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ⅱ. 대상자 현 상태
ⅲ. 문헌고찰
1. 유도분만(Induction of labor)
1)정의
2)유도분만 시도 전 정확한 산모의 상태 체크
3)유도분만을 하는 경우
4)유도 분만의 금기증 &주의
5)부작용·후유증
6)옥시토신의 부작용
[중대한 부작용]
[그 밖의 부작용]
2. 임신성 빈혈
1)정의
2)증상
3)철분제 복용 요령
Ⅱ. 본론
ⅰ. CASE STUDY
1. Diagnostic date
2. Laboratory date
[일반뇨분별검사]
[일반혈액검사]
3. X-ray
4. Vital Sign
5. Medication
6. 문제목록
7. 간호과정
#1 유도분만 과정과 관련된 통증
#2 분만 후 신체변화와 관련된 고체온
Ⅳ. 참고
ⅲ. 문헌고찰
1. 유도분만(Induction of labor)
1)정의
2)유도분만 시도 전 정확한 산모의 상태 체크
3)유도분만을 하는 경우
4)유도 분만의 금기증 &주의
5)부작용·후유증
6)옥시토신의 부작용
[중대한 부작용]
[그 밖의 부작용]
2. 임신성 빈혈
1)정의
2)증상
3)철분제 복용 요령
Ⅱ. 본론
ⅰ. CASE STUDY
1. Diagnostic date
2. Laboratory date
[일반뇨분별검사]
[일반혈액검사]
3. X-ray
4. Vital Sign
5. Medication
6. 문제목록
7. 간호과정
#1 유도분만 과정과 관련된 통증
#2 분만 후 신체변화와 관련된 고체온
Ⅳ. 참고
본문내용
하였다.
4-①코로 숨을 들이쉬고 입으로 내뱉으라고 교육하였다.
→수축동안 얕고 빠르고 가벼운 호흡을 하고 수축사이는 심호흡을 하라고 교육하였다.
→보호자에게 산모가 통증을 호소할 시 스스로 호흡법을 시행하기가 힘이 들기 때문에 옆에서 같이 호흡하며 격려하라고 교육하였다.
4-②보호자에게 진통이 오면 팔과 다리를 주물러 이완시켜주라고 교육하였다.
4-③행복하거나 기분 좋은 기억을 생각하면 엔돌핀이 나와 진통이 완화된다고 교육하였 다.
5-①힘주기 방법을 교육하였다.
→배가 볼록해질 정도로 숨을 들이쉬고 10초 참은 뒤 공기를 내보내지 말고 아래로 힘 주라고 교육하였다.
6-①똑바로 누워있는 것 보다는 옆으로 누워있는게 도움이 된다고 교육하였다
→통증이 오면 편안한 자세를 취하라고 교육하였다
7-①옆에서 손을 꼭 잡아주고 부채질을 해 주었다.
7-②“지금 잘하고 계세요”라고 말하였다.
평가
분만과정을 이해하고 진통이 오면 소리지르기 대신 심호흡을 하려고 노력한다.
분만의 각 단계에 따른 적절한 호흡법을 잘 수행하였다.
#2 분만 후 신체변화와 관련된 고체온
사정
주관적
자료
“너무 추워요”
“아기가 이쁜 것도 모르겠어요. 지금 내가 추워죽겠어요”
객관적
자료
분만장에서 suture가 끝나기도 전에 추위를 호소함
온열패드를 덮고 있었으나 추위를 호소함
이불을 머리 끝까지 덮고 오들오들 떨고 있음
분만 후 지속적인 체온상승11
11:15
11:30
11:45
12:15
12:45
1:45
38.0
38.8
38.5
39.5
39.0
40.3
40.5
자궁 내 태아의 meconium
목표
병동이실 시 더 이상 추위를 호소하지 않는다.
병동이실 시 체온이 정상범위(36.5~38℃)로 떨어질 것이다.
계획
1. 주기적으로 vital check를 한 다.
2. 피부색을 주의 깊게 관찰한다.
3. 필요 시 적절한 약물을 투여한 다.
4. 온열패드, 담요 등을 이용한다.
5. 고체온의 증상이나 징후를 관 찰한다.
