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 임신중절이란
2. 본론 - 1) 윤리적 물음, 2) 자기성찰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 1) 윤리적 물음, 2) 자기성찰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것이 더욱 어렵게 느껴졌다. 앞으로 임신중절이라는 이 문제에 대해서 더 생각해보며 현재 나와있는 여러 입장들에 대해서도 더 찾아보고 그 입장들에서 생각해봐야겠다고 다짐했다. 생명의 존엄성을 머리에 새기며 항상 신중한 간호사가 되어야 겠다.
IV. 결론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임신중절에 관한 많은 기사와 의견들을 접할 수 있었다. 기사를 읽다가 한국이 OECD 국가 중에서 낙태율이 1위라는 기사도 볼 수 있었다. 한국은 지금 낙태가 불법인 상황인데 1위를 차지하게 됐다. 그만큼 불법으로 시술을 하는 의사들이 많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을 개인의 문제라고 보기 보다는 여러 사회적 문제에 대해서도 생각해봐야 할 것 같다고 느꼈다. 지금 사회가 한 아기에 대한 책임이나 의무가 너무 여자에게만 있지 않은지, 아이를 낳음으로써 직장에서 여자에게 대하는 태도나 제도등을 먼저 집어보아야 할 것 같다.
이중효과의 원리는 기본 행위 자체가 선한 것이어야 하고 행위의 선한 효과가 악한 효과보다 앞서야 하며 행위의 의도 자체가 선한 것이어야 한다. 또한 선한 효과가 악한 효과보다 당사자에게 더 이익이 되는 경우에 그 행위가 악한 결과를 수반하더라도 정당화 될 수 있는 것이 이중효과의 원리이다. 임신중절에 관해서도 이 원리가 적용이 되는지 알아봐야 할 것 같다.
친구들과 이 문제에 대하여 이야기를 나눠 보았다. 지금 주변 친구들과 얘기하는 것만으로도 다양한 의견이 나왔고 많은 의견 충돌들이 있었다. 얘기를 계속 나누다 보니 갑자기 앞으로도 이 문제가 금방 해결이 되지는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더 많은, 끊임없는 의견 충돌이 발생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렇기에 우리는 인격성의 문제나 임신중절에 관한 다양한 윤리적 문제에 대해서 신중하게 계속해서 생각 할 필요가 있다고 느꼈으며 또 많은 대화를 나눠야 할 것 같다고 생각했다. 지금까지 세 가지 주요한 입장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세 가지 입장이 모두 다르기에 합의점을 찾기 어려운 것 같다. 그 입장들 속에서 절충안을 찾아내 올바른 해답을 내는 것이 빠른 해결을 위한 길이라고 생각을 했고 그렇기에 우리 모두는 여러 윤리적 물음과 문제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야 한다.
V. 참고문헌
남문희 외 2인, 『최신 전문직과 간호윤리』, 수문사, 2021, 109-111, 170-174
권복규 외 1인, 『생명 윤리와 법』,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9, 81-92
IV. 결론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임신중절에 관한 많은 기사와 의견들을 접할 수 있었다. 기사를 읽다가 한국이 OECD 국가 중에서 낙태율이 1위라는 기사도 볼 수 있었다. 한국은 지금 낙태가 불법인 상황인데 1위를 차지하게 됐다. 그만큼 불법으로 시술을 하는 의사들이 많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을 개인의 문제라고 보기 보다는 여러 사회적 문제에 대해서도 생각해봐야 할 것 같다고 느꼈다. 지금 사회가 한 아기에 대한 책임이나 의무가 너무 여자에게만 있지 않은지, 아이를 낳음으로써 직장에서 여자에게 대하는 태도나 제도등을 먼저 집어보아야 할 것 같다.
이중효과의 원리는 기본 행위 자체가 선한 것이어야 하고 행위의 선한 효과가 악한 효과보다 앞서야 하며 행위의 의도 자체가 선한 것이어야 한다. 또한 선한 효과가 악한 효과보다 당사자에게 더 이익이 되는 경우에 그 행위가 악한 결과를 수반하더라도 정당화 될 수 있는 것이 이중효과의 원리이다. 임신중절에 관해서도 이 원리가 적용이 되는지 알아봐야 할 것 같다.
친구들과 이 문제에 대하여 이야기를 나눠 보았다. 지금 주변 친구들과 얘기하는 것만으로도 다양한 의견이 나왔고 많은 의견 충돌들이 있었다. 얘기를 계속 나누다 보니 갑자기 앞으로도 이 문제가 금방 해결이 되지는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더 많은, 끊임없는 의견 충돌이 발생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렇기에 우리는 인격성의 문제나 임신중절에 관한 다양한 윤리적 문제에 대해서 신중하게 계속해서 생각 할 필요가 있다고 느꼈으며 또 많은 대화를 나눠야 할 것 같다고 생각했다. 지금까지 세 가지 주요한 입장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세 가지 입장이 모두 다르기에 합의점을 찾기 어려운 것 같다. 그 입장들 속에서 절충안을 찾아내 올바른 해답을 내는 것이 빠른 해결을 위한 길이라고 생각을 했고 그렇기에 우리 모두는 여러 윤리적 물음과 문제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야 한다.
V. 참고문헌
남문희 외 2인, 『최신 전문직과 간호윤리』, 수문사, 2021, 109-111, 170-174
권복규 외 1인, 『생명 윤리와 법』,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9, 81-9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