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산업간호 사정자료 요약
2. 사정한 자료를 바탕으로 산업간호 진단을 제시한다.
3. 우선순위 결정
4.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간호진단에 대한 간호계획의 목표를 중심으로 기술한다.
5. 간호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과 계획한 간호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선택하여 괄호 안에 V 표시하고, 내용을 간단히 기술한다.
6. 산업간호 중재 내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간호수행방안을 작성한다.
7. 평가시기, 평가방법, 평가범주, 평가기준 등을 계획하여 간단히 기술한다.
2. 사정한 자료를 바탕으로 산업간호 진단을 제시한다.
3. 우선순위 결정
4.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간호진단에 대한 간호계획의 목표를 중심으로 기술한다.
5. 간호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과 계획한 간호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선택하여 괄호 안에 V 표시하고, 내용을 간단히 기술한다.
6. 산업간호 중재 내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간호수행방안을 작성한다.
7. 평가시기, 평가방법, 평가범주, 평가기준 등을 계획하여 간단히 기술한다.
본문내용
로자들에게 반장님에게 보고 후 산업보건센터를 이용하도록 한다.
(V) 작업변경 : 건강진단검사 결과 작업전환이 필요한 근로자는 의사와 충분한 협의를 할 수 있도록 보조하며 지원한다.
☞ 산업간호 중재 내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간호수행방안을 작성한다.
■ 간호진단 : 작업 내 소음으로 인한 난청
■ 일반적 목표 : 제 1, 3 공장의 소음성 난청 C1(직업병 요관찰자)들은 2018년 4월 2일부터 11월 31일까지 보건교육과
관리를 통해 특수 건강검질 결과 소음성 난청 C1의 수를 100% 유지한다.
구체적 목표
제 1, 3 공장의 소음성 난청 C1(직업병 요관찰자)들은 2018년 4월 2일부터 11월 31일까지 주 2회 보건관리자의 산업장 방문시에
보호구(귀마개, 귀덮개) 착용률이 90% 이상이다.
수행
계획
수행내용
1. 2018년 4월부터 11월 까지 매달 첫 주 수요일에 소음성 난청과 보호구(귀마개, 귀덮개) 착용법에 대해 교육한다.
2. 2018년 4월부터 11월 까지 주 2회 수시로 산업장을 방문하여 보호구 착용을 확인하며 미착용자나 이어폰 착용 3회 적발시
각 부서 반장에게 보고 후 추가교육을 실시하도록 한다.
수행방법
1 - ① 광주기아자동차 안전관리팀과 교육팀의 협조를 통해서 장소와 건강검진결과 소음성 난청 C1(직업병 요관찰자) 근로자의
대상으로 한 소음성 난청 및 보호구 착용법 보건교육에 대한 공문을 각 부서에 발송한다.
1 - ② 만약 참가하지 못 할시 불참 사유와 반장의 서명을 받도록 한다.
1 - ③ 첫 주 수요일 체육관에 모인 참가자들의 명단을 확인한 후 소음성 난청과 보호구 착용법에 대해 교육한다.
1 - ④ 자동차 제조업장이므로 dB이 높은 작업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현 교육자들은 소음성 난청 직업병 요관찰자라고 설명한다.
1 - ⑤ 소음성 난청에 대한 정의 및 증상에 대해 설명한다. 특히 소음에 따른 청력 손상은 회복이 불가능하므로 예방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1 - ⑥ 귀마개 착용시 귀에 꽉 맞게 끼워야한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살짝 걸치는 수준은 아무런 효과가 없다는 것을 설명한다.
1 - ⑦ 귀마개는 각 부서에 충분한 양을 제공했으므로 혹시나 잃어버리거나 교환을 원하는 대상자들은 언제든지 가능하다고 설명한다.
1 - ⑧ 궁금한 사항이 있으면 질문을 받는다.
