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문헌고찰
1) 제왕절개분만
정의
2) 적응증
3) 수술방법
4) 부작용
5) 검사
6) 간호
2) 다태임신
1)정의
2)종류
3)진단
4)간호
2.사례보고
3.간호과정
참고문헌
1) 제왕절개분만
정의
2) 적응증
3) 수술방법
4) 부작용
5) 검사
6) 간호
2) 다태임신
1)정의
2)종류
3)진단
4)간호
2.사례보고
3.간호과정
참고문헌
본문내용
취하도록 하였다.
측위로 누워 다리 사이에 쿠션을 끼운 자세를 선호하였다.
5. 처방된 진통제 (타라신 10mg)를 IM 투여 후 효과와 부작용이 있는지 사정하였다.
6.수술부위를 복대로 지지하게 하였다
7.조기이상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하였다
7-1조기이상(조기보행)은 수술 후 호흡기 합병증을 예방하고 순환기능을 증진한다. 또한 위장관계 활동을 회복시켜 가스 배출을 도움으로써 이로 인한 통증을 줄일 수 있다.
8.분위기 전환을 위한 방법을 적용하였다.
-대상자가 좋아하는 음악을 틀게 하였다.
-보호자(남편)와 방문객에게 통증에 대한 주의환기를 위해 다른 화제의 이야기를 할 것을 설명하였다.
-환자가 평소에 좋아하는 tv 프로그램을 보게 한다.
환자의 객관적인 자료를 얻어 문제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간호사의 통증을 표현하게 하는 심리적 지지는 대상자로 하여금 통증에 대해 덜 불안하게 느끼게 한다. 또한 간호사가 통증에 대해 인지해 보다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있게 한다.
편안한 체위를 취함으로써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Tarasyn은 중증 및 중등도의 통증을 감소시키는 진통제로서 대상자의 통증을 경감시키는 확실한 방법이다. 이 약의 부작용으로는 구역, 부종, 발한, 졸음, 발열 등이 있을 수 있다.
복대는 수술부위를 지지하며 지혈의 목적으로 수술 부위의 회복을 증진시킨다. 조기이상은 장내 가스 배출을 도움으로써 장내 가스로 인한 통증을 감소시킨다.
대상자에게 관심의 초점을 통증이 아닌 다른 곳에 두도록 돕는다.
평가
5/10(달성) 대상자의 NRS점수가 8점에서 5점으로 줄어들었다.
수술과 관련된 통증
#2. 사정
주관적 자료
“(소변)줄 때문에 밥 먹거나 움직이는게 불편해요.”
객관적 자료
2021-05-07 twin C/S을 시행함.
복부절개 형태: 횡절개
자궁절개 형태: 자궁 하절부 가로 절개
IV line을 하고 있음.
유치도뇨관을 삽입하고 있음.
환자 복부에 OP wound가 있음
5월 6일에 실시한 혈액검사에서 WBC가 12,000mm3로 나옴.
진단
하복부 절개 부위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목표
대상자는 퇴원(05/11) 시까지 감염의 징후가 나타나지 않는다.
계획
1.V/S을 주기적으로 측정한다.
2.침습적인 처치를 받는 피부상태를 매일 사정한다.
3.대상자에게 유치도뇨관의 필요성과 유지방법을 교육한다.
4.감염의 징후를 관찰하기 위해 CBC 결과를 사정한다.
5.대상자의 감염 예방을 위해 병동 내 모든 의료진과 방문객들의 손위생을 철저히 한다.
6.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한다.
중재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1.4시간마다 활력징후를 모니터링하였다
5/8
6A
120/80
82
18
36.7
10A
120/80
88
17
36.7
2P
130/80
90
20
37.1
6P
130/80
93
20
37.1
10P
110/60
80
18
37.3
5/9
6A
120/80
80
18
36.9
10A
120/80
77
16
36.7
2P
100/60
86
16
36.8
6P
110/80
77
18
36.7
10P
120/80
76
18
36.5
5/10
6A
120/80
77
17
36.8
10A
120/80
76
17
36.5
2P
110/70
80
17
36.8
6P
120/80
75
18
36.5
10P
100/60
72
18
36.7
2.침습적인 처치 부위(정맥관 삽입 부위, 유치도뇨관 부위 ,수술 부위)의 발적, 발열, 부종, 통증 등을 매일 사정하였다.
2-1절개부위가 벌어지거나 출혈이 없는지 사정하였다.
3.대상자에게 유치도뇨관의 필요성과 유지방법을 교육하였다.
3-1 소변 주머니는 항상 방광 아래에 위치하게 하고 바닥에 끌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3-2 도뇨관이 꼬이지 않도록 주의한다.
4.대상자의 혈액검사(CBC) 결과를 사정한다.