6. 감염을 나타내는 정보들이 있 는지 주의 깊게 관찰한다.
이론적
근거
1-①체온은 고체온의 징후를 직접적으 로 보여준다.
(변영순 외 2010.)
1-②혈압, 맥박, 호흡의 적절한 모니터 링은 고체온의 징후를 간접적으로 보여준다.
(김연희 외 2010.
변영순 외 2010.
Joanne C. McCloskey 1998.)
2-①피부색의 변화는 체온의 변화를 시 각적으로 보여준다.
(Joanne C. McCloskey 1998.)
4-①오한이 있을 때 온열패드와 담요로 따뜻하게 해 준다.
(정문숙 외 2002.
김연희 외 2010.)
4-②온열패드와 담요는 DR에서 분만 후 산모의 안위를 위해 자주 사용 한다.
(김혜원 외 2011.
정문숙 외 2002.)
5-①직접적 수치인 체온과 더불어 고체 온 증상과 징후를 관찰하면 그 대 상자에게 더 적절한 간호를 할 수 있다.
(정문숙 외 2002.
서울대학교 병원 2010.)
6-①체온의 상승이 감염의 첫 징후가 되기도 한다.
(변영순 외 2011.
김연희 외 2010.
전시자 외 2011.
Joanne C. McCloskey 1998.)
6-②산모는 감염의 징후로 체온상승이 자주 나타난다.
(변영순 외 2011.
김연희 외 2010.
김혜원 외 2011.
전시자 외 2011.
Joanne C. McCloskey 1998.)
수행
시간
BP
BT
RR
P
AM11:15
140/90
38.8
24
102
AM11:30
130/90
38.5
22
94
AM11:45
140/90
39.5
22
100
PM12:15
130/90
39.0
22
102
PM12:45
140/90
40.3
24
96
PM1:45
130/90
40.5
20
87
1-①op vital을 check 하였다.
2-①vital을 재러 가면서 얼굴과 손의 피부색을 관찰하였다.
3-①Nefenac 2ml IM injected.
4-①분만장에서 병실로 돌아오기 전 bed위에 온열패드와 담요를 덮어 놓았다.
→온열패드의 온도를 고온으로 맞추었다.
→오한을 계속해서 호소하여 큰 시트와 담요를 하나 더 덮어 드렸다.
5-①vital을 재러 가면서 산모에게 나타나는 이상증상을 관찰하였다.
→땀이 많이 나는지, 갈증으로 인해 입술이 마르는지 관찰하였다.
→혈압이 떨어지거나 맥박 빨라지지 않는지 check하였다.
6-①산모의 상태를 notify Dr. 장태기
→분만 시 지혈도 잘되지 않았고 태아가 자궁 안에서 태변을 봤었기 때문에 감염의 가 능성이 있으므로 혈액샘플 lab을 내림.
6-②오한, 발열, 혈압상승 등이 지속적인지 관찰하였다.
평가
병실이실 시 더 이상 오한과 추위를 호소하지 않았다.
병실이실 시 여전히 체온은 39.8℃ Checked.
Ⅳ. 참고
고성희, 김명애, 이영희, 김현경. (2002). 포켓 간호진단 가이드. 현문사
김금순, 임난영, 서순림, 김종임, 한혜숙, 권소희. (2011). ACE 건강사정. 군자출판사
염영희, 김문설, 박성애, 박정호. (1998). 간호중재분류. 현문사
변영순 외. (2010). 기본간호학 실습서. 정담미디어
성미혜, 강정희, 구윤정, 권경희, 서길희, 선정주, 손정태, 송정희, 이경민, 이은주. (2011).
간호과정-과학적, 체계적 문제 접근-. 정문각
서울대학교병원. (2005).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출판부
정문숙, 김신정, 김혜원, 권숙희, 민애경, 박명희, 배정이, 여옥남, 윤원숙, 이수연, 정귀애, 정영숙, 홍해숙. (1999). 모성간호학(1),(2). 도서출판 정담
정문숙 외. (2002). 여성건강간호학(1),(2). 도서출판 정담
김혜원 외. (2005). 여성건강간호학Ⅰ,Ⅱ. 정담미디어(주)학지사
김연희 외. (2010). 모성간호학. 도서출판 예당
김연희 외. (2010). 성인간호학1,2. 도서출판 예당
김연희 외. (2010). 기본간호학1,2. 도서출판 예당
KIMS 대한민국의학정보센터. http://www.kimsonline.co.kr/
Lab Tests Online KR. http://labtestsonline.kr/
KMLE 의학 검색 엔진. http://www.kmle.co.kr/
4-①코로 숨을 들이쉬고 입으로 내뱉으라고 교육하였다.