2 - ① 매 주 2회 불시에 1공장과 3공장의 작업장의 보호구 착용률을 확인하기 위해 방문한다.
2 - ② 미착용자나 이어폰 사용시 명단을 적고 3회 적발시 각 부서 반장에게 보고를 하며 추가교육을 받는다고 말해준다.
2 - ③ 미착용자나 이어폰 착용자에게 보호구 유무를 묻고 없을시에는 즉시 제공해주어 착용하여 작업하도록 한다.
수행자
산업 간호사, 광주기아자동차 안전관리팀, 교육팀, 체육관 담당관, 서버 관리자
수행기간
2018년 4월 2일 ~ 11월 31일
수행장소
제 1, 3 공장, 체육관
■ 간호진단 : 작업 내 소음으로 인한 난청
■ 일반적 목표 : 제 1, 3 공장의 소음성 난청 C1(직업병 요관찰자)들은 2018년 4월 2일부터 11월 31일까지 보건교육과
관리를 통해 특수 건강검질 결과 소음성 난청 C1의 수를 100% 유지한다.
구체적 목표
제 1, 3 공장의 소음성 난청 C1(직업병 요관찰자)들은 2018년 4월 2일부터 11월 31일까지 85dB 이상의 공정 부서에 근무할 시
소음성 난청 진단 검사(순음청력검사)의 검진률이 70% 이상이다.
수행
계획
수행내용
1. 부서별 작업환경 dB 측정치를 기록하여 85dB 이상의 공정 부서의 소음성 난청 직업병 요관찰자들을 색출한다.
2. 색출된 소음성 난청 직업병 요관찰자에게 진단 검사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상담한 뒤 이비인후과에 의뢰하여 진료 받게 한다.
수행방법
1 - ① 기아 유해환경 인자별 측정결과표를 이용하여 제 1, 3 공장의 작업 공장 중 85dB 이상인 곳을 정리한다.
1 - ② 정리한 작업 공장에 근무하는 소음성 난청 직업병 요관찰자들을 색출한다.
2 - ① 색출한 요관찰자들의 부서장과 연락 후 개인 상담을 할 수 있도록 요청한다.
2 - ② 개인 상담시에 85dB ~ 90dB 이상의 소리에 장시간 노출되는 경우 소음성 난청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을 설명한다.
2 - ③ 평상시에는 이야기하는 것에는 문제가 없어 관리를 하지 않다가 갑자기 청력이 악화되는 경우가 많고 회복도 불가능하므로
소음성 난청 진단 검사(순음청력검사)를 받도록 제안한다.
2 - ④ 검사를 받을 대상자의 명단을 이비인후과(기아자동차 협력병원)에 넘겨 의뢰를 요청한다.
2 - ⑤ 날짜를 정한 후 무료로 대상자들을 검사받게 한다.
수행자
산업 간호사, 광주기아자동차 안전관리팀, 교육팀, 체육관 담당관, 서버 관리자
수행기간
2018년 4월 2일 ~ 11월 31일
수행장소
제 1, 3 공장, 체육관
☞ 평가시기, 평가방법, 평가범주, 평가기준 등을 계획하여 간단히 기술한다.
구분
평가시기
평가대상
평가자
평가방법
평가기준
소음성 난청 C1
- 특수 건강진단
1차 - 5. 26 ~ 12. 29
2차 - 8. 30 ~ 12. 29
제 1, 3 공장
소음성 난청 C1
(168명)
산업간호사
- 특수 건강진단 검사 결과
C1의 숫자 확인
- 168명에서 변동 없을 시
목표 달성
소음으로 인한
난청예방을 위한
보호구 착용
- 매 주 2회(수시로)
제 1, 3 공장
소음성 난청 C1
(168명)
산업간호사
- 공장을 방문하여
보호구(귀마개, 귀덮개)
착용자 확인
- 162명 이상 보호구 착용 시
목표 달성
소음성 난청 진단검사
(순음청력검사)
- 2018년 4월 2일부터 11월 31일까지
제 1, 3 공장
소음성 난청 C1
(168명)
산업간호사
- 85dB 이상 공정 부서 중
검사받은 C1의 숫자
- 85dB 이상 공정 부서 중
C1 중 검사받은 대상자
70% 이상 시 목표달성
◆ Reference ◆
1) 박인혜 외 다수 지역사회간호학 I 현문사
2) 박인혜 외 다수 지역사회간호학 II 현문사
3) 광주대학교 지역사회간호학 실습 2 지침서
4)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 감각신경성 난청
(V) 작업변경 : 건강진단검사 결과 작업전환이 필요한 근로자는 의사와 충분한 협의를 할 수 있도록 보조하며 지원한다.
