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가족강점이론의 개요
2. 가족탄력이론의 개념
3, 가족 레질리언스(강점)
4, 가족탄력성 모델 및 단계
참고문헌
2. 가족탄력이론의 개념
3, 가족 레질리언스(강점)
4, 가족탄력성 모델 및 단계
참고문헌
본문내용
렇게 형성된 기능유형은 가족체계의 조화와 균형획득 또는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여기서 가족자원은 가족의 물질적, 정신적, 관계적 내적 자원과 사회적 지지망과 같은 외부적 자원으로 구성된다. 가족의 상황적 평가는 가족이 상황에 부여하는 의미 또는 해석을 말한다. 문제해결과 대처는 스트레스원과 관련된 어려움을 감소시켜 가족의 균형과 조화를 복원하거나 유지하기 위한 가족의 노력과 관리능력을 말한다.
ㄴ. 가족위기
가족 스트레스는 가족의 요구와 가족능력의 불균형에 의해 초래되는 긴장상태를 말하며 가족위기는 가족체계의 불균형, 부조화, 그리고 해체의 상태를 의미한다. 이때의 위기는 실패 또는 역기능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발전하고 변화하기 위해 필요한 요인이다.
ㄷ. 적응단계
적응(適應)은 이 모델의 중심개념으로 가족은 위기를 해소하기 위하여 가족의 기능유형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며, 가족스키마, 응집력, 가족내구력 등의 요소가 상황에 대한 평가를 하고 문제해결과 대처라는 전략을 수립한다. 이러한 전략에 따라 효과적 적응과 부적응으로 결과가 산출된다. 가족스키마는 가족의 기능유형을 변화시키려고 가족이 보이는 중요한 노력의 하나로 가족이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가치와 신념. 가족 스키마는 가족탄력성의 핵심요소로서 높은 가족스키마를 보이는 가족은 어려운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힘이 있다. 적응기간 새롭게 형성된 가족의 기능유형, 개인, 가족, 지역사회 수준에서 획득된 새로운 사회적 지지자원, 새로운 문제해결전략과 대처, 가족평가의 변화는 가족의 강점과 탄력성, 역량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 모델에서 탄력성이란 개인과 가족의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긍정적인 행동패턴과 기능적 역량으로 설명한다. 월쉬(Walsh, 1998)의 가족탄력성 모델을 보면 세 가지 구성요인이 상호작용을 하면서 시너지 효과를 낸다. 첫 번째는 신념체계(belief system)로 역경에 대한 의미부여, 긍정적 시각, 초월과 영성을 포함하며 두 번째는 조직패턴(organizational pattern)으로 역할안정성과 융통성, 연결성, 가족의 사회경제적 자원을 통해 형성된다. 셋째, 의사소통과정(communication process)은 의사소통의 명확성, 개방적 감정표현, 상호 협력적인 문제해결을 포함한다.
참고문헌
조정문장상희, 2001, 『가족사회학』, 서울: 아카넷.
조흥식 외, 2001, 『가족복지학』, 서울: 학지사.
여기서 가족자원은 가족의 물질적, 정신적, 관계적 내적 자원과 사회적 지지망과 같은 외부적 자원으로 구성된다. 가족의 상황적 평가는 가족이 상황에 부여하는 의미 또는 해석을 말한다. 문제해결과 대처는 스트레스원과 관련된 어려움을 감소시켜 가족의 균형과 조화를 복원하거나 유지하기 위한 가족의 노력과 관리능력을 말한다.
ㄴ. 가족위기
가족 스트레스는 가족의 요구와 가족능력의 불균형에 의해 초래되는 긴장상태를 말하며 가족위기는 가족체계의 불균형, 부조화, 그리고 해체의 상태를 의미한다. 이때의 위기는 실패 또는 역기능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발전하고 변화하기 위해 필요한 요인이다.
ㄷ. 적응단계
적응(適應)은 이 모델의 중심개념으로 가족은 위기를 해소하기 위하여 가족의 기능유형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며, 가족스키마, 응집력, 가족내구력 등의 요소가 상황에 대한 평가를 하고 문제해결과 대처라는 전략을 수립한다. 이러한 전략에 따라 효과적 적응과 부적응으로 결과가 산출된다. 가족스키마는 가족의 기능유형을 변화시키려고 가족이 보이는 중요한 노력의 하나로 가족이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가치와 신념. 가족 스키마는 가족탄력성의 핵심요소로서 높은 가족스키마를 보이는 가족은 어려운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힘이 있다. 적응기간 새롭게 형성된 가족의 기능유형, 개인, 가족, 지역사회 수준에서 획득된 새로운 사회적 지지자원, 새로운 문제해결전략과 대처, 가족평가의 변화는 가족의 강점과 탄력성, 역량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 모델에서 탄력성이란 개인과 가족의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긍정적인 행동패턴과 기능적 역량으로 설명한다. 월쉬(Walsh, 1998)의 가족탄력성 모델을 보면 세 가지 구성요인이 상호작용을 하면서 시너지 효과를 낸다. 첫 번째는 신념체계(belief system)로 역경에 대한 의미부여, 긍정적 시각, 초월과 영성을 포함하며 두 번째는 조직패턴(organizational pattern)으로 역할안정성과 융통성, 연결성, 가족의 사회경제적 자원을 통해 형성된다. 셋째, 의사소통과정(communication process)은 의사소통의 명확성, 개방적 감정표현, 상호 협력적인 문제해결을 포함한다.
참고문헌
조정문장상희, 2001, 『가족사회학』, 서울: 아카넷.
조흥식 외, 2001, 『가족복지학』, 서울: 학지사.
추천자료
아버지와의 애착형성이 불안정한 딸의 건강한 정신 형성에 미치는 긍정적인 요인
비행청소년 가족
장애아동의 욕구
가족체계이론 - 가족체계이론의 개념 및 체계의 요소 및 하위체계
[원서번역] A Risk and Resilience Perspective (저자-Greene) 12장 비공식적 돌봄에 대한 탄...
★추천자료★[가족치료-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 시트콤의 가족 치료 적용] 사티어의 경험적 ...
가족복지론_가족 내의 갈등 사례를 한가지 선정하여 이 사례를 강점관점에서 바라보고, 임파...
[건강가정] 가족탄력성 관점이론의 주요개념과 모델, 그리고 건강가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