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로서의 한국어이해교육론_세종한국어3의 14단원 중 한 단원을 선택하여 ′듣고 말하기′페이지의 1,2,3번의 듣기 전 활동을 개발합니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이해교육론_세종한국어3의 14단원 중 한 단원을 선택하여 ′듣고 말하기′페이지의 1,2,3번의 듣기 전 활동을 개발합니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듣기 전 활동의 유형
2.1. 배경 지식 활성화 활동
2.2. 정보 강화 활동

3. 『세종한국어3』 ‘제1과 직업’의 듣기 전 활동
3.1. 『세종한국어3』 ‘제1과 직업’의 듣기 본 활동
3.2. 『세종한국어3』 ‘제1과 직업’의 듣기 전 활동
3.2.1. 첫 번째 듣기 본 활동에 대한 듣기 전 활동
3.2.2. 두 번째 듣기 본 활동에 대한 듣기 전 활동
3.2.3. 세 번째 듣기 본 활동에 대한 듣기 전 활동
3.3. 『세종한국어3』 ‘제1과 직업’의 듣기 전 활동지

4. 결론

본문내용

된 텍스트는 다음과 같다.
(5) 세 번째 듣기 지문
여러분, 안녕하세요? 저는 마리예요. 지금 빵을 만드는 일을 해요. 그런데 저는 한국 음식을 아주 좋아해요. 나중에 한국에 가서 한국 요리를 배우고 싶어요. 그리고 프랑스에 돌아온 후에 한국 음식을 만드는 요리사가 되고 싶어요.
(6) 세 번째 듣기 본 활동
3. 다음을 잘 듣고 질문에 답하시오.
1) 마리 씨는 지금 무슨 일을 해요?
2) 마리 씨는 나중에 어떤 일을 하려고 해요?
3.2. 『세종한국어3』 ‘제1과 직업’의 듣기 전 활동
듣기 전 활동은 듣기 본 활동과 잘 연결되어야 한다. 듣기 전 활동을 통해 듣기 본 활동을 진작시킬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앞서 제시한 『세종한국어3』의 ‘제1과 직업’의 세 가지 듣기 본 활동 내용에 적절한 듣기 전 활동을 제시한다.
3.2.1. 첫 번째 듣기 본 활동에 대한 듣기 전 활동
교사의 질문에 대답하기
첫 번째 듣기 본 활동의 지문은 등장인물들이 서로의 직업에 대해 묻고 답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생들이 해야 할 듣기 본 활동은 들은 내용과 제시된 텍스트의 내용의 일치성을 판별하여 ○, X를 선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듣기 전 활동은 학생들의 현재 직업이나 희망 직업에 대한 학생들의 생각을 물어보는 것이 좋다. 학생들의 직업에 대해 물어봄으로써 직업에 대한 학생들의 배경 지식을 활성화할 수 있다.
(7) 듣기 전 활동: 교사의 질문
여러분의 직업은 뭐예요? (=여러분은 어떤 일을 해요?)
여러분은 어떤 직업을 원해요? (=여러분은 어떤 일을 하고 싶어요?)
어휘(표현) 학습하기
직업에 대한 듣기 지문을 들어야 하므로 직업과 관련된 다양한 어휘를 미리 학습하는 것이 듣기 내용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다. 예를 들어 학생, 선생님, 경찰, 의사, 간호사, 은행원, 기자, 변호사 등의 직업 관련 어휘를 설명하고, 어휘와 그림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어휘를 학습할 수 있다.
(8) 듣기 전 활동: 어휘(표현) 학습하기
지문에 등장하는 어려운 어휘 미리 학습하기
예) 회사, 회사원, 대학원, 전공 등의 어휘와 그림 제시
직업 관련 어휘를 텍스트와 그림으로 제시하고 서로 연결하기
예) 학생, 선생님, 회사원, 경찰, 군인, 의사, 간호사, 기자, 변호사, 요리사, 은행원 등의 직업 관련 어휘를 그림과 함께 제시하고 직업과 그림 연결하기
3.2.2. 두 번째 듣기 본 활동에 대한 듣기 전 활동
어휘(표현) 학습하기
두 번째 듣기 본 활동의 지문도 첫 번째 듣기 본 활동과 같이 등장인물들이 서로의 직업에 대해 묻고 답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생들이 해야 할 듣기 본 활동은 들은 내용과 제시된 텍스트의 내용의 일치성을 판별하여 ○, X를 선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교사의 질문을 통해 듣기 지문의 맥락인 ‘직업’을 반복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없다. 대신 두 번째 지문에 새롭게 등장하는 직업 관련 어휘인 ‘사업가’와 ‘관광 안내원’을 미리 학습하고, 첫 번째와 두 번째 지문에 공통적으로 등장하지만 다루지 않았던 표현인 ‘~를 만드는 회사’라는 표현을 제시하는 것이 좋다.
