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내과(천식) case A+(간호진단, 과정 3가지)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 내과(천식) case A+(간호진단, 과정 3가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문헌고찰
1. 천식
1) 천식이란
2) 병태생리
3) 임상증상
4) 합병증
5) 관련 약물 및 간호
6) 진단 검사

Ⅱ. 간호정보조사지

Ⅲ. 간호 과정
1. 천식 발작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 양상
2. 자가간호 결핍과 관련된 지식부족
3. 백내장으로 인한 시력 저하와 관련된 낙상위험성

Ⅳ. 출처

본문내용

수치를 낮추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교육하였다.
10. 하루 20분정도 워커를 사용하여 산책하게 하였다.
11. 당뇨병이 잘 관리되지 않을 경우 높아진 혈액의 당도로 인해 혈액순환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살이 썩어버릴 수 있음을 교육하였다.
12. 천식이 잘 관리되지 않을 경우 많이 좁아진 기도로 인해 호흡곤란이 심하게 찾아오고 이로 인해 사망에 이를 수 있음을 교육하였다.
간 호 평 가
진단
번호
평가내용
#2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후 당뇨에 관한 자가 관리가 가능하다. (6/2)
→ 대상자는 당뇨의 위험성과 가벼운 운동에 대한 중요성을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고 3일간 20분정도의 가벼운 산책을 하였으며 지참한 마지막 2일 동안 지참한 과자를 먹지 않은 것으로 보아 목표가 달성되었다.
- 대상자는 퇴원 후 천식발작 대처에 관한 자가 관리가 가능하다. (6/2)
→ 대상자는 천식의 위험성과 정확한 약물 복용방법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고 inhalation 중 말을 하지 않았으므로 목표가 달성되었다.
단기목표 :
- 대상자는 2일 내에 자신이 앓고 있는 질병에 대해 정확히 파악한다. (5/25)
→대상자는 본인이 양안에 백내장, 천식, 당뇨병, 뇌경색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정확히 파악하였고 주의사항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목표가 달성되었다.
- 대상자는 4일 이내에 자신이 복용하고 있는 약물에 대해 정확히 이해한다. (5/29)
→대상자는 지참해온 약물이 무슨 약인지 말할 수 있고 어떤 효과와 부작용이 있는지 설명할 수 있는 것을 보아 목표가 달성되었다.
간호진단 #3. 시력 저하와 관련된 낙상 위험성진단
번호
발생
날짜
간호진단
해결
날짜
서명
#3
5/23
3. 시력 저하와 관련된 낙상 위험성
<과학적 근거>
노인이 병원에 입원했을 때 낙상을 초래하는 원인은 혼돈, 다양한 의학적 문제, 전신 쇠약, 익숙하지 않은 환경, 높은 연령이 있다. 낙상을 입은 사람들은 중증도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낙상을 사전에 예방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기본간호학1 ,2 (제 6판, 2014) 변영순 외, 계축문화사
성인간호학 (상) (2017), 신경림 외, 현문사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2015), 원종순 외, 현문사
<합리적 근거>
객관적 자료
- 85세인 고령의 나이임
양안이 백내장으로 인해 잘 보이지 않음
- 발작적 기침 보임
- Morse 낙상위험사정도구 사정결과 45점으로 high risk로 나 타남
하지근력이 감소함
이동시 워커가 아닌 폴대를 사용하여 이동하시거나 지지대 없이 보행하심
