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현 정부가 2017년 하반기부터 적극 시행하고 있는 치매 국가책임제가 출발점이 될 수 있다. 전국 252개 보건소에 설치된 치매안심센터에서는 치매노인과 그 부양가족이 가족사정에 따라 상담, 검진, 관리, 지역사회서비스 연계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한다. 이번 정부의 정책 방향 설정은 치매 노인은 물론 부양가족에게도 상당히 반가운 소식이 될 것이다. 나아가 가정으로 보내져 부양가족의 생활과 삶의 질 향상을 돕는 전문 자원봉사자가 있어야 하며, 현실적으로 부양가족을 도울 수 있는 탁아소·단기보호 프로그램 등의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전문 자원봉사자 양성도 함께 진행된다면 치매노인을 부양해야 하는 가정의 현실적 부담을 덜어줄 수 있어 우리나라가 노인문제가 심각한 선진 복지국가로 도약하는 길이 될 것이다.
추천자료
일본의 개호보험에관한고찰
치매노인복지서비스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치매노인가족의 서비스 현황과 국내외 복지서비스 비교 분석 및 향후 개선방안
[노인문제와 치매] 노화와 치매, 고령화와 치매, 사회문제로서의 치매, 노인복지제도에서의 ...
[2016 노인복지론] 치매노인 가족 수발자 인터뷰 잔여적복지 노인돌봄에 있어서 가족과 치매...
사회복지개론] 우리는 살아가면서 다양한 위험에 처하게 된다 재난(세월호 가습기 살균제 성...
노인복지론 ) 치매노인환자의 케어와 치매노인가족의 문제와 지원방안에 대해 논술하시오
치매노인환자의 케어와 치매노인가족의 문제와 지원방안에 대해 논술하시오
노인복지론 기말 2021] 1.멀티미디어 강의 중 가장 인상 깊었던 강의 3강의를 선정하고 그 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