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헌고찰 - 해부생리
1) 심장 Heart
2. 문헌고찰 - 병태생리
1) 관상동맥질환 CAOD : Coronary Atery Obstructive Disease
2) 관상동맥 촬영술 Coronary artery angiograph
3) 경피적 관상동맥 성형술 (Percutaneous P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3. 본론
1) 입원정보
2) 진단검사
3) 기타검사
4) 약물
5) 간호진단
4. 결론
1) 후기
2) 참고문헌 및 사이트
1) 심장 Heart
2. 문헌고찰 - 병태생리
1) 관상동맥질환 CAOD : Coronary Atery Obstructive Disease
2) 관상동맥 촬영술 Coronary artery angiograph
3) 경피적 관상동맥 성형술 (Percutaneous P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3. 본론
1) 입원정보
2) 진단검사
3) 기타검사
4) 약물
5) 간호진단
4. 결론
1) 후기
2) 참고문헌 및 사이트
본문내용
법/용량
사용 목적 및 환자에 따라 의사의 판단에 의해 투여
금기
페니실린계 항생제에 과민반응 환자, 마크로라이드계 항생제 과민반응 환자
부작용
백혈구 감소증, 혈관부종, 저마그네슘혈증, 두통, 어지러움증
약품명
conbloc 1.25mg
효능/효과
좌심실 수축기능이 저하된 안정형 만성 심부전의 치료
용법/용량
사용 목적 및 환자에 따라 의사의 판단에 의해 투여
금기
당뇨병성 케톤산증, 대사성 산증환자, 서맥환자, 동방블록 및 방실블록 환자
부작용
서맥, 저혈압, 현기증, 두통, 피로
간호 진단
심근허혈과 관련된 통증
사
정
주관적 자료
\"가슴이 너무 아파, 어깨랑 등까지도..“
“누가 쥐어짜는 것 같다니깐! 그래서 왔지”
객관적 자료
1.입원당시 NRS통증척도 6의 흉통이 있음.
2.심장효소수치에서 CPK, CK-MB, Troponin I의 수치가 비정상.
oo/oo
CPK
520
CK-
MB
18.7
Troponin I
4.76
3. 비정상적인 활력징후
BP 100/60mmHg
HR : 125회/분
BT : 37.6
RR : 24회/분
EKG 사진 필요
간호 목표
환자는 7일 내 통증이 줄거나 더 이상 통증을 호소하지 않는다.
계획
수행
이론적근거
V/S과 EKG Monitoring
측정 및 유지한다.
V/S을 통해 심근허혈과 통증으로 인한 활력징후 변화와 EKG Monitoring을 통해 비정상적인 Rhythm을 확인하였다.
통증으로 인한 빈맥과 빈호흡과 같은 활력징후를 변화가 나타난다.
심근허혈이 있는 경우 특징적인 심전도 리듬을 확인할 수 있다.
심근경색에서 흉통이 있을 때 EKG상 비정상적인 rhythm이
나타난다.
심근허혈(ischemia): T파의 역전
심근손상(injury) : ST분절상승
통증을 완화시키기 처방에 따른 약물을 투약한다.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처방에 따른 약물을 투약하였다. (NTG, Morphine)
통증은 자율신경계를 자극하고 후부하를 높여 심근의 산소 요구를 늘린다.
모르핀은 경색으로 인한 통증에 효과적이나 대상자의 호흡양상을 유심히 관찰해야 한다.
심장의 과다한 산소요구를 예방한다.(과도한 스트레스나 과식, 심한 운동, 음주 등을 피하도록 교육할 것이다)
Bed rest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과도한 스트레스나 과식, 심한 운동, 음주 등을 피하도록 교육하였다.
침상안정은 심박동수를 감소시켜 심장의 이완기가 연장되며 심근수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심장의 산소 요구도가 증가하면 심부전을 초래하여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심근경색과 관련된 혈액검사 수치를 확인한다.
심근경색과 관련된 혈액검사 수치를 확인하였다.
심근경색과 관련된 혈액검사 수치를 확인함으로써 심근의 상태 및 관상동맥의 폐색을 평가할 수 있으며, 치료 계획을 세울 수 있다.
평가
대상자 스스로 통증이 없다고 말한다.
대상자의 활력징후가 정상적으로 측정된다.
대상자의 EKG 결과 Sinus rhythm 관찰된다.
대상자 스스로 퇴원 후 운동 및 식습관 조절을 하겠다고 한다.
대상자의 Cardiac 3종 혈액수치가 정상이다.
▣ 간호진단
간호 진단
심기능 저하와 관련한 심박출량 감소
사
정
주관적 자료
“조금만 움직여도 숨이 차요”
“숨이 차다보니 아무것도 하기 싫어요”
“뭔가 모르게 불안해”
객관적 자료
1. 비정상적인 활력징후
BP 130/70mmHg
HR : 125회/분
BT : 37.6
RR : 27회/분
2.EKG 상 부정맥 관찰됨.
3.시간당 소변량 20 ~ 30cc 배액됨.
