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호흡곤란 증후군 병태생리 ....................................... p3
임상증상 ....................................... p4
진단검사 ....................................... p4
치료적 중재 .................................. p5
예방적 중재 .................................. p5
간호 ............................................. p6
Ⅱ. 기관내 흡인의 핵심기본간호술 절차와 이론적 근거 ...... p7
Ⅲ. 출처 ....................................................................... p8
임상증상 ....................................... p4
진단검사 ....................................... p4
치료적 중재 .................................. p5
예방적 중재 .................................. p5
간호 ............................................. p6
Ⅱ. 기관내 흡인의 핵심기본간호술 절차와 이론적 근거 ...... p7
Ⅲ. 출처 ....................................................................... p8
본문내용
대상자에게 무엇을 시행하는지 그 이유와 방법에 대해서 설명함으로써 불안을 감소시키고 협조를 높일 수 있다.
6. 손소독제를 이용하여 손위생을 실시한다.
대상자에게 간호수행을 하기 전 손 소독을 수행하여 감염관리를 시행한다.
7. 흡인압을 점검한다
(성인은 110-150mmHg, 아동은 95-100m
mHg).
성인에게 요구되는 압력보다 적은 압력을 사용하여 흡인을 하면 분비물 제거 효과를 볼 수 없고 아동이나 성인에게 기관의 방침보다 높은 압력으로 흡인을 할 경우 점막이 손상될 수 있다.
8. 흡인시 체위는 의식 있는 대상자의 경우 반좌위로 하고, 무의식 대상자는 측위에서 간호사와 얼굴을 마주보도록 한다.
반좌위는 심호흡, 최대한의 폐 확장, 생산적 기침을 증진시킬 수 있다. 무의식 대상자의 경우 측위를 취하여 폐 확장을 증진시킨다.
9. 수건을 대상자의 가슴 위에 덮는다.
흡인을 하면서 나오는 분비물 또는 불순물이 대상자에게 가지 않도록 한다.
10. 무균용기가 들어있는 세트를 열어 용기에 생리식염수를 따른다.
11.* 카테터의 개봉 부위를 약간 개봉한 후, 카테터와 흡인병이 연결되는 압력 조절구 쪽을 노출하여 흡인 line과 연결한다.
12.* 양손에 멸균장갑을 낀다
(필요에 따라 흡인 전 과환기 실시).
흡인동안 발생할 수 있는 저산소증을 예방하기 위해 과환기를 실시한다.
13.* 흡인 line을 잡을 손으로 흡인기를 켠 다음 흡인 line을 들고, 흡인을 할 손으로 포장지 바깥쪽이 닿지 않도록 주의하며 카테터를 꺼낸다.
카테터는 대상자의 기도내로 들어가기 때문에 흡인을 한 손이 다른 곳에 닿아 오염이 되면 안된다.
14.* 삽입할 카테터의 길이를 정한 후 끝을 생리식염수로 윤활 시키고, 흡인 line을 잡은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Y관을 눌러보아 잘 통과하는지 확인한다.
흡인기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게 하며 카테터 외면과 내면에 윤활 역할을 하게 한다. 윤활 역할은 카테터 삽입을 쉽게하며 분비물이 내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15.* Y관을 누르고 있던 엄지손가락을 떼고 나서 인공기도를 통해 카테터를 부드럽게 삽입한다.
조직의 손상이나 저산소증을 방지하기 위해 삽입하는 동안에는 흡인을 하지 않는다.
16.* Y관을 막고 카테터를 잡은 손 엄지와 검지로 카테터를 부드럽게 회전시키면서 위로 뺀다. 분비물 양상과 대상자의 저산소 상태 등을 살피면서 신속히 흡인한다.
흡인시 카테터를 회전시키면 카테터로 점막이 함입되는 것을 막고, 기관의 특정부위가 흡인되는 시간을 최소화 하여 조직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카테터를 부드럽게 회전하여 점막을 골고루 흡인할 수 있어 더욱 깨끗하게 적은 자극으로 분비물을 흡인할 수 있다.
17.* 카테터 삽입부터 흡인하는 시간은 10~15초 이상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흡인 시간이 길어지면 호흡기도 마찰, 저산소증이 발생하므로 산소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18. 흡인을 한 카테터는 무균용기에 있는 생리식염수를 다시 통과시킨다. 분비물이 통과할 때 분비물의 양상을 관찰한다.
19. 추가로 흡인이 필요한 경우 20-30초의 간격을 유지한다.
폐가 재산소화될 기회를 제공한다.
20. 흡인이 끝나면 장갑을 벗고, 흡인기를 끈 다음 물품을 정리한다.
21. 손을 씻는다.
22. 수행 결과를 대상자의 간호기록지에 기록한다.
1) 날짜와 시간
2) 분비물의 특성, 양
3) 흡인 전후 대상자의 호흡양상과 반응
흡인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간호수행 결과를 기록한다.
