양국 간 협력의 공간을 확장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도 이번 전쟁은 시사한다.
8. 참고자료
채인택(2022) 우크라이나 전쟁이 보여준 유엔 무능력과 러시아 미래. 이코노미스트
고형규, 2015, 연합뉴스. 우크라이나사태가 냉전 후 최대 위기인 6가지 이유
장세호(2022)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분석과 전망: 러시아의 인식, 목표, 전략, March 2022. No. 159
김원일, 2014. 뉴시스. 우크라이나사태, 러시아 그리고 한국
남보람(2021). 러시아의 영토확장 행동에 대한 나토와 미국의 군사적 대응 연구: 2008년 러시아-조지아 전쟁, 2014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중심으로. 한국과 국제정치 37권 4호
백민경. 2014. 서울신문, 美·러, 우크라 강대강 대치신냉전 시대 오나
조영원, 2022, 매일경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푸틴은 왜 우크라이나를 원하는가
김영준(2016) 푸틴의 전쟁과 러시아 전략사상, 국가전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