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전자기파는 구멍이 더 커야 통과할 수 있다.
(4) 전자기파를 반사시키는 알루미늄 박막은 전자기파를 차단하는 용도 외에도, 전자기파를 사방으로 흩트리지 않고 특정한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만드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두 개의 스마트 폰을 적당히 떨어뜨린 후, 그 사이에 적정한 형태로 알루미늄 박막을 설치하여, 그 전보다 블루투스 신호의 세기가 증가하도록 만들어보라. 어떤 형태로 설치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가?
휴대폰 두 개 사이에 거리를 두고, 알루미늄 박막을 두 휴대폰을 모두 감싸도록 둥글게 만들어서 설치하였더니 신호의 세기가 증가했다.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알루미늄 박막을 타원 형태로 설치하는 것이다. 한 초점에는 신호를 보내는 휴대폰를 두고 나머지 초점에는 신호를 받는 휴대폰을 두면 송신된 신호가 반사되어 다른 초점을 향하기 때문에 신호가 집중될 수 있기 때문이다.
Discussion
이번 실험에서는 전자기파의 투과와 전파의 특성을 이용하여 거리에 따른 휴대폰 전자기파 세기를 측정해봄으로써 전자기파에 대해 알아보았다. 휴대폰으로는 측정이 잘 되지 않아서 우리 조는 한 개의 아이패드와 한 개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두 모바일 기기의 거리를 0.2m씩 늘려가면서 전자기파를 측정했다. 이론에 따르면 두 기기의 거리가 점점 멀어질수록 전자기파의 절댓값 또한 점점 증가해야하는데, 우리가 측정값은 감소했다가 증가했다가를 반복했다. 조원들과 문제점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눠본 결과, 어플에서 새로고침을 한 후에 조금 기다렸다가 전자기파 측정을 해야한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피드백 후에, 다시 처음부터 실험을 진행하였더니 이론에 따라 거리에 따라 전자기파의 절댓값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실험을 통해, 휴대폰의 전자기파는 일반적으로 빛보다 파장이 길어서 회절이 잘 일어나기 때문에 빛이 통과할 수 없는 종이 두께만큼도 투과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하지만 전자기파의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바늘구멍만 있어도 통과할 수 있는 빛과 달리 전자기파는 그것보다는 더 큰 구멍이 있어야 통과할 수 있다는 것도 새롭게 알게 되었다.
실험 2-(4)에서 타원의 초점에 휴대폰을 각각 두고 실험을 했으면 좋았을텐데, 그 방법을 실험 후에 알게 되어 직접 실험을 해보지 못한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다음 실험부터는 실험에 대한 사전 조사를 열심히 해서 이번과 같은 아쉬움이 남지 않도록 직접 실험을 꼭 해보아야겠다.
(4) 전자기파를 반사시키는 알루미늄 박막은 전자기파를 차단하는 용도 외에도, 전자기파를 사방으로 흩트리지 않고 특정한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만드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두 개의 스마트 폰을 적당히 떨어뜨린 후, 그 사이에 적정한 형태로 알루미늄 박막을 설치하여, 그 전보다 블루투스 신호의 세기가 증가하도록 만들어보라. 어떤 형태로 설치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가?
휴대폰 두 개 사이에 거리를 두고, 알루미늄 박막을 두 휴대폰을 모두 감싸도록 둥글게 만들어서 설치하였더니 신호의 세기가 증가했다.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알루미늄 박막을 타원 형태로 설치하는 것이다. 한 초점에는 신호를 보내는 휴대폰를 두고 나머지 초점에는 신호를 받는 휴대폰을 두면 송신된 신호가 반사되어 다른 초점을 향하기 때문에 신호가 집중될 수 있기 때문이다.
Discussion
이번 실험에서는 전자기파의 투과와 전파의 특성을 이용하여 거리에 따른 휴대폰 전자기파 세기를 측정해봄으로써 전자기파에 대해 알아보았다. 휴대폰으로는 측정이 잘 되지 않아서 우리 조는 한 개의 아이패드와 한 개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두 모바일 기기의 거리를 0.2m씩 늘려가면서 전자기파를 측정했다. 이론에 따르면 두 기기의 거리가 점점 멀어질수록 전자기파의 절댓값 또한 점점 증가해야하는데, 우리가 측정값은 감소했다가 증가했다가를 반복했다. 조원들과 문제점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눠본 결과, 어플에서 새로고침을 한 후에 조금 기다렸다가 전자기파 측정을 해야한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피드백 후에, 다시 처음부터 실험을 진행하였더니 이론에 따라 거리에 따라 전자기파의 절댓값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실험을 통해, 휴대폰의 전자기파는 일반적으로 빛보다 파장이 길어서 회절이 잘 일어나기 때문에 빛이 통과할 수 없는 종이 두께만큼도 투과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하지만 전자기파의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바늘구멍만 있어도 통과할 수 있는 빛과 달리 전자기파는 그것보다는 더 큰 구멍이 있어야 통과할 수 있다는 것도 새롭게 알게 되었다.
실험 2-(4)에서 타원의 초점에 휴대폰을 각각 두고 실험을 했으면 좋았을텐데, 그 방법을 실험 후에 알게 되어 직접 실험을 해보지 못한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다음 실험부터는 실험에 대한 사전 조사를 열심히 해서 이번과 같은 아쉬움이 남지 않도록 직접 실험을 꼭 해보아야겠다.
추천자료
한양대학교 일반물리실험 예비레포트 및 시험문제
[일반물리학실험Ⅱ] 30장. 조화파의 합성 (결과레포트)
일반물리학실험 결과레포트 - 포물선운동
[물리][물리학][물리학자][물리영재][물리 관련 공식][물리 관련 직업][지구물리탐사][국제물...
[방사선][방사선의 투과검사][방사선 인체영향][방사선 산업적 이용]방사선의 종류, 방사선의...
마이켈슨간섭계 실험
[일반물리학실험] (결과) 교류회로 : 저항 및 축전기로 구성된 직렬 R-C회로에서 교류전압과 ...
[실험] 전기저항 (옴의 법칙 및 다이오드 특성)
일반물리학 실험 - 자유낙하(Drop-Shot) 실험
일반물리학실험보고서-전자측정연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