Ⅲ. 출처
책
손정태 외 7명, 기본간호학 실습, 현문사(2013), p163-p168
홍경자 외 8명, 아동간호학Ⅰ, 수문사(2012), p414-424
6. 손소독제를 이용하여 손위생을 실시한다.
대상자에게 간호수행을 하기 전 손 소독을 수행하여 감염관리를 시행한다.
7. 흡인압을 점검한다
(성인은 110-150mmHg, 아동은 95-100m
mHg).
성인에게 요구되는 압력보다 적은 압력을 사용하여 흡인을 하면 분비물 제거 효과를 볼 수 없고 아동이나 성인에게 기관의 방침보다 높은 압력으로 흡인을 할 경우 점막이 손상될 수 있다.
8. 흡인시 체위는 의식 있는 대상자의 경우 반좌위로 하고, 무의식 대상자는 측위에서 간호사와 얼굴을 마주보도록 한다.
반좌위는 심호흡, 최대한의 폐 확장, 생산적 기침을 증진시킬 수 있다. 무의식 대상자의 경우 측위를 취하여 폐 확장을 증진시킨다.
9. 수건을 대상자의 가슴 위에 덮는다.
흡인을 하면서 나오는 분비물 또는 불순물이 대상자에게 가지 않도록 한다.
10. 무균용기가 들어있는 세트를 열어 용기에 생리식염수를 따른다.
11.* 카테터의 개봉 부위를 약간 개봉한 후, 카테터와 흡인병이 연결되는 압력 조절구 쪽을 노출하여 흡인 line과 연결한다.
12.* 양손에 멸균장갑을 낀다
(필요에 따라 흡인 전 과환기 실시).
흡인동안 발생할 수 있는 저산소증을 예방하기 위해 과환기를 실시한다.
13.* 흡인 line을 잡을 손으로 흡인기를 켠 다음 흡인 line을 들고, 흡인을 할 손으로 포장지 바깥쪽이 닿지 않도록 주의하며 카테터를 꺼낸다.
카테터는 대상자의 기도내로 들어가기 때문에 흡인을 한 손이 다른 곳에 닿아 오염이 되면 안된다.
14.* 삽입할 카테터의 길이를 정한 후 끝을 생리식염수로 윤활 시키고, 흡인 line을 잡은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Y관을 눌러보아 잘 통과하는지 확인한다.
흡인기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게 하며 카테터 외면과 내면에 윤활 역할을 하게 한다. 윤활 역할은 카테터 삽입을 쉽게하며 분비물이 내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15.* Y관을 누르고 있던 엄지손가락을 떼고 나서 인공기도를 통해 카테터를 부드럽게 삽입한다.
조직의 손상이나 저산소증을 방지하기 위해 삽입하는 동안에는 흡인을 하지 않는다.
16.* Y관을 막고 카테터를 잡은 손 엄지와 검지로 카테터를 부드럽게 회전시키면서 위로 뺀다. 분비물 양상과 대상자의 저산소 상태 등을 살피면서 신속히 흡인한다.
흡인시 카테터를 회전시키면 카테터로 점막이 함입되는 것을 막고, 기관의 특정부위가 흡인되는 시간을 최소화 하여 조직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카테터를 부드럽게 회전하여 점막을 골고루 흡인할 수 있어 더욱 깨끗하게 적은 자극으로 분비물을 흡인할 수 있다.
17.* 카테터 삽입부터 흡인하는 시간은 10~15초 이상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흡인 시간이 길어지면 호흡기도 마찰, 저산소증이 발생하므로 산소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18. 흡인을 한 카테터는 무균용기에 있는 생리식염수를 다시 통과시킨다. 분비물이 통과할 때 분비물의 양상을 관찰한다.
19. 추가로 흡인이 필요한 경우 20-30초의 간격을 유지한다.
폐가 재산소화될 기회를 제공한다.
20. 흡인이 끝나면 장갑을 벗고, 흡인기를 끈 다음 물품을 정리한다.
21. 손을 씻는다.
22. 수행 결과를 대상자의 간호기록지에 기록한다.
1) 날짜와 시간
2) 분비물의 특성, 양
3) 흡인 전후 대상자의 호흡양상과 반응
흡인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간호수행 결과를 기록한다.
Ⅲ. 출처
책
손정태 외 7명, 기본간호학 실습, 현문사(2013), p163-p168
홍경자 외 8명, 아동간호학Ⅰ, 수문사(2012), p414-424
추천자료
아동간호실습-가와사키병
[신생아패혈증][신생아두개내출혈][신생아뇌막염][호흡곤란증후군][일과성빈호흡][심폐소생술...
RDS case study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 케이스 스터디)
호흡곤란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
만성신부전 케이스(연구의 필요성부터 ~ 문헌고찰,간호과정, 간호사정, 간호진단, 느낀점 ) A...
간호중재, 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 RDS,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진
기관지천식 케이스 스터디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RD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원인 및 병태생리, 임상양상...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문헌고찰 1. 호흡곤란증후군의 원인 및 병태생리 2. 호흡곤란 증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