수액을 하고 계심
걸을 때 덜덜 떨며 걸음.
보호자가 계속 상주해 있지 않음
주관적 자료
- “내가 젊을 때는 팔팔했는데 지금은 나이 먹고 힘들어서 어디 나가지도 못해 몸에 힘이 없어”라고 말함
- 화장실 가시는 거 도와드릴까요? 라고 물었을 때 “괜찮아 화장실 정도는 혼자 갈 수 있어.”라고 답하셨다.
6/2
진단
번호
장기목표 : 퇴원 전까지 낙상으로 인한 손상이 없다.
단기목표 : 2일 이내에 대상자는 낙상 위험요인을 정확히 인지한다.
#3
<간호 계획>
<이론적 근거>
진단적 지시
1. 낙상 위험도를 사정한다.
2. 위험한 물리적 환경에 대한 조사를 한다.
1. 낙상 위험도를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맞추어서 정확한 간호 수행을 할 수 있다.
2. 가정이나 병원에서 미끄러운 바닥, 흐린 조명, 어지럽게 놓인 물건, 미끄러운 슬리퍼 등은 낙상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며, 모든 연령에서 발생하지만 노인에게 특히 더 빈번하게 발생한다.
치료적 지시
1. 안전한 환경을 조성한다.
2. 낙상 위험이 있는 주변 환경은 제한한다.
3. 대상자의 신발 상태를 수시로 점검한다.
가정이나 병원에서 미끄러운 바닥, 흐린 조명, 어지럽게 놓인 물건, 미끄러운 슬리퍼 등은 낙상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며, 모든 연령에서 발생하지만 노인에게 특히 더 빈번하게 발생한다.
교육적 지시
1. 대상자에게 낙상 예방 교육을 시행한다.
2. 대상자에게 이동 시 주의사항을 교육한다.
3. 대상자에게 주변 환경에 대한 철저한 교육을 한다.
1. 낙상 위험요인을 정확히 인지하여 보호자나 간호사의 보호 없이도 대상자 스스로 낙상을 예방할 수 있고,
2,3. 노인 낙상 초래되는 이유로 병원에 입원했을 때
기립 시 불안정, 익숙하지 않은 환경 등이다.
간 호 계 획
간 호 진단
번호
수행
날짜
수 행
#3
5/23~6/2
1. Morse 낙상위험사정도구를 사용하여 낙상 위험도를 사정했다.
5/23일 측정, 45(0+15+0+20+10+0) 점으로 낙상고위험군임
2. 침대 바퀴를 잠그고 침대를 낮추어 주며 침상난간을 올려주었다.
3. 대상자의 손이 닿는 범위에 호출버튼과 개인 물품을 놓았다.
4. 침대바퀴가 고정이 되어있는지 수시로 확인하였다.
5. 대상자는 바닥이 미끄럽지 않은 신발이나 슬리퍼를 신었다.
6. 대상자 침상에 낙상위험 표지판을 부착했다.
7. 낙상 고위험군 안내문을 매 근무조마다 설명했다.
8. 대상자가 침상에서 일어날 때 천천히 일어나도록 교육하였다.
9. 야간 취침 전 화장실을 다녀올 수 있도록 교육하였다.
10. 대상자는 이동시 간호조무사의 보조를 받아 이동하도록 교육하였다.
11. 바닥에 미끄러운 용액이나 물이 흘려져있는지 자주 순회하여 점검했다.
12. 야간에 취침등을 켜주었다.
13. 안전, 사고예방을 위해 침상의 커튼을 걷고 있도록 교육했다.
수 행
진단
번호
평가내용
#3
장기목표 : 퇴원 전까지 낙상으로 인한 손상이 없다. (6/2)
→ 대상자는 낙상으로 인한 손상이 없는 것으로 보아 목표 달성되었다.
단기목표 : 2일 이내에 대상자는 낙상 위험요인을 정확히 인지한다. (5/25)
→ 대상자는 낙상 위험요인을 말로 표현할 수 있고 이동시 보조기구나 간호조무사의 도움을 받아 이동하는 것을 보아 목표 달성되었다.
간 호 평 가
4. 출처
간호사를 위한 임상약리학 10판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2015), 원종순 외, 현문사
기본간호학1 ,2 (제 6판, 2014) 변영순 외, 계축문화사
성인간호학 (상) (2017), 신경림 외, 현문사
  • 가격2,500
  • 페이지수29페이지
  • 등록일2022.05.18
  • 저작시기201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692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