→수축동안 얕고 빠르고 가벼운 호흡을 하고 수축사이는 심호흡을 하라고 교육하였다.
→보호자에게 산모가 통증을 호소할 시 스스로 호흡법을 시행하기가 힘이 들기 때문에 옆에서 같이 호흡하며 격려하라고 교육하였다.
4-②보호자에게 진통이 오면 팔과 다리를 주물러 이완시켜주라고 교육하였다.
4-③행복하거나 기분 좋은 기억을 생각하면 엔돌핀이 나와 진통이 완화된다고 교육하였 다.
5-①힘주기 방법을 교육하였다.
→배가 볼록해질 정도로 숨을 들이쉬고 10초 참은 뒤 공기를 내보내지 말고 아래로 힘 주라고 교육하였다.
6-①똑바로 누워있는 것 보다는 옆으로 누워있는게 도움이 된다고 교육하였다
→통증이 오면 편안한 자세를 취하라고 교육하였다
7-①옆에서 손을 꼭 잡아주고 부채질을 해 주었다.
7-②“지금 잘하고 계세요”라고 말하였다.
평가
분만과정을 이해하고 진통이 오면 소리지르기 대신 심호흡을 하려고 노력한다.
분만의 각 단계에 따른 적절한 호흡법을 잘 수행하였다.
#2 분만 후 신체변화와 관련된 고체온
사정
주관적
자료
“너무 추워요”
“아기가 이쁜 것도 모르겠어요. 지금 내가 추워죽겠어요”
객관적
자료
분만장에서 suture가 끝나기도 전에 추위를 호소함
온열패드를 덮고 있었으나 추위를 호소함
이불을 머리 끝까지 덮고 오들오들 떨고 있음
분만 후 지속적인 체온상승11
11:15
11:30
11:45
12:15
12:45
1:45
38.0
38.8
38.5
39.5
39.0
40.3
40.5
자궁 내 태아의 meconium
목표
병동이실 시 더 이상 추위를 호소하지 않는다.
병동이실 시 체온이 정상범위(36.5~38℃)로 떨어질 것이다.
계획
1. 주기적으로 vital check를 한 다.
2. 피부색을 주의 깊게 관찰한다.
3. 필요 시 적절한 약물을 투여한 다.
4. 온열패드, 담요 등을 이용한다.
5. 고체온의 증상이나 징후를 관 찰한다.
6. 감염을 나타내는 정보들이 있 는지 주의 깊게 관찰한다.
이론적
근거
1-①체온은 고체온의 징후를 직접적으 로 보여준다.
(변영순 외 2010.)
1-②혈압, 맥박, 호흡의 적절한 모니터 링은 고체온의 징후를 간접적으로 보여준다.
(김연희 외 2010.
변영순 외 2010.
Joanne C. McCloskey 1998.)
2-①피부색의 변화는 체온의 변화를 시 각적으로 보여준다.
(Joanne C. McCloskey 1998.)
4-①오한이 있을 때 온열패드와 담요로 따뜻하게 해 준다.
(정문숙 외 2002.
김연희 외 2010.)
4-②온열패드와 담요는 DR에서 분만 후 산모의 안위를 위해 자주 사용 한다.
(김혜원 외 2011.
정문숙 외 2002.)
5-①직접적 수치인 체온과 더불어 고체 온 증상과 징후를 관찰하면 그 대 상자에게 더 적절한 간호를 할 수 있다.
(정문숙 외 2002.
서울대학교 병원 2010.)
6-①체온의 상승이 감염의 첫 징후가 되기도 한다.
(변영순 외 2011.
김연희 외 2010.
전시자 외 2011.
Joanne C. McCloskey 1998.)
6-②산모는 감염의 징후로 체온상승이 자주 나타난다.
