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정서발달의 이론적 접근
1. 행동주의 및 사회학습이론
2. 인지발달이론
3. 기능주의적 접근
II. 정서의 기능
III. 주요 정서반응
1. 공포와 불안
2. 분노, 적대감, 질투
3. 공격성
4. 행복
* 참고문헌
1. 행동주의 및 사회학습이론
2. 인지발달이론
3. 기능주의적 접근
II. 정서의 기능
III. 주요 정서반응
1. 공포와 불안
2. 분노, 적대감, 질투
3. 공격성
4. 행복
*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것으로, 어릴 때 공격적인 아동은 커서도 공격 행동을 유지하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본다(Bates, Pettit, & Dodge, 1995). 그러나 공격성이 안정적이라고 단정내릴 수 없는 증거도 있다. 우리나라 3세에서 7세 아동을 대상으로 지적 능력과의 관계를 살펴 본 언구(곽금주 박혜원 박광배 김민경, 1996)에서 지능과 같은 안정된 변인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성장하면서 학습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아동의 공격적인 행동은 여러 주변의 영향을 받는다(Kostelnik, Stein, Whiren, & Soderman. 1993). 첫째, 가족은 아동의 행동발달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가족과의 관계가 불만족스럽고 신뢰롭지 못하면 공격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Maughan, Pickles, & Quinton, 1995). 특히 아동의 요구에 대한 어머니의 무반응은 공격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eenan & Shaw, 1995). 둘째, 또래도 또한 공격성 발달에 영향을 준다. 놀이 친구들과의 관계가 잘 형성되지 않거나 공격적인 친구와의 빈번한 상호작용은 공격 행위를 증가시키도록 한다(Boivin & Vitaro, 1995). 첫째, 폭력적인 TV나 영화는 아동의 공격 행동을 학습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4) 행복
2-6세 아동은 불유쾌한 감정을 표현하는 것을 통제하도록 배울 뿐만 아니라 기음 애정의 유패한 감정도 성숙되게 표현하도록 그 방법을 배워나간다. 2세된 아동은 분노의 감정을 직설적으로 표현하듯이 기쁨의 감정도 있는 그대로 노출한다. 좋아서 깡총깡총 뛸 뿐 아니라 사람을 껴안고 손뼉을 친다. 그러나 6세 아동의 기물의 표현은 2세 아동과 다르다. 훨씬 세련된 방법으로 기쁘다는 것을 표현한다.
어릴 때는 신체적 안락함에서 기쁨을 얻으나 나이가 들면 정신적 사고를 통해 기쁨을 맛본다. 예를 들어 TV의 유머나 즐거운 장면을 보면서 즐거워하는 것은 사고를 통한 즐거움이다. 애정의 대상도 어렸을 때는 어머니나 돌봐주는 사람으로 한정되었으나 크면서 장난감, 동물, 그리고 친구 또는 동생 등과 같이 애정의 대상이 확대된다.
최근 행복의 정서와 인성특성의 5가지 영역, 즉 외향성-내향성, 신경성 노이로제, 경험의 공개성(openness to experience), 동의성(agreeableness), 양심(conscientiousness)의 관계를 밝힌 연구들이 행해지고 있다. 그 결과 외향적이고 신경증이 적은 사람이 행복을 느꼈으나 경험의 공개성은 서로 관련이 없었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아동의 공격적인 행동은 여러 주변의 영향을 받는다(Kostelnik, Stein, Whiren, & Soderman. 1993). 첫째, 가족은 아동의 행동발달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가족과의 관계가 불만족스럽고 신뢰롭지 못하면 공격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Maughan, Pickles, & Quinton, 1995). 특히 아동의 요구에 대한 어머니의 무반응은 공격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eenan & Shaw, 1995). 둘째, 또래도 또한 공격성 발달에 영향을 준다. 놀이 친구들과의 관계가 잘 형성되지 않거나 공격적인 친구와의 빈번한 상호작용은 공격 행위를 증가시키도록 한다(Boivin & Vitaro, 1995). 첫째, 폭력적인 TV나 영화는 아동의 공격 행동을 학습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4) 행복
2-6세 아동은 불유쾌한 감정을 표현하는 것을 통제하도록 배울 뿐만 아니라 기음 애정의 유패한 감정도 성숙되게 표현하도록 그 방법을 배워나간다. 2세된 아동은 분노의 감정을 직설적으로 표현하듯이 기쁨의 감정도 있는 그대로 노출한다. 좋아서 깡총깡총 뛸 뿐 아니라 사람을 껴안고 손뼉을 친다. 그러나 6세 아동의 기물의 표현은 2세 아동과 다르다. 훨씬 세련된 방법으로 기쁘다는 것을 표현한다.
어릴 때는 신체적 안락함에서 기쁨을 얻으나 나이가 들면 정신적 사고를 통해 기쁨을 맛본다. 예를 들어 TV의 유머나 즐거운 장면을 보면서 즐거워하는 것은 사고를 통한 즐거움이다. 애정의 대상도 어렸을 때는 어머니나 돌봐주는 사람으로 한정되었으나 크면서 장난감, 동물, 그리고 친구 또는 동생 등과 같이 애정의 대상이 확대된다.
최근 행복의 정서와 인성특성의 5가지 영역, 즉 외향성-내향성, 신경성 노이로제, 경험의 공개성(openness to experience), 동의성(agreeableness), 양심(conscientiousness)의 관계를 밝힌 연구들이 행해지고 있다. 그 결과 외향적이고 신경증이 적은 사람이 행복을 느꼈으나 경험의 공개성은 서로 관련이 없었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아동발달]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인지발달 이론 비교(공통점 차이점 비교 및 시사점 한계점 ...
교수학습이론과매체 - 사회학습이론과 교육에 주는 시사점
인간 발달 이해 하기 (인간행동이론과 사회복지실천)
[아동발달론] 유아기와 아동기의 생물학체계와 심리체계에 대한 고찰 (부록-학습장애가 아동...
(2021학년도 1학기 기말시험, 유아발달) 1. 유아발달의 이론 중 정신분석학 이론과 동물행동...
[2021 유아교육론][기말시험] 1.유아교육의 5가지 교수학습원리에 대하여 약술하고, 각 교수...
[2021 유아발달][기말시험] 1. 유아발달의 이론 중 정신분석학 이론과 동물행동학 이론에 대...
영유아발달1)인지발달 이론을 대표하는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주요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고,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