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전자미디어를 이용한 교육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서술
2. 참고자료
2. 참고자료
본문내용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것으로는 아이들의 글쓰기 역량을 강화할 수는 없다는 것이 엄연한 사실인 것이다. 상황에 따라 단순히 한글 교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것보다는 실제 아이들이 글을 쓰고 읽는 과정에 참여하는 것이 교육적 효과가 더 크다는 것이다.
-전자미디어를 통한 교육으로는 아이들의 사회성을 효과적으로 발달시킬 수 없다. 전자미디어를 통한 교육이 강조될 때, 아이들은 또래들과의 만남을 축소하면서 단순히 전자미디어기기를 시청하는 것으로 교육을 받게 되는데... 이처럼 또래들과 만나는 기회가 축소된다면 아이들은 사회성을 그만큼 발달시킬 수 없는 것이다.
-학자들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전자미디어를 통한 교육은 득보다 실이 많다고 한다. 특히 전자미디어에 중독된 아이들은 현실적응력이 떨어지면서 오프라인으로 진행되는 교육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호소할 수도 있다고 한다. 또한 전자미디어에는 각종 음란물, 폭력물이 난무하고, 전자미디어를 통해 이러한 음란물과 폭력물을 접하게 되는 아이들이 많다는 점도 문제라 할 것이다.
2. 참고자료
영유아의 사회정서발달과 교육 Marjorie J. Kostelnik 저 | 박경자 외 2명 역 | 교문사 | 2017.08.30
-전자미디어를 통한 교육으로는 아이들의 사회성을 효과적으로 발달시킬 수 없다. 전자미디어를 통한 교육이 강조될 때, 아이들은 또래들과의 만남을 축소하면서 단순히 전자미디어기기를 시청하는 것으로 교육을 받게 되는데... 이처럼 또래들과 만나는 기회가 축소된다면 아이들은 사회성을 그만큼 발달시킬 수 없는 것이다.
-학자들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전자미디어를 통한 교육은 득보다 실이 많다고 한다. 특히 전자미디어에 중독된 아이들은 현실적응력이 떨어지면서 오프라인으로 진행되는 교육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호소할 수도 있다고 한다. 또한 전자미디어에는 각종 음란물, 폭력물이 난무하고, 전자미디어를 통해 이러한 음란물과 폭력물을 접하게 되는 아이들이 많다는 점도 문제라 할 것이다.
2. 참고자료
영유아의 사회정서발달과 교육 Marjorie J. Kostelnik 저 | 박경자 외 2명 역 | 교문사 | 2017.08.3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