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헌고찰
1) 급성위장관염의 정의
2) 급성위장관염의 원인
3) 급성위장관염의 병태생리
4) 급성위장관염의 증상
5) 급성위장관염의 치료
6) 급성위장관염의 관리
Ⅱ. 일반적 배경
Ⅲ. 건강력
Ⅳ. 신체사정 및 건강사정
Ⅴ. 진단검사
Ⅵ. 약물
Ⅶ. 간호과정
1) 진단
2) 계획
3) 수행
4) 평가
1) 급성위장관염의 정의
2) 급성위장관염의 원인
3) 급성위장관염의 병태생리
4) 급성위장관염의 증상
5) 급성위장관염의 치료
6) 급성위장관염의 관리
Ⅱ. 일반적 배경
Ⅲ. 건강력
Ⅳ. 신체사정 및 건강사정
Ⅴ. 진단검사
Ⅵ. 약물
Ⅶ. 간호과정
1) 진단
2) 계획
3) 수행
4) 평가
본문내용
피부탄력성 감소, 핍뇨, 농축뇨, 체온상승, 빈맥, 심박출량과 맥압의 감소, 섭취량보다 배설량의 증가, Hct 상승, 저혈압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참고문헌>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2015), 원종순 외, 현문사
<합리적 근거>
객관적 근거
- 진단명 : 급성 위장관염
- vomiting 6회
- 묽은 변 2~3회
Na(Sodium)
140
Cl(Chloride)
100
- 진단 검사 상 저하된 나트륨과 염소 수치
⇒Na: 140(정상범위:141~149)
Cl: 100(정상범위: 103~109)
- 소변검사에서 ketone 2+ 결과 나옴.
- 피부가 푸석푸석함.
- 체온 측정 결과 고체온이 관찰됨.
10/23
15:10
37.4
17:00
38.2
18:00
37.8
20:00
37.6
21:00
37.5
22:00
37.4
23:00
37.4
주관적 근거
- “어제부터 계속 설사를 해요. 3번 정도 갔다온 것 같아요.”
- “어젯밤부터 열이 너무 심하게 나는 것 같아요.”
- “계속 배가 아프다고 해요.”
- “살이 좀 빠진 것 같아요.”
- “원래 체중이 74.5kg 정도 되었어요.”
간 호 계 획
진단번호
- 단기목표: 대상자는 2일 안에 구토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 장기목표: 대상자는 6일 이내에 원래 체중인 74.5kg으로 회복한다.
#1
간호계획
합리적 근거
(진단적) -
1) 활력징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한다.
2) 대변 횟수와 양상을 지속적으로 모니터한다.
3) 구토 횟수를 지속적으로 모니터한다.
4) 체중을 지속적으로 모니터한다.
1) 활력징후는 인체의 생명기능의 변화에 따라 민감하게 나타나는 징후이다. 활력징후가 정상범위에서 벗어날 때는 신체사정을 비롯한 대상자의 상태를 세밀히 확인해야 한다. 즉 활력징후의 변화는 대상자의 건강상태의 변화와 관계가 있고, 중재의 지표가 된다.
2) 설사로 인한 체액량 소실을 확인한다.
3) 구토로 인한 체액량 소실을 확인한다.
4) 체중은 대상자의 영양상태 회복을 판단하는데 중요한 지표이다. 정상체중일수록 대상자가 제대로 영양 섭취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치료적) -
1) 대상자에게 처방된 항생제나 제사제 등, 약물을 처방에 맞게 투약한다.
2) 대상자에게 처방된 수액을 투여한다.
3) 탈수 증상이 심할 경우 재수화 용액을 투여한다.
4) 대상자에게 금식을 시행한다.
2) 탈수를 방지하고 구토 및 설사로 소실된 수분과 전해질을 보충할 수 있다. 또한 정맥으로 수액을 통한 수분 보충을 할 때, 직접 수분을 섭취하는 것보다 빠르게 수분을 공급받을 수 있다.
3) 재수화 용액은 위장염으로 생긴 탈수를 치료하고 예방 할 수 있다.
4) 장염인 상태에서 과도한 음식섭취는 장에 과도한 부담을 줄 수 있다.
(교육적) -
1.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손씻기의 중요성을 교육한다.
2. 과일주스, 탄산음료, 젤라틴 음료 등을 섭취하지 않도록 교육한다.
3. 연한 주스, 일반적인 청량음료, 묽은 수프, 안전한 물을 섭취하도록 교육한다.
1) 손 씻기로 손을 통한 세균의 전파가 많이 방지되기 때문이다.
2) 과일주스, 탄산음료, 젤라틴 음료는 탄산 함량과 탄수화물이 높고, 전해질은 낮으므로 전해질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섭취하지 않도록 교육한다.
2) 연한 주스, 일반적인 청량음료, 묽은 수프, 안전한 물 등은 탈수를 막기 위한 손실된 수분과 전해질 (나트륨, 칼륨과 같은 혈액 화학 물질) 공급에 도움이 된다.