5/9
검사항목
수치
정상범위
RBC
3,800,000mm3
400만~540만/㎣
WBC
12000mm3
4000-10000㎣
Hct
33%
38~47%
Hb
10g/dL
12~16/dL
Neutrophil
7,500mm3
WBC의 60~70%
5. 대상자의 처치 전후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하였다.
6.보호자와 방문객에게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철저히 할 것을 권고하고 손씻기 6단계를 교육하였다.
6-1물과 비누를 묻힌 후 손바닥과 손바닥을 마찰하여 문지른다.
6-2손바닥으로 다른 손의 손등을 문지른다.
6-3손바닥을 마주대고 손가락 사이를 문지른다.
6-4두 손을 깍지 끼며 마주잡고 비빈다.
6-5한 손에 엄지를 거머쥐듯이 회전하며 문지른다.
6-6손가락 끝으로 다른 손의 바닥을 비비고 난 후 흐르는 물에 씻는다.
7.처방된 Amoxicillin 500mg을 IM 투여하고 효과와 부작용을 사정하였다
환자의 객관적인 자료를 얻어 문제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매일 피부를 사정하여 감염의 징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감염의 징후는 종창, 발열 , 발적, 통증이다.
유치도뇨관은 침습적인 처치이므로 감염의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대상자에게 유치도뇨관의 올바른 관리법을 교육하여 감염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
CBC, 특히 WBC 수치의 증가를 통해 염증 반응을 유추할 수 있다. (임신전과 산욕기에 WBC 수치가 생리적으로 올라간다. 감염과 잘 구분해야함)
손은 미생물의 전파에 가장 좋은 매개체이기 때문에 손위생은 감염관리를 위한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예방 및 관리법이다. 손위생을 유지함으로써 병원균의 주요 전파 경로인 의료인의 손에 의한 교차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Amoxicillin은 항생제로서 감염의 가능성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약의 부작용으로는 쇼크, 과민반응(발열,두드러기,홍반), 구역, 구토 등이 있다.
평가
5/11(달성) 퇴원시까지 대상자에게 감염의 징후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복부 절개 부위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참고문헌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여성건강간호학Ⅰ」, 수문사, 2018
서울대학교병원의학정보,”제왕절개술”,http://www.snuh.org/ (2021.05.10)
김묘경 외, 기본간호학 실습지침서, 계축문화사 , 2019
국가건강정보포털의학정보,“다태임신”
측위로 누워 다리 사이에 쿠션을 끼운 자세를 선호하였다.
5. 처방된 진통제 (타라신 10mg)를 IM 투여 후 효과와 부작용이 있는지 사정하였다.
6.수술부위를 복대로 지지하게 하였다
7.조기이상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하였다
7-1조기이상(조기보행)은 수술 후 호흡기 합병증을 예방하고 순환기능을 증진한다. 또한 위장관계 활동을 회복시켜 가스 배출을 도움으로써 이로 인한 통증을 줄일 수 있다.
8.분위기 전환을 위한 방법을 적용하였다.
-대상자가 좋아하는 음악을 틀게 하였다.
-보호자(남편)와 방문객에게 통증에 대한 주의환기를 위해 다른 화제의 이야기를 할 것을 설명하였다.
-환자가 평소에 좋아하는 tv 프로그램을 보게 한다.
환자의 객관적인 자료를 얻어 문제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간호사의 통증을 표현하게 하는 심리적 지지는 대상자로 하여금 통증에 대해 덜 불안하게 느끼게 한다. 또한 간호사가 통증에 대해 인지해 보다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있게 한다.
편안한 체위를 취함으로써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Tarasyn은 중증 및 중등도의 통증을 감소시키는 진통제로서 대상자의 통증을 경감시키는 확실한 방법이다. 이 약의 부작용으로는 구역, 부종, 발한, 졸음, 발열 등이 있을 수 있다.
복대는 수술부위를 지지하며 지혈의 목적으로 수술 부위의 회복을 증진시킨다. 조기이상은 장내 가스 배출을 도움으로써 장내 가스로 인한 통증을 감소시킨다.
대상자에게 관심의 초점을 통증이 아닌 다른 곳에 두도록 돕는다.
평가
5/10(달성) 대상자의 NRS점수가 8점에서 5점으로 줄어들었다.
수술과 관련된 통증
#2. 사정
주관적 자료
“(소변)줄 때문에 밥 먹거나 움직이는게 불편해요.”
객관적 자료
2021-05-07 twin C/S을 시행함.
복부절개 형태: 횡절개
자궁절개 형태: 자궁 하절부 가로 절개
IV line을 하고 있음.
유치도뇨관을 삽입하고 있음.
환자 복부에 OP wound가 있음
5월 6일에 실시한 혈액검사에서 WBC가 12,000mm3로 나옴.
진단
하복부 절개 부위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목표
대상자는 퇴원(05/11) 시까지 감염의 징후가 나타나지 않는다.
계획
1.V/S을 주기적으로 측정한다.
