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기본-1. 구석기와 신석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역사의 기본-1. 구석기와 신석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① BC? AD?
② 역사의 줄기
③ 사실vs기록!
④ 선사시대란?
⑤ 구석기시대
⑥ 중석기시대
⑦ 신석기시대
⑧ 구석기와 신석기시대의 유물 분포도

본문내용

해 동물을 잡아 살은 먹고 가죽을 벗겨내어 그것을 옷으로 만들어서 입었습니다.
주(宙)
먹이로 인한 이동생활로 인해 동굴에서 지내거나 막집을 지어 생활을 했습니다.
식의주를 해결 하기 위해 당시 사용했던 대표적인 도구로는 ‘뗀석기’가
있습니다.
뗀석기: 돌에서 떼어낸 석기(대표: 주먹도끼)
이동생활로 인해 무리로 지어 다니게 되어 10명~12명 정도무리생활을 하였고, 이 당시는 잡아야 되는
짐승의 크기가 꽤 커누가 우위에 있는 것이 아니라 모두가 평등하게 지내는평등사회였습니다.
개인의 욕심으로 인해 내분이 생기면 다음 사냥에 지장이 가기때문에 운명공동체로 살아간 것입니다.
구석기 시대의 유적으로는 뗀석기와 뼛조각 정도가 남아있습니다.
⑥ 중석기시대
구석기와 신석기 사이 기온과 해수면이 상승하는 시기를 중석기 시대라고 부릅니다.
기온이 오르면서 구석기때는 몸집에 컷던 동물들이 작아지고 날쌘 동물들이 등장합니다.
그리고 구석기때는 붙어 있던 땅이 떨어지면서 지금의 서해, 남해, 동해가 생성이 됩니다.
이렇게 지금의 한, 중, 일의 땅이 생기게 된거죠.
동물이 작아지면서 크고 무거운 뗀석기가 아닌 작은 ‘잔석기’가 나오게 되면서 화살과 화살촉이
만들어집니다.
잔석기들을 이어서 만들 도구를 ‘이음도구’라고 하는데 대표적으로 ‘슴배찌르개’가 있습니다.
슴배찌르개: 구석기 후기~신석기 초에 나오 도구로 구석기 후기의 것으로 보기도 합니다.
‘슴배’는 나무에 찔러 넣는 뾰족한 부분으로 슴배찌르개는 일종의 ‘창’입니다.
⑦ 신석기시대
식(食)
농경사회가 시작됩니다. 이때는 간단하게 뿌리면 거둘 수 있는 논농사(쌀)가 아니라 밭농사를 합니다.
이 농경사회가 구석기와 신석기를 나누는 아주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로 인해 정착생활을 하게 됩니다.
의(衣)
생산력의 발달이 오면서 기술의 발달도 오게 됩니다. 짐승의 가죽을 벗겨 입는 것이 아니라 옷을
만들어 입기 시작하는데, 그것은 ‘가락바퀴’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가락바퀴로 옷뿐만 아니라 채집에 사용하는 그물을 만들기도 합니다.
가락바퀴: 가운데 구멍에 막대기를 끼우고 식물의 실을 감아서 만듦
주(宙)
농사를 짓기 시작하면서 정착생활을 합니다.
강가에 ‘움집’을 짓고 생활하는데 이는 농사에 필요한 물을 가져오기도 좋지만 아직까진 농사만으로는
부족하여 채집과 사냥을 같이 하기 위해서입니다.
식의주를 해결하기 위해 당시 사용했던 대표적인 도구로는 ‘간석기’가 있습니다.
농사도 짓기 시작하고, 기술도 발달을 하여 돌을 갈아서 쓸 수 있게 된 것입니다.
농사로 인해 하나 더 생긴 것이 있는데, 곡물이나 씨앗을 보관하게 되는 ‘토기’가 만들어집니다.
대표적으로는 ‘빗살무늬토기’가 있습니다.
정착생활로 인해 무리사회가 아닌 가족공동체인 ‘씨족사회’가 형성됩니다.
이로 인해 씨족과 씨족이 만나게 되는데 이것을 ‘족외혼’이라고 하고 이를 ‘부족사회’라고 합니다.
부족사회 역시 평등사회입니다.
농경을 하기 시작하면서 하늘, 즉 날씨에 신경을 쓸 수밖에 없게 되는데 이때 등장한 것이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사상, 의식, 종교 같은 것들이 생겨나게 됩니다.
애니미즘:자연, 토테미즘:동물, 샤머니즘:무당
유물로는 ‘치래걸이’라고 하는 조개껍데기로 만든 목걸이가 있습니다.
⑧ 구석기와 신석기시대의 유물 분포도
한반도의 구석기와 신석기 유적:모두의 한국사 참조.
◀뗀석기: 돌에서 떼어낸 석기(대표: 주먹도끼)
연천리 전곡선사박물관
◀화살, 이음도구
연천리 전곡선사박물관
◀화살촉
연천리 전곡선사박물관
◀잔석기
연천리 전곡선사박물관
◀간석기
연천리 전곡선사박물관
◀빗살무늬토기
연천리 전곡선사박물관
▲움집 외부(위), 움집 내부(아래)
연천리 전곡선사박물관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2.06.22
  • 저작시기202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15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