간호수행진단
번호
수 행
#3
1) 활력징후를 매 2시간 마다 측정하였다.측정일
시간
BP
T
P
10/26
06:00
100/50
36.1
88
11:00
110/70
36.7
74
10/25
06:00
110/30
36.1
84
11:00
90/60
36.5
84
20:00
100/70
36.9
64
10/24
07:30
120/80
36.9
78
11:00
110/80
36.7
74
20:00
110/80
37.1
76
10/23
15:10
100/60
37.4
84
20:00
90/50
37.6
112
17:00
38.2
⇒ 체온 외에는 큰 이상징후는 나타나지 않는다.
2) 매일 체중을 측정하였다.
날짜
10/23
10/24
10/25
10/29
체중(kg)
73.8
73.8
74.0
74.2
3) 대변 배양 검사를 시행했다.
⇒ 검사결과, 위장염의 원인이 되는 noro virus가 검출되었다.
4) 검출된 noro virus (원인 바이러스)를 제거하기 위해 처방된 항생제 triacxon 2g을 IV로 하루 한번 투여했다.
5) 설사를 멈추기 위해 처방된 지사제 antibio cap을 하루 세 번 식전에 투약하였다.
6) Sodium Chloride and Glucose 500mL를 12gtt 유지하여 투여하였다.
7) 매일 아침 회진 시 대상자에게 배변 여부를 확인하였다.
: 10/23 설사 3번 이후 정상변의 가까운 형태라고 말하였다.
8) 매일 저녁 8시에 대상자에게 구토의 여부를 확인하였다.
: 구토는 23일 6차례 이후 더 이상 하지 않았다고 말하였다.
9) 대상자에게 처방 된 수액 sodium chloride and glucose 500mL bid 12gtt 투약하였다.
10) 보호자와 대상자에게 손 씻기의 중요성과 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11) 과일주스, 탄산음료, 젤라틴 음료는 탄산 함량과 탄수화물이 높고, 전해질은 낮으므로 전해질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음을 설명하고, 섭취하지 않도록 교육했다.
12) 연한 주스, 일반적인 청량음료, 묽은 수프, 안전한 물 등은 탈수를 막기 위한 손 실된 수분과 전해질 (나트륨, 칼륨과 같은 혈액 화학 물질) 공급에 도움이 됨을 설명하고, 섭취하지 않도록 교육했다.
간호평가진단
번호
평가내용
#2
장기목표 : 대상자는 6일 이내에 원래 체중인 74.5kg으로 회복한다. (10/29)
→ 대상자는 10/29일 74.2kg로 증가하였으나 목표 체중인 74.5kg에는 미달되었으므로 목표는 부분달성 되었다.
단기목표 : 대상자는 2일 안에 구토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10/25)
→ 대상자는 더 이상 구토를 하지 않는다고 말했으므로 목표가 달성되었다.
<참고문헌>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2015), 원종순 외, 현문사
<합리적 근거>
객관적 근거
- 진단명 : 급성 위장관염
- vomiting 6회
- 묽은 변 2~3회
Na(Sodium)
140
Cl(Chloride)
100
- 진단 검사 상 저하된 나트륨과 염소 수치
⇒Na: 140(정상범위:141~149)
Cl: 100(정상범위: 103~109)
- 소변검사에서 ketone 2+ 결과 나옴.
- 피부가 푸석푸석함.
- 체온 측정 결과 고체온이 관찰됨.
10/23
15:10
37.4
17:00
38.2
18:00
37.8
20:00
37.6
21:00
37.5
22:00
37.4
23:00
37.4
주관적 근거
- “어제부터 계속 설사를 해요. 3번 정도 갔다온 것 같아요.”
- “어젯밤부터 열이 너무 심하게 나는 것 같아요.”
- “계속 배가 아프다고 해요.”
- “살이 좀 빠진 것 같아요.”
- “원래 체중이 74.5kg 정도 되었어요.”
간 호 계 획
진단번호
- 단기목표: 대상자는 2일 안에 구토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 장기목표: 대상자는 6일 이내에 원래 체중인 74.5kg으로 회복한다.
#1
간호계획
합리적 근거
(진단적) -
1) 활력징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한다.
2) 대변 횟수와 양상을 지속적으로 모니터한다.
3) 구토 횟수를 지속적으로 모니터한다.
4) 체중을 지속적으로 모니터한다.
1) 활력징후는 인체의 생명기능의 변화에 따라 민감하게 나타나는 징후이다. 활력징후가 정상범위에서 벗어날 때는 신체사정을 비롯한 대상자의 상태를 세밀히 확인해야 한다. 즉 활력징후의 변화는 대상자의 건강상태의 변화와 관계가 있고, 중재의 지표가 된다.
2) 설사로 인한 체액량 소실을 확인한다.
3) 구토로 인한 체액량 소실을 확인한다.
4) 체중은 대상자의 영양상태 회복을 판단하는데 중요한 지표이다. 정상체중일수록 대상자가 제대로 영양 섭취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치료적) -
1) 대상자에게 처방된 항생제나 제사제 등, 약물을 처방에 맞게 투약한다.