2.침습적인 처치를 받는 피부상태를 매일 사정한다.
3.대상자에게 유치도뇨관의 필요성과 유지방법을 교육한다.
4.감염의 징후를 관찰하기 위해 CBC 결과를 사정한다.
5.대상자의 감염 예방을 위해 병동 내 모든 의료진과 방문객들의 손위생을 철저히 한다.
6.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한다.
중재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1.4시간마다 활력징후를 모니터링하였다
5/8
6A
120/80
82
18
36.7
10A
120/80
88
17
36.7
2P
130/80
90
20
37.1
6P
130/80
93
20
37.1
10P
110/60
80
18
37.3
5/9
6A
120/80
80
18
36.9
10A
120/80
77
16
36.7
2P
100/60
86
16
36.8
6P
110/80
77
18
36.7
10P
120/80
76
18
36.5
5/10
6A
120/80
77
17
36.8
10A
120/80
76
17
36.5
2P
110/70
80
17
36.8
6P
120/80
75
18
36.5
10P
100/60
72
18
36.7
2.침습적인 처치 부위(정맥관 삽입 부위, 유치도뇨관 부위 ,수술 부위)의 발적, 발열, 부종, 통증 등을 매일 사정하였다.
2-1절개부위가 벌어지거나 출혈이 없는지 사정하였다.
3.대상자에게 유치도뇨관의 필요성과 유지방법을 교육하였다.
3-1 소변 주머니는 항상 방광 아래에 위치하게 하고 바닥에 끌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3-2 도뇨관이 꼬이지 않도록 주의한다.
4.대상자의 혈액검사(CBC) 결과를 사정한다.
5/9
검사항목
수치
정상범위
RBC
3,800,000mm3
400만~540만/㎣
WBC
12000mm3
4000-10000㎣
Hct
33%
38~47%
Hb
10g/dL
12~16/dL
Neutrophil
7,500mm3
WBC의 60~70%
5. 대상자의 처치 전후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하였다.
6.보호자와 방문객에게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철저히 할 것을 권고하고 손씻기 6단계를 교육하였다.
6-1물과 비누를 묻힌 후 손바닥과 손바닥을 마찰하여 문지른다.
6-2손바닥으로 다른 손의 손등을 문지른다.
6-3손바닥을 마주대고 손가락 사이를 문지른다.
6-4두 손을 깍지 끼며 마주잡고 비빈다.
6-5한 손에 엄지를 거머쥐듯이 회전하며 문지른다.
6-6손가락 끝으로 다른 손의 바닥을 비비고 난 후 흐르는 물에 씻는다.
7.처방된 Amoxicillin 500mg을 IM 투여하고 효과와 부작용을 사정하였다
환자의 객관적인 자료를 얻어 문제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매일 피부를 사정하여 감염의 징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감염의 징후는 종창, 발열 , 발적, 통증이다.
유치도뇨관은 침습적인 처치이므로 감염의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대상자에게 유치도뇨관의 올바른 관리법을 교육하여 감염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
CBC, 특히 WBC 수치의 증가를 통해 염증 반응을 유추할 수 있다. (임신전과 산욕기에 WBC 수치가 생리적으로 올라간다. 감염과 잘 구분해야함)
손은 미생물의 전파에 가장 좋은 매개체이기 때문에 손위생은 감염관리를 위한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예방 및 관리법이다. 손위생을 유지함으로써 병원균의 주요 전파 경로인 의료인의 손에 의한 교차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Amoxicillin은 항생제로서 감염의 가능성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약의 부작용으로는 쇼크, 과민반응(발열,두드러기,홍반), 구역, 구토 등이 있다.
평가
5/11(달성) 퇴원시까지 대상자에게 감염의 징후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복부 절개 부위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참고문헌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여성건강간호학Ⅰ」, 수문사, 2018
서울대학교병원의학정보,”제왕절개술”,http://www.snuh.org/ (2021.05.10)
김묘경 외, 기본간호학 실습지침서, 계축문화사 , 2019
국가건강정보포털의학정보,“다태임신”
추천자료
폐결핵케이스스터디 폐결핵약물종류 폐결핵진단검사 폐결핵병태생리 폐결핵문헌고찰 폐결핵간...
뇌출혈 케이스스터디 신경외과케이스스터디 경막외출혈 케이스 문헌고찰 뇌출혈간호과정 뇌출...
경추손상 케이스
A+ 직장암 Rectal cancer 케이스 스터디 (문헌고찰 직장암 사례연구 직장암 간호과정 직장암 ...
[모성] 자궁근종 케이스
[모성] CPD c-sec 케이스
급성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급성신부전 급성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급성신부전 CASE STUDY 급...
수두증 hydrocephalus 뇌수종 성인간호학 icu 중환자실 케이스 사례연구 보고서 문헌고찰 간...
C-sec 케이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