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식의 문헌고찰 진단법 간호과정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천식의 문헌고찰 진단법 간호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기간 및 방법

Ⅱ. 본 론
1. 문헌고찰
2. 간호사정
- 개인력
- 신체 검진
- 진단검사
- 임원중 처치
3. 간호과정

Ⅲ. 결 론
1. 연구결과 정리
2. 실습 소감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일반주사
구토, 설사, 구역 등 위장장애
항염증효과
면역억제효과
삐콤헥사주사액 2cc
1회 1amp을 근주또는 정주
일반주사
쇼크 증상 , 발진, 가려움, 과민반응
비타민 보급제
< 약물요법 >
약물명
용량/용법
약효분류
예상부작용
효과
구주인산코데인정 20mg
1회 1정
1일 3회복용
일반약
약물 의존성
진통, 진해, 해소
싱귤레어정 10mg
1회 1정
1일1회복용
저녁복용
일반약
이상반응, 발열, 두드러기, 구토
천식의 예방,
지속적 치료
지아이지정
150mg
1회 150mg
1일 2회복용
오전 또는 취침 시 복용
일반약
쇼크증상, 과민증 , 두드러기, 기관지경련, 발열
소염진통제
가스모틴정
5mg
1일 15mg
1일 3회복용
식전 또는 식후
일반약
설사, 구갈,
권태감
소화 불량,
소화 기능 이상
약물명
용량/용법
약효분류
예상부작용
효과
아벤트로흡입액
네블라이저를 이용투여 04~2.0mg을 1일 4회
일반약
정신신경계, 진전, 두통, 불면, 피로
기관지천식, 만성기관지염, 폐기종
부데코트흡입액
분무를 이용 투여 1회 1~2mg 1일 2회투여
일반약
인후통, 설염, 구갈, 기침
기관지 천식
벤토린네뷸
분무를 이용 투여 5.0mg을 4~6시간 간격으로 투여
일반약
중증의 급성천식
<흡인요법>
3, 간호과정
간호진단
#1. 기관지 분비물 증가와 관련된 기도개방 유지 불능
사정
객관적 자료 : 체온: 37.5˚C 맥박: 90회 호흡: 25회
혈압: 150/80
창백한 피부
반파울러씨 체위로 누워있고, 좀 더 이완되어
있음.
비강 캐뉼라를 통해 2리터/분으로 O2를 공급받고 있음.
주관적 자료 : “숨쉬기가 힘들어”
“기침이 멈추지가 않어”
“가슴이 답답해”
간호목표
대상자의 호흡은 6시간 이내에 분당 18~20회로 감소될 것이다.
간호계획
1. 호흡을 1분간 촉진한다.
2. 기도의 개방성 유지를 위해 수분섭취를 증가한다.
3. 객담배출을 위해 체위변경을 시킨다.
4. 매 2시간마다 기침과 심호흡을 격려한다.
5. 필요에 따라 기관지 확장제를 분무기로 연무한다.
간호수행
1. 호흡하기 용이한 체위인 파울러씨 체위를 취해주었다.
2. 심호흡을 교육시켰다.
3. 체위를 2시간마다 바꾸어 주었다.
4. 객담배출을 위해 물리요법을 매일 2회 실시해 주었다.
5. 필요시 처방에 따라 기관지 확장제를 투여해주었다.
평가
1. 대상자는 반 파울러씨 체위로 있을 때 편안해졌다고 말한다.
2. 호흡수가 25회에서 정상범위인 20회로 감소되었다.
간호진단
#2. 음식섭취량 부족과 관련된 영양부족
사정
객관적 자료 : 입실 후 병원에서 식사를 하지 않는다.
입술이 항상 건조하고 말라있다.
주관적 자료 : “기침 때문에 먹지도 못해”
간호목표
대상자는 1800칼로리 식사에 협조한다.
간호계획
1. 안위를 제공한다.
2. 호흡을 촉진한다.