4.현재 불편함에 대해 불안감 호소 및 긴장한 표정 관찰됨.
간호 목표
대상자는 7일 이내 심박출량 감소로 인한 증상이 호전되었다고 말한다.
계획
수행
이론적근거
1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1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활력징후는 환자 상태의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저혈압과 맥박수의 증가는 쇼크를 의미하며 급성 심근경색 발작 24시간 후에는 염증 반응으로 체온이 상승한다.
수분섭취 및 배설량을 측정한다.
수분섭취 및 배설량을 측정하였다.
심기능 저하로 인해 폐울혈 및 전신울혈이 나타나므로 I/O Check를 통해 체액량을 사정해야 한다.
소량의 수분섭취는 탈수의 원인이 될 수있으며 과잉 수분섭취는 폐수종을 유발할 수 있다.
핍뇨는 부적절한 신장관류와 쇼크를 암시하며, 농축된 소변은 탈수를 암시한다.
처방에 따른 약물 강심제, 이뇨제, 베타차단제 등을 투약한다.
처방에 따른 약물 강심제, 이뇨제, 베타차단제 등을 투약하였다.
이뇨제는 체액량 조절을 위해, 강심제는 심근수축력강화를 위해, 베타차단제는 심박수 조절, ACE inhibitor는 혈압조절,EF증가를 위해 투약할 수 있다.
환자에게 조용한 환경을 제공하고 안심시킨다.
조용환 환경을 제공하며, 불안 증상을 관찰하였다.
환자에게 불안을 표현하도록 격려하였다.
불안은 심근에 부담을 가중시킨다.
편안한 분위기를 제공하여 불안이 감소되도록 한다.
평가
대상자의 활력증후가 안정화 되었다.
대상자의 피부가 탄력이 있으며, 전신 부종은 관찰되지 않았다.
대상자는 퇴원 후에도 처방된 약물을 꾸준히 복용하겠다고 말씀한다.
대상자는 더 이상 불안하지 않으며, 현재 기분은 좋다고 말씀하신다.
▣후기
병원 실습하면서 다양한 경험들을 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참고문헌
기본간호학1. 2013. 수문사
성인간호학1. 2013. 수문사
간호진단과 이론적 근거. 현문사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2008, 수문사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엮음
http://www.druginfo.co.kr/ - 드러그인포
http://www.koryo.hs.kr/samgak36/04sunhwan/heart-bloodtube.html
http://bueb125.com.ne.kr/gongbu_1_91.htm
http://www.hallym.ac.kr/~molee/lecture/HT-A&P.htm
http://heart.yonsei.ac.kr/information/heratnurse/images/coronary.htm
http://www.eumc.co.kr/heart/about/cardiac1_list.htm
사용 목적 및 환자에 따라 의사의 판단에 의해 투여
금기
페니실린계 항생제에 과민반응 환자, 마크로라이드계 항생제 과민반응 환자
부작용
백혈구 감소증, 혈관부종, 저마그네슘혈증, 두통, 어지러움증
약품명
conbloc 1.25mg
효능/효과
좌심실 수축기능이 저하된 안정형 만성 심부전의 치료
용법/용량
사용 목적 및 환자에 따라 의사의 판단에 의해 투여
금기
당뇨병성 케톤산증, 대사성 산증환자, 서맥환자, 동방블록 및 방실블록 환자
부작용
서맥, 저혈압, 현기증, 두통, 피로
간호 진단
심근허혈과 관련된 통증
사
정
주관적 자료
\"가슴이 너무 아파, 어깨랑 등까지도..“
“누가 쥐어짜는 것 같다니깐! 그래서 왔지”
객관적 자료
1.입원당시 NRS통증척도 6의 흉통이 있음.
2.심장효소수치에서 CPK, CK-MB, Troponin I의 수치가 비정상.
oo/oo
CPK
520
CK-
MB
18.7
Troponin I
4.76
3. 비정상적인 활력징후
BP 100/60mmHg
HR : 125회/분
BT : 37.6
RR : 24회/분
EKG 사진 필요
간호 목표
환자는 7일 내 통증이 줄거나 더 이상 통증을 호소하지 않는다.
계획
수행
이론적근거
V/S과 EKG Monitoring
측정 및 유지한다.
V/S을 통해 심근허혈과 통증으로 인한 활력징후 변화와 EKG Monitoring을 통해 비정상적인 Rhythm을 확인하였다.
통증으로 인한 빈맥과 빈호흡과 같은 활력징후를 변화가 나타난다.
심근허혈이 있는 경우 특징적인 심전도 리듬을 확인할 수 있다.
심근경색에서 흉통이 있을 때 EKG상 비정상적인 rhythm이
나타난다.
심근허혈(ischemia): T파의 역전
심근손상(injury) : ST분절상승
통증을 완화시키기 처방에 따른 약물을 투약한다.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처방에 따른 약물을 투약하였다. (NTG, Morphine)
통증은 자율신경계를 자극하고 후부하를 높여 심근의 산소 요구를 늘린다.
모르핀은 경색으로 인한 통증에 효과적이나 대상자의 호흡양상을 유심히 관찰해야 한다.
