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주간의 실습일지
본문내용
여자아이를 보았다 아이의 몸이 불편한 것은 한눈에 보였지만 나와 어디가 다른 건지 정신적인 질환은 눈에 띄지 않았다. 그저 밝고 또래인 간호학생을 보아서 기분 좋게 흥분한 어린여자아이였다. 간호학생들이 병동에 들어서자 환자분들은 모두들 관심을 가지고 맞아주셨다. 다른 실습과는 다르게 환자분들이 먼저 이름을 묻고 악수를 청하고 다들 상기된 표정이었다. 책임간호사 선생님께서 병동에 대해서 이것저것 알려주셨다. 간호사실 안에는 3개의 방으로 구성된 안정실이 위치해있었다. 안정실은 환자들을 구속하기 전에 흥분을 가라앉히고 생각할 시간을 갖기 위한 장소라고 알려주셨다. 정신질환은 아무래도 만성으로 가다보니 나이 드신 분들이 많았고 조현병이 70%정도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아직 해보지는 못했지만 환자분들 v/s측정과 bst를 매일 아침 출근한 후 시행하고 입력해야한다. 그리고 주말을 제외하고는 평일 오후 1시 40분경에는 치료적 프로그램을 시행하는데 오늘은 환자분들 미술교육을 실시하였다. 본인을 나타낼 수 있는 가면을 만들고 가면 뒷면에는 나의 진짜 모습을 적고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는데 정말 멋진 작품을 만드시는 분들이 많았다. 아직 환자 파악이 안 되어서 이름과 병명을 파악하지 못했지만 내일부터는 꼼꼼히 봐야겠다.
더 공부할 내용
치료적 의사소통기술
자신을 제공 : 치료자 자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대상자가 치료자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
일반적 주제로 시작 : “요즈음 주로 무엇을 생각하고 있습니까?”, 대상자가 자신이 이야기하고
싶은 주제를 선택하도록 격려하게 되며, 지금 여기 있음을 확인하도록 함
초점 맞추기 : “지금 우리는 00님의 친구에 대해 얘기를 하고 있었습니다. 그 얘기를 좀 더 들려주시겠어요.”, 대상자가 여러 가지 복합적인 이야기를 하여 대화의 주제가 모호해질 때 대화의 초점이 한 가지에 집중되도록 하는 기술
바꿔 말하기 : 대상자가 말한 것과 같은 뜻을 가진 다른 말을 사용함으로써 간단히 그의 말을 확인하는 것
직면 : 대상자가 갖고 있는 문제를 스스로 맞닥뜨리게 하거나 회피하고 있는 감정이나 행동을 정면으로 바라보게 하는 것, 말과 행동 사이가 불일치하거나 모순되는 점이 있을 때 지적해주는 것
반영 : 느낌반영은 대상자가 말한 느낌으로 주의를 다시 돌림. 반영은 간호사가 대상자에게 감정
이입이 되었음을 알려주는 효과를 주어 신뢰감 형성에 도움을 줌 (예. “내가 왜 이러는
지 모르겠어요 엄마를 미워해서는 안 되는 것을 알면서 엄마가 면회 오면 화를 낼 것 같
아요”, “00님은 엄마를 미워하는 것을 두려워하시는 군요”)
내용반영은 간호사가 이해한 메시지의 니용을 서술적이고 인지적인 단어를 사용해서 진술
하는 것
미래에 대한 계획을 격려 : 대상자가 같은 문제를 다시 갖게 될 경우 어떻게 할 것인지 등에 대해 스스로 계획해 보도록 격려하는 기술
날짜/요일
2018.06.26
실습내용
및 소감
오늘 출근해서 bst를 시행하고 전자기록을 올렸다. 오늘은 비가 와서 비에 대한 얘기로 환자분들께 다가갔다. 어제 한번
더 공부할 내용
치료적 의사소통기술
자신을 제공 : 치료자 자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대상자가 치료자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
일반적 주제로 시작 : “요즈음 주로 무엇을 생각하고 있습니까?”, 대상자가 자신이 이야기하고
싶은 주제를 선택하도록 격려하게 되며, 지금 여기 있음을 확인하도록 함
초점 맞추기 : “지금 우리는 00님의 친구에 대해 얘기를 하고 있었습니다. 그 얘기를 좀 더 들려주시겠어요.”, 대상자가 여러 가지 복합적인 이야기를 하여 대화의 주제가 모호해질 때 대화의 초점이 한 가지에 집중되도록 하는 기술
바꿔 말하기 : 대상자가 말한 것과 같은 뜻을 가진 다른 말을 사용함으로써 간단히 그의 말을 확인하는 것
직면 : 대상자가 갖고 있는 문제를 스스로 맞닥뜨리게 하거나 회피하고 있는 감정이나 행동을 정면으로 바라보게 하는 것, 말과 행동 사이가 불일치하거나 모순되는 점이 있을 때 지적해주는 것
반영 : 느낌반영은 대상자가 말한 느낌으로 주의를 다시 돌림. 반영은 간호사가 대상자에게 감정
이입이 되었음을 알려주는 효과를 주어 신뢰감 형성에 도움을 줌 (예. “내가 왜 이러는
지 모르겠어요 엄마를 미워해서는 안 되는 것을 알면서 엄마가 면회 오면 화를 낼 것 같
아요”, “00님은 엄마를 미워하는 것을 두려워하시는 군요”)
내용반영은 간호사가 이해한 메시지의 니용을 서술적이고 인지적인 단어를 사용해서 진술
하는 것
미래에 대한 계획을 격려 : 대상자가 같은 문제를 다시 갖게 될 경우 어떻게 할 것인지 등에 대해 스스로 계획해 보도록 격려하는 기술
날짜/요일
2018.06.26
실습내용
및 소감
오늘 출근해서 bst를 시행하고 전자기록을 올렸다. 오늘은 비가 와서 비에 대한 얘기로 환자분들께 다가갔다. 어제 한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