3. 구강간호를 제공한다.
4. 유동식을 제공한다.
5. 식사와 영양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한다.
6. 필요시 투약으로 탈수를 예방한다.
간호수행
1. 간편한 대화와 지지로 대상자를 안심시켰다.
2. 환자가 호흡하기 편안한 파울러씨 체위를 취해주었다.
3. 구강간호를 자주 실시해 주었다.
4. 유동식을 제공해주었다.
5. 식사와 영양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해 주었다.
6. 호흡곤란으로 섭취 불능 시 정맥 주입으로 보충하였다.
평가
1. 환자와 보호자 모두 식사와 영양의 중요성을 알고, 유동식을 하시며 탈수상태가 나타나지 않았다.
2. 식사 후 산책하시며 식사를 잘하시는 모습을 확인했다.
간호진단
#3. 발열과 관련된 수면장애
사정
객관적 자료 : 얼굴이 빨갛게 달아올랐다.
피부에 빨간 발진이 올라왔다.
4/13, 7PM 체온 38.8로 측정되었다.
주관적 자료 : “아파서 잠을 못자겠어요.”
“매일 자다 깨다 토끼잠을 자.”
간호목표
정상체온을 유지하며, 정상적인 수면을 취한다.
간호계획
1. 계속적으로 체온을 사정한다.
2. Ice pack과 차가운 수건을 몸에 대준다.
3. 수분섭취를 권장한다.
4. 필요시에 투약을 한다.
간호수행
1. 30분 간격으로 체온을 측정했다.
19시
19시 30분
20시
20시 30분
38.8
38.3
37.5
37.1
2. Ice pack과 차가운 수건을 몸에 대드렸다.
3. 수분공급을 위해 물을 많이 드시게 했다.
4. 필요시 트롤락주 10mg IV투여 해드렸다.
평가
정상체온으로 내려왔고, 잘 주무시는 모습 확인했다.
Ⅲ. 결론
이상의 사례보고서의 대상자인 46세 추ㅇㅇ씨는 천식환자로서 환자는 가족력은 없으나 3년 전부터 천식으로 인해 본원 호흡기내과를 내원하고 계셨으며, 2009년 04월 13일 오후 갑작스러운 dyspnea로 응급실로 내원 하였다.
약물 투여 전 체온은 38.8˚C,호흡곤란과 발열 증상이 있었으나 약물 투여 30분후 안정을 찾고 잠에 드셨으며 13일 PM 10:20에 환자가 두통을 느꼈고 체온측정결과 38.5˚C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약물을 투여하였고 14일 AM 00:03 환자에게 2L에 산소를 비강으로 흡인하기 시작 하였다. nebulize는 계속적으로 적용중이며, am 6시경 체온이 36.5˚C로 떨어졌으며 4시간 후 측정 시 36.2˚C로 체온하강을 보였고 이후 pm 4시경 환자는 내과병동 입원장이 발급되어 입원하였다.
대상자의 증상과, 상황에 가장 적합한 간호진단을 3가지 내리고 체계적인 간호과정을 계획하였다. 간호진단은“기관지 분비물 증가와 관련된 기도개방 유지 불능”, “음식섭취량 부족과 관련된 영양부족”, “발열과 관련된 수면장애”이렇게 3가지로 내리고, 이에 알맞은 목표와 계획을 세우고 간호를 수행하였다.
지금까지 수행한 간호가 환자에게 도움이 되었길 바라면서 본 사례연구를 마칩니다.
※참고 문헌
1. 신뢰할수 있는 1000만 건의 고급자료
2. 노인천식 실태와 대책
3. 홍영혜 외 다수공저(2006. 7) :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4. 영한 의학사전 (1999): 이병희 외 , 서울: 수문사
5. 이향련 외 다수공저(2008. 1) : “성인간호학 Ⅰ”, 서울: 수문사
6. www.naver.com
7. www.kimsonline.co.kr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0.01.08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26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