(변영순 외 2011.
김연희 외 2010.
김혜원 외 2011.
전시자 외 2011.
Joanne C. McCloskey 1998.)
수행
시간
BP
BT
RR
P
AM11:15
140/90
38.8
24
102
AM11:30
130/90
38.5
22
94
AM11:45
140/90
39.5
22
100
PM12:15
130/90
39.0
22
102
PM12:45
140/90
40.3
24
96
PM1:45
130/90
40.5
20
87
1-①op vital을 check 하였다.
2-①vital을 재러 가면서 얼굴과 손의 피부색을 관찰하였다.
3-①Nefenac 2ml IM injected.
4-①분만장에서 병실로 돌아오기 전 bed위에 온열패드와 담요를 덮어 놓았다.
→온열패드의 온도를 고온으로 맞추었다.
→오한을 계속해서 호소하여 큰 시트와 담요를 하나 더 덮어 드렸다.
5-①vital을 재러 가면서 산모에게 나타나는 이상증상을 관찰하였다.
→땀이 많이 나는지, 갈증으로 인해 입술이 마르는지 관찰하였다.
→혈압이 떨어지거나 맥박 빨라지지 않는지 check하였다.
6-①산모의 상태를 notify Dr. 장태기
→분만 시 지혈도 잘되지 않았고 태아가 자궁 안에서 태변을 봤었기 때문에 감염의 가 능성이 있으므로 혈액샘플 lab을 내림.
6-②오한, 발열, 혈압상승 등이 지속적인지 관찰하였다.
평가
병실이실 시 더 이상 오한과 추위를 호소하지 않았다.
병실이실 시 여전히 체온은 39.8℃ Checked.
Ⅳ. 참고
고성희, 김명애, 이영희, 김현경. (2002). 포켓 간호진단 가이드. 현문사
김금순, 임난영, 서순림, 김종임, 한혜숙, 권소희. (2011). ACE 건강사정. 군자출판사
염영희, 김문설, 박성애, 박정호. (1998). 간호중재분류. 현문사
변영순 외. (2010). 기본간호학 실습서. 정담미디어
성미혜, 강정희, 구윤정, 권경희, 서길희, 선정주, 손정태, 송정희, 이경민, 이은주. (2011).
간호과정-과학적, 체계적 문제 접근-. 정문각
서울대학교병원. (2005).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출판부
정문숙, 김신정, 김혜원, 권숙희, 민애경, 박명희, 배정이, 여옥남, 윤원숙, 이수연, 정귀애, 정영숙, 홍해숙. (1999). 모성간호학(1),(2). 도서출판 정담
정문숙 외. (2002). 여성건강간호학(1),(2). 도서출판 정담
김혜원 외. (2005). 여성건강간호학Ⅰ,Ⅱ. 정담미디어(주)학지사
김연희 외. (2010). 모성간호학. 도서출판 예당
김연희 외. (2010). 성인간호학1,2. 도서출판 예당
김연희 외. (2010). 기본간호학1,2. 도서출판 예당
KIMS 대한민국의학정보센터. http://www.kimsonline.co.kr/
Lab Tests Online KR. http://labtestsonline.kr/
KMLE 의학 검색 엔진. http://www.kmle.co.kr/
추천자료
신경계 수술환자의 간호
뇌실내출혈((intraventricular hemorrhage, IVH) case study
급성인두염 case study (소아과)
지주막하 출혈(SAH) case study
중환자실케이스, 폐렴
소아과 폐렴케이스.
패혈증(sepsis) 환아에 대한 간호 사례 연구
성인 폐렴 (Pneumonia)
[SICU case] 지주막하출혈 (SAH, subarachnoid hemorrhage)
아동 Pneumonia(폐렴) 케이스
Pneumonia 케이스스터디 폐렴
[고위험모아간호학]고위험 신생아의 고빌리루빈 혈증에 대한 사정과 치료 및 간호, 다혜의 탈...
[간호과정] 폐렴케이스 Pneumonia case study - 폐렴케이스스터디 폐렴사례관리 폐렴간호과정...
뇌졸중 케이스, 중환자실 케이스, 중환자실 간호과정 A++ case 입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