(9) 듣기 전 활동: 어휘(표현) 학습하기
지문에 등장하는 새로운 어휘 미리 학습하기
예) 사업가, 관광 안내원 등의 어휘와 그림 제시
지문에 등장하는 새로운 표현 미리 학습하기
예) 가방 만드는 회사, 컴퓨터 만드는 회사 등의 표현과 그림 제시
3.2.3. 세 번째 듣기 본 활동에 대한 듣기 전 활동
빈칸 미리 채워 보기
세 번째 듣기 본 활동의 지문은 등장인물들인 마리 씨가 자신의 현재 직업과 미래의 희망 직업에 대해 소개하는 내용이다. 학생들이 해야 할 듣기 본 활동은 들은 내용을 바탕으로 제시된 질문에 대한 답을 쓰는 것이다. 그러므로 학생들은 듣기 지문의 전체적인 내용을 잘 이해야 한다. 세 번째 듣기 본 활동의 듣기 지문은 들을 정보를 맥락에서 미리 예측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맥락을 통해 직업과 관련된 단어를 찾아 쓰게 하는 방법을 활용하여 듣기 효과를 높일 수 있다.
(10) 듣기 전 활동: 빈칸 미리 채워 보기
듣지 않고 지문 전체의 맥락만으로 직업 관련 어휘를 찾아 쓰기
예) ‘한국 요리’와 ‘요리사’라는 어휘 유추하기
빵 → 한국 음식 → 한국 요리 → 요리사
3.3. 『세종한국어3』 ‘제1과 직업’의 듣기 전 활동지
지금까지의 분석과 논의를 바탕으로 『세종한국어3』 ‘제1과 작업’의 듣기 전 활동을 종합하여 활동지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다음 질문에 답해 보세요.
여러분은 어떤 일을 해요?
여러분은 어떤 일을 하고 싶어요?
다양한 직업
그림을 보고 직업을 쓰세요.
그림과 직업을 연결하세요.
그림과 직장을 연결하세요.
가구 만드는 회사
자동차 만드는 회사
가방 만드는 회사
컴퓨터 만드는 회사
빈칸을 채워 보세요.
4. 결론
듣기 전 활동(pre-listening)은 본 듣기 활동을 진작하기 위해 듣기 전에 이루어지는 일련의 활동이다. 그러므로 듣기 본 활동을 전제로 기획되어야 한다. 이런 이유로 지금까지 듣기 전 활동의 유형을 파악하고 『세종한국어3』 ‘제1과 직업’의 듣기 본 활동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세종한국어3』 ‘제1과 직업’의 듣기 본 활동에 앞서 이루어지는 듣기 전 활동을 개발하여 활동지의 형태로 제시하였다. 듣기 본 활동의 특성에 따라 교사 질문에 대답하기, 어휘(표현) 학습하기, 빈칸 미리 채워보기의 활동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하여 ‘직업’과 관련된 질문을 제시하였고, 지문에 등장할 어휘와 표현을 미리 학습하는 활동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듣기 지문의 맥락만으로 직업 관련 어휘를 유추하는 빈칸 미리 채워보기 활동도 제시하였다. 듣기 활동이 제대로 이루어지려면 듣기 본 활동뿐 아니라 듣기 전 활동과 듣기 후 활동도 충실히 준비되어야 함을 직접 경험할 수 있었다.
참고자료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이해교육론 강의 교안.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편, 『연세 한국어 1-1』,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2013.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편, 『연세 한국어 1-1 활용연습』,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2013.
  • 가격4,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22.06.16
  • 저작시기202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09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