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Study(팔꿈치 골절, 폐쇄성)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Case Study(팔꿈치 골절, 폐쇄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 필요성
2. 연구기간 및 방법

Ⅱ. 문헌고찰
1. 질병의 정의
2. 원인 및 위험소인
3. 병태 생리
4. 증상 및 징후
5. 진단 방법
6. 치료
7. 간호(교과서에서 질환과 관련된 간호진단과 간호진단에 따른 수행을 찾아 작성)

Ⅲ.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의학적 치료 및 간호중재 내용
3. 간호과정 적용

Ⅳ. 결론 및 제언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용 직전 용해액으로 용해 후 정맥주사
수술 후 통증, 발열의 단기간 치료
피부발진, 발적, 가려움증 등
Dicknol Inj 2ml
1일 1회 정맥주사
외상 후ㆍ수술 후 염증 및 동통
피부발진, 두드러기, 부종, 오심, 구토 등
Demerol
수술 후 PCA 사용 정맥주사
수술 후 동통
혈압 감소, 김박출량 감소, 호흡기능 억제, 오심, 구토, 발작, 환각, 근육경련 등
2) 외과적 치료 및 특수 치료
수술 05/10 OOOO병원에서 c k - wire
3) 간호중재
05/10
수술 전 활력징후 측정-BT 37.0℃, PR 80회/분, RR 18회, BP 110/60mmHg
수술 후 활력징후 측정-BT 36.7℃, PR 88회/분, RR 18회, BP 100/60mmHg
수술 전 수술 동의서와 주의사항 교육함.
수술 전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기침과 심호흡, 강화폐활량계 사용법을 교육함.
수술 후 ice pack을 이용한 찜질을 교육함.
수술 후 PCA 사용법 교육함.
05/11
수술 부위에 통증이 있다고 호소함.
얼음찜질하도록 하고 손가락운동 교육함.
활력징후 측정-BT 36.9℃, PR 84회/분, RR 18회, BP 100/60mmHg
침상 고정과 side rail 올린 상태 유지하도록 교육함.
3. 간호과정 적용
1) 환자의 간호문제 확인
간호사정
간호문제 도출
간호진단
우선
순위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의미 있는 자료
문제 확인
5/10 “수술 부위가 아파요.” “팔꿈치가 쑤셔요.”
5/10 얼굴을 찡그리고 있다.
PCA keep 상태
①환자가 통증을 호소
환자의 통증 호소
수술과 관련된 급성 통증
1
5/19 “깁스한 부위가 간지러워요.” “깁스한 부위 근처가 빨개요.”
5/19 cast 주변 부위를 긁고 있다.
cast 주변 부위 피부가 발적과 부종이 관찰되었다.
①cast 주변 부위를 긁고 있는 모습 관찰
②cast 주변 피부에 발적과 부종 관찰
cast로 인해 적절한 피부관리가 되지 않은 상태
cast 시행과 관련된 부적절한 피부관리
2
2) 간호문제 해결 과정
간호진단
수술과 관련된 급성 통증
간호진단의 정의
급성 통증 : 실제적이거나 잠재적인 조직손상으로 인해 경험하는 감각적 또는 정서적 불편감이 갑자기 또는 서서히 경증에서 중증강도로 지속하거나 예측되는 통증이 6개월 미만 지속되는 상태
간호목표
(간호결과)
단기목표
장기목표
4시간 이내 통증을 완화 시킬 수 있다.
2일 이내 통증을 느끼지 않다고 말할 수 있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통증을 느낄 시 ice pack으로 병변 부위를 찜질한다.
통증이 심할 때 의사의 처방에 따라 진통제를 투여한다.
소음과 불빛을 최소화하며 대상자가 편안한 환경을 조성한다.
ice pack으로 찜질함으로써 병변 부위의 혈관들이 수축되어 부종이 가라앉고, 혈관을 통해 이동하는 염증 매개 물질이 감소해 염증반응이 줄어든다.
모든 약물의 치료는 의사의 처방이 필요하다. 의사의 처방을 받아 진통제를 투여한다.
소음과 불빛, 낯익지 않은 환경은 심리적 불안으로 인해 통증이 증가할 수 있다.
ice pack으로 병변 부위를 약 10분간 찜질했다.
의사의 처방대로 Dicknol Inj 2ml IV 실시했다. (05/08~05/10)
대상자의 주변 환경의 온도, 조명, 소음을 최소화하고 대상자가 익숙한 물건을 배치했다.
평 가
5/10 ice pack을 이용하여 찜질을 시행해 통증 완화되었다.
5/11 통증이 완화되었지만, 완전히 사라지지 않아 진통제를 투여하였다.
5/12 통증이 사라졌다며 진통제를 그만 맞겠다고 하였다.
간호진단
cast 시행과 관련된 부적절한 피부관리
간호진단의 정의
부적절한 피부관리 : 피부에 적절한 온도와 습도, 청결을 유지하지 못하며 피부에 발진, 부종, 발적 등과 같은 반응이 일어나는 상태
간호목표
(간호결과)
단기목표
장기목표
3시간 내 발적과 부종을 완화 시킬 수 있다.
1. 대상자는 정상적인 피부 통합성을 유지할 수 있다.
2. 대상자는 cast 이용 시 청결 유지하는 방법과 피부관리에 관련된 자가간호를 할 수 있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수술 부위, cast 부위를 자주 관찰하고 기록한다.
수술 부위 드레싱을 깨끗이 한다.
cast 부위 청결 방법과 피부관리에 대한 자가간호를 교육한다.
대상자의 피부 손상 여부를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할 수 있다.
수술 부위에 세균으로 인한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자가간호를 통해 피부 손상이 확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5/19~24일까지 대상자의 피부를 관찰하고 기록하였다.
1일 2~3회 드레싱을 시행하였다.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피부관리에 관한 자가간호법을 교육하고 cast 이용 시 청결을 유지하는 방법을 교육하였다.
평 가
1. 5/19 발적은 유지되었지만, 부종은 사라졌다.
2. 5/19 이후 대상자가 cast 이용 시 청결 유지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시행하였다.
3. 5/19 이후 대상자가 피부 통합성을 완전히 유지하지 못했지만, 자신의 피부를 관찰하고 이상이 있을 시 보고하였다.
Ⅳ. 결론 및 제언
이상의 사례보고서는 OO병동에서 박OO님을 관찰하며 간호한 내용이다. 간호학생으로서 골절의 심각성을 깨닫고 골절 시 환자에게 적용될 수 있는 치료와 간호 그리고 그에 따른 이론적 근거를 연구하고 골절환자의 간호에 있어서 올바른 선열 유지와 이차적인 합병증을 예방하여 환자의 빠른 쾌유를 위해 힘쓰고, 손상 부위뿐만 아니라 위축될 수 있는 다른 부위도 함께 재활을 돕기 위한 적절한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Ⅴ.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하권](2019) 황옥남 외 현문사 p.269~374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List.do/
대한정형외과학회 학회지 https://www.koa.or.kr/journal/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서울아산병원 https://m.amc.seoul.kr/asan/mobile/main.do/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22.06.10
  • 저작시기202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04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