☞ 산업간호 중재 내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간호수행방안을 작성한다.
■ 간호진단 : 작업 내 소음으로 인한 난청
■ 일반적 목표 : 제 1, 3 공장의 소음성 난청 C1(직업병 요관찰자)들은 2018년 4월 2일부터 11월 31일까지 보건교육과
관리를 통해 특수 건강검질 결과 소음성 난청 C1의 수를 100% 유지한다.
구체적 목표
제 1, 3 공장의 소음성 난청 C1(직업병 요관찰자)들은 2018년 4월 2일부터 11월 31일까지 주 2회 보건관리자의 산업장 방문시에
보호구(귀마개, 귀덮개) 착용률이 90% 이상이다.
수행
계획
수행내용
1. 2018년 4월부터 11월 까지 매달 첫 주 수요일에 소음성 난청과 보호구(귀마개, 귀덮개) 착용법에 대해 교육한다.
2. 2018년 4월부터 11월 까지 주 2회 수시로 산업장을 방문하여 보호구 착용을 확인하며 미착용자나 이어폰 착용 3회 적발시
각 부서 반장에게 보고 후 추가교육을 실시하도록 한다.
수행방법
1 - ① 광주기아자동차 안전관리팀과 교육팀의 협조를 통해서 장소와 건강검진결과 소음성 난청 C1(직업병 요관찰자) 근로자의
대상으로 한 소음성 난청 및 보호구 착용법 보건교육에 대한 공문을 각 부서에 발송한다.
1 - ② 만약 참가하지 못 할시 불참 사유와 반장의 서명을 받도록 한다.
1 - ③ 첫 주 수요일 체육관에 모인 참가자들의 명단을 확인한 후 소음성 난청과 보호구 착용법에 대해 교육한다.
1 - ④ 자동차 제조업장이므로 dB이 높은 작업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현 교육자들은 소음성 난청 직업병 요관찰자라고 설명한다.
1 - ⑤ 소음성 난청에 대한 정의 및 증상에 대해 설명한다. 특히 소음에 따른 청력 손상은 회복이 불가능하므로 예방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1 - ⑥ 귀마개 착용시 귀에 꽉 맞게 끼워야한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살짝 걸치는 수준은 아무런 효과가 없다는 것을 설명한다.
1 - ⑦ 귀마개는 각 부서에 충분한 양을 제공했으므로 혹시나 잃어버리거나 교환을 원하는 대상자들은 언제든지 가능하다고 설명한다.
1 - ⑧ 궁금한 사항이 있으면 질문을 받는다.
2 - ① 매 주 2회 불시에 1공장과 3공장의 작업장의 보호구 착용률을 확인하기 위해 방문한다.
2 - ② 미착용자나 이어폰 사용시 명단을 적고 3회 적발시 각 부서 반장에게 보고를 하며 추가교육을 받는다고 말해준다.
2 - ③ 미착용자나 이어폰 착용자에게 보호구 유무를 묻고 없을시에는 즉시 제공해주어 착용하여 작업하도록 한다.