2) 대상자에게 처방된 수액을 투여한다.
3) 탈수 증상이 심할 경우 재수화 용액을 투여한다.
4) 대상자에게 금식을 시행한다.
2) 탈수를 방지하고 구토 및 설사로 소실된 수분과 전해질을 보충할 수 있다. 또한 정맥으로 수액을 통한 수분 보충을 할 때, 직접 수분을 섭취하는 것보다 빠르게 수분을 공급받을 수 있다.
3) 재수화 용액은 위장염으로 생긴 탈수를 치료하고 예방 할 수 있다.
4) 장염인 상태에서 과도한 음식섭취는 장에 과도한 부담을 줄 수 있다.
(교육적) -
1.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손씻기의 중요성을 교육한다.
2. 과일주스, 탄산음료, 젤라틴 음료 등을 섭취하지 않도록 교육한다.
3. 연한 주스, 일반적인 청량음료, 묽은 수프, 안전한 물을 섭취하도록 교육한다.
1) 손 씻기로 손을 통한 세균의 전파가 많이 방지되기 때문이다.
2) 과일주스, 탄산음료, 젤라틴 음료는 탄산 함량과 탄수화물이 높고, 전해질은 낮으므로 전해질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섭취하지 않도록 교육한다.
2) 연한 주스, 일반적인 청량음료, 묽은 수프, 안전한 물 등은 탈수를 막기 위한 손실된 수분과 전해질 (나트륨, 칼륨과 같은 혈액 화학 물질) 공급에 도움이 된다.
간호수행진단
번호
수 행
#3
1) 활력징후를 매 2시간 마다 측정하였다.측정일
시간
BP
T
P
10/26
06:00
100/50
36.1
88
11:00
110/70
36.7
74
10/25
06:00
110/30
36.1
84
11:00
90/60
36.5
84
20:00
100/70
36.9
64
10/24
07:30
120/80
36.9
78
11:00
110/80
36.7
74
20:00
110/80
37.1
76
10/23
15:10
100/60
37.4
84
20:00
90/50
37.6
112
17:00
38.2
⇒ 체온 외에는 큰 이상징후는 나타나지 않는다.
2) 매일 체중을 측정하였다.
날짜
10/23
10/24
10/25
10/29
체중(kg)
73.8
73.8
74.0
74.2
3) 대변 배양 검사를 시행했다.
⇒ 검사결과, 위장염의 원인이 되는 noro virus가 검출되었다.
4) 검출된 noro virus (원인 바이러스)를 제거하기 위해 처방된 항생제 triacxon 2g을 IV로 하루 한번 투여했다.
5) 설사를 멈추기 위해 처방된 지사제 antibio cap을 하루 세 번 식전에 투약하였다.
6) Sodium Chloride and Glucose 500mL를 12gtt 유지하여 투여하였다.
7) 매일 아침 회진 시 대상자에게 배변 여부를 확인하였다.
: 10/23 설사 3번 이후 정상변의 가까운 형태라고 말하였다.
8) 매일 저녁 8시에 대상자에게 구토의 여부를 확인하였다.
: 구토는 23일 6차례 이후 더 이상 하지 않았다고 말하였다.
9) 대상자에게 처방 된 수액 sodium chloride and glucose 500mL bid 12gtt 투약하였다.
10) 보호자와 대상자에게 손 씻기의 중요성과 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11) 과일주스, 탄산음료, 젤라틴 음료는 탄산 함량과 탄수화물이 높고, 전해질은 낮으므로 전해질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음을 설명하고, 섭취하지 않도록 교육했다.
12) 연한 주스, 일반적인 청량음료, 묽은 수프, 안전한 물 등은 탈수를 막기 위한 손 실된 수분과 전해질 (나트륨, 칼륨과 같은 혈액 화학 물질) 공급에 도움이 됨을 설명하고, 섭취하지 않도록 교육했다.
간호평가진단
번호
평가내용
#2
장기목표 : 대상자는 6일 이내에 원래 체중인 74.5kg으로 회복한다. (10/29)
→ 대상자는 10/29일 74.2kg로 증가하였으나 목표 체중인 74.5kg에는 미달되었으므로 목표는 부분달성 되었다.
단기목표 : 대상자는 2일 안에 구토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10/25)
→ 대상자는 더 이상 구토를 하지 않는다고 말했으므로 목표가 달성되었다.
키워드
추천자료
아동 AGE ; acute gastroenteritis (급성위장염)
[간호학]급성위장염
위장염(gastroenteritis with Rota virus)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문헌고찰, 아동실습, ...
편도선염 케이스 -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3개
(A+받음) 아동간호학실습 급성위장염 case study
아동간호학 APN CASE STUDY, 급성신우신염 간호과정 2개
아동 급성위장염 간호
아동간호학실습, 아동 열성경련 case study
[아동간호학] 당뇨병성 케톤산증 case A+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1개(이론적근거,참고자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