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이 사회변혁의 주체가 된 사례를 제시하고 그 사례에서 대중이 지향한 것은 무엇이며, 그것을 어떤 방식으로 추구해 갔는지에 대해 분석해보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중이 사회변혁의 주체가 된 사례를 제시하고 그 사례에서 대중이 지향한 것은 무엇이며, 그것을 어떤 방식으로 추구해 갔는지에 대해 분석해보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Ι. 서론

Ⅱ. 본론
1. 대중이 사회변혁의 주체가 되었던 사건 – 촛불집회
1) 촛불집회의 역사
2) 2016년 촛불집회
3) 촛불집회를 사회변혁의 주체라 생각한 이유
2. 촛불집회에서 대중이 지향한 것은 무엇일까?
1) 공정한 사회
2) 최순실 게이트 관련자 엄벌
3) 세월호 사건 재조사
3. 촛불집회가 추구했던 방향
1) 축제
2) 해학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어 열정적으로 무언가에 참여하고 즐기는 ‘일종의 축제’였다.〃 이렇게 축제의 양상을 보임으로써 일반 대중들은 집회에 자연스럽게 다가갈 수 있었던 것 같다.
집회에 나온 대부분의 사람들은 촛불을 들거나 문화공연, 연설 등을 지켜보았지만, 일부 사람들은 기타를 연주하기도 하고 그림을 그리고 노래를 부르기도 하면서 자신의 의견을 표출하기도 하였다.
2) 해학
〃참가자들은 촛불집회가 경직되고 정치적인 목적으로 진행되는 시위가 아닌, 해학적이고 풍자적으로 울분과 분노를 풀어내는 방식임에 동의하였다.〃 당시 많은 사람들이 가면을 쓰고 나오기도 하고 박근혜 전 대통령과 최순실이 같이 감옥에 있는 모습을 그리기도 하는 양상을 보였다. 자연스러운 풍자와 해학이 나오는 집회였던 것이다.
Ⅲ. 결론
촛불집회로 탄생한 문재인 정권의 임기가 사실상 끝나가고 있다. 부동산 정책 실패, 코로나19 관련 정책 논란, 조국 사태, 윤미향 논란 등으로 인해 이번 정권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이 많다. 일부 진보세력의 경우 이번 정권이 ‘촛불집회’에 대한 배반이라고 까지 말하기도 한다. 대중들이 비폭력적이면서도 열성적으로 참가하여 이번 정권을 탄생시켰지만, 그 정권은 우리의 열망을 충족시켜주지 못했다. 오히려 분노를 자아내는 일이 잦았다.
이에 대해 혹자는 “감정적인 촛불집회로 인한 정권의 탄생이었기에 실패다”라고 말하기도 한다. 그러나 그렇게 촛불집회를 평가 절하하는 것은, 당시 모였던 대중을 모독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당시 촛불집회는 결코 감정적인 것이 아니었으며, 정권이 대중에게 심판당할 수 있음을 확실하게 보여준 일생일대의 사건이다.
물론, 결과가 좋다고 말하기 어렵기에 ‘성공적’이었다고 말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지만 말이다. 그래도 정치인들이 대중은 바보가 아니며, 모이면 매우 강력한 힘을 낸다는 것을 알았기에, 그 자체만으로도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Ⅳ. 참고문헌
논문
김자림, 2019,「활동공중 이해를 위한 촛불집회의 문화적 의미 고찰」.
2. 사이트
한겨레(https://www.hani.co.kr).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한경사회(https://www.hankyung.com).
박근혜정권 퇴진 비상국민행동(http://www.bisang2016.net).
연합뉴스(https://www.yna.co.kr).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2.06.20
  • 저작시기202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13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