수행자
산업 간호사, 광주기아자동차 안전관리팀, 교육팀, 체육관 담당관, 서버 관리자
수행기간
2018년 4월 2일 ~ 11월 31일
수행장소
제 1, 3 공장, 체육관
■ 간호진단 : 작업 내 소음으로 인한 난청
■ 일반적 목표 : 제 1, 3 공장의 소음성 난청 C1(직업병 요관찰자)들은 2018년 4월 2일부터 11월 31일까지 보건교육과
관리를 통해 특수 건강검질 결과 소음성 난청 C1의 수를 100% 유지한다.
구체적 목표
제 1, 3 공장의 소음성 난청 C1(직업병 요관찰자)들은 2018년 4월 2일부터 11월 31일까지 85dB 이상의 공정 부서에 근무할 시
소음성 난청 진단 검사(순음청력검사)의 검진률이 70% 이상이다.
수행
계획
수행내용
1. 부서별 작업환경 dB 측정치를 기록하여 85dB 이상의 공정 부서의 소음성 난청 직업병 요관찰자들을 색출한다.
2. 색출된 소음성 난청 직업병 요관찰자에게 진단 검사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상담한 뒤 이비인후과에 의뢰하여 진료 받게 한다.
수행방법
1 - ① 기아 유해환경 인자별 측정결과표를 이용하여 제 1, 3 공장의 작업 공장 중 85dB 이상인 곳을 정리한다.
1 - ② 정리한 작업 공장에 근무하는 소음성 난청 직업병 요관찰자들을 색출한다.
2 - ① 색출한 요관찰자들의 부서장과 연락 후 개인 상담을 할 수 있도록 요청한다.
2 - ② 개인 상담시에 85dB ~ 90dB 이상의 소리에 장시간 노출되는 경우 소음성 난청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을 설명한다.
2 - ③ 평상시에는 이야기하는 것에는 문제가 없어 관리를 하지 않다가 갑자기 청력이 악화되는 경우가 많고 회복도 불가능하므로
소음성 난청 진단 검사(순음청력검사)를 받도록 제안한다.
2 - ④ 검사를 받을 대상자의 명단을 이비인후과(기아자동차 협력병원)에 넘겨 의뢰를 요청한다.
2 - ⑤ 날짜를 정한 후 무료로 대상자들을 검사받게 한다.
수행자
산업 간호사, 광주기아자동차 안전관리팀, 교육팀, 체육관 담당관, 서버 관리자
수행기간
2018년 4월 2일 ~ 11월 31일
수행장소
제 1, 3 공장, 체육관
☞ 평가시기, 평가방법, 평가범주, 평가기준 등을 계획하여 간단히 기술한다.
구분
평가시기
평가대상
평가자
평가방법
평가기준
소음성 난청 C1
- 특수 건강진단
1차 - 5. 26 ~ 12. 29
2차 - 8. 30 ~ 12. 29
제 1, 3 공장
소음성 난청 C1
(168명)
산업간호사
- 특수 건강진단 검사 결과
C1의 숫자 확인
- 168명에서 변동 없을 시
목표 달성
소음으로 인한
난청예방을 위한
보호구 착용
- 매 주 2회(수시로)
제 1, 3 공장
소음성 난청 C1
(168명)
산업간호사
- 공장을 방문하여
보호구(귀마개, 귀덮개)
착용자 확인
- 162명 이상 보호구 착용 시
목표 달성
소음성 난청 진단검사
(순음청력검사)
- 2018년 4월 2일부터 11월 31일까지
제 1, 3 공장
소음성 난청 C1
(168명)
산업간호사
- 85dB 이상 공정 부서 중
검사받은 C1의 숫자
- 85dB 이상 공정 부서 중
C1 중 검사받은 대상자
70% 이상 시 목표달성
◆ Reference ◆
1) 박인혜 외 다수 지역사회간호학 I 현문사
2) 박인혜 외 다수 지역사회간호학 II 현문사
3) 광주대학교 지역사회간호학 실습 2 지침서
4)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 감각신경성 난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