심장의 과다한 산소요구를 예방한다.(과도한 스트레스나 과식, 심한 운동, 음주 등을 피하도록 교육할 것이다)
Bed rest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과도한 스트레스나 과식, 심한 운동, 음주 등을 피하도록 교육하였다.
침상안정은 심박동수를 감소시켜 심장의 이완기가 연장되며 심근수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심장의 산소 요구도가 증가하면 심부전을 초래하여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심근경색과 관련된 혈액검사 수치를 확인한다.
심근경색과 관련된 혈액검사 수치를 확인하였다.
심근경색과 관련된 혈액검사 수치를 확인함으로써 심근의 상태 및 관상동맥의 폐색을 평가할 수 있으며, 치료 계획을 세울 수 있다.
평가
대상자 스스로 통증이 없다고 말한다.
대상자의 활력징후가 정상적으로 측정된다.
대상자의 EKG 결과 Sinus rhythm 관찰된다.
대상자 스스로 퇴원 후 운동 및 식습관 조절을 하겠다고 한다.
대상자의 Cardiac 3종 혈액수치가 정상이다.
▣ 간호진단
간호 진단
심기능 저하와 관련한 심박출량 감소
사
정
주관적 자료
“조금만 움직여도 숨이 차요”
“숨이 차다보니 아무것도 하기 싫어요”
“뭔가 모르게 불안해”
객관적 자료
1. 비정상적인 활력징후
BP 130/70mmHg
HR : 125회/분
BT : 37.6
RR : 27회/분
2.EKG 상 부정맥 관찰됨.
3.시간당 소변량 20 ~ 30cc 배액됨.
4.현재 불편함에 대해 불안감 호소 및 긴장한 표정 관찰됨.
간호 목표
대상자는 7일 이내 심박출량 감소로 인한 증상이 호전되었다고 말한다.
계획
수행
이론적근거
1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1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활력징후는 환자 상태의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저혈압과 맥박수의 증가는 쇼크를 의미하며 급성 심근경색 발작 24시간 후에는 염증 반응으로 체온이 상승한다.
수분섭취 및 배설량을 측정한다.
수분섭취 및 배설량을 측정하였다.
심기능 저하로 인해 폐울혈 및 전신울혈이 나타나므로 I/O Check를 통해 체액량을 사정해야 한다.
소량의 수분섭취는 탈수의 원인이 될 수있으며 과잉 수분섭취는 폐수종을 유발할 수 있다.
핍뇨는 부적절한 신장관류와 쇼크를 암시하며, 농축된 소변은 탈수를 암시한다.
처방에 따른 약물 강심제, 이뇨제, 베타차단제 등을 투약한다.
처방에 따른 약물 강심제, 이뇨제, 베타차단제 등을 투약하였다.
이뇨제는 체액량 조절을 위해, 강심제는 심근수축력강화를 위해, 베타차단제는 심박수 조절, ACE inhibitor는 혈압조절,EF증가를 위해 투약할 수 있다.
환자에게 조용한 환경을 제공하고 안심시킨다.
조용환 환경을 제공하며, 불안 증상을 관찰하였다.
환자에게 불안을 표현하도록 격려하였다.
불안은 심근에 부담을 가중시킨다.
편안한 분위기를 제공하여 불안이 감소되도록 한다.
평가
대상자의 활력증후가 안정화 되었다.
대상자의 피부가 탄력이 있으며, 전신 부종은 관찰되지 않았다.
대상자는 퇴원 후에도 처방된 약물을 꾸준히 복용하겠다고 말씀한다.
대상자는 더 이상 불안하지 않으며, 현재 기분은 좋다고 말씀하신다.
▣후기
병원 실습하면서 다양한 경험들을 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참고문헌
기본간호학1. 2013. 수문사
성인간호학1. 2013. 수문사
간호진단과 이론적 근거. 현문사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2008, 수문사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엮음
http://www.druginfo.co.kr/ - 드러그인포
http://www.koryo.hs.kr/samgak36/04sunhwan/heart-bloodtube.html
http://bueb125.com.ne.kr/gongbu_1_91.htm
http://www.hallym.ac.kr/~molee/lecture/HT-A&P.htm
http://heart.yonsei.ac.kr/information/heratnurse/images/coronary.htm
http://www.eumc.co.kr/heart/about/cardiac1_list.htm
추천자료
기흉 케이스 case study
(A+) 편도선염 케이스 스터디 Tonsillitis case study
(A+) 만성췌장염 케이스 스터디 Chronic Pancreatitis case study
(A+) 유도분만 케이스 스터디 Induction of labor case study
(A+) 비인두암 케이스 스터디 Malignant neoplasm of nasopharynx case study
[성인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간경변증 (Liver Cirrhosis, LC)
[아동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울혈성 심부전 CHF (신생아)
당뇨 케이스 스터디, 당뇨병 케이스 스터디, 당뇨 case study, 당뇨 case, 당뇨 참고문헌, 당...
Case study-pnuemonia (폐렴, 케이스, 간호과정, 사례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