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아동상담에서 안전한 관계란 무엇인가에 대해 토론
2. 참고자료
2. 참고자료
본문내용
신상정보와 문제사항을 외부로 유출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보호하는 그것 자체가 안전한 관계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을 해 보았다.
마. 상담사가 내담자인 아동을 심판적으로 대하지 않고 내담자 아동의 정상화를 위해 진심으로 노력할 때, 이것이 바로 안전한 관계라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아동상담에 참여하게 되는 아동은 자력으로 풀기 힘든 어려운 문제가 있기 때문에 상담에 참여하게 되는 것이다. 아동상담에 참여하는 아동 중에는 성폭력 가해자가 있을 수도 있고, 부모나 친구에게 칼을 들이 미는 아동도 있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동상담에 참여하는 상담사(사회복지사)라면 당연히 내담자 아동을 심판적으로 대해서도 안되고 섣불리 아동에 패해 판단해서도 안되는 것이다. 또한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아동을 관찰할 수 있어야 하며, 아동의 정상화 및 문제행동 해결에 있어 실제적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는 것이다. 이처럼 상담사가 아동을 심판적으로 대하지 않고 내담자 아동의 정상화를 위해 진심으로 노력할 때, 이것이 바로 안전한 관계라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2. 참고자료
아동상담의 실제 김춘경, 배선윤 외 3명 저 | 학지사 | 2021.06.30
마. 상담사가 내담자인 아동을 심판적으로 대하지 않고 내담자 아동의 정상화를 위해 진심으로 노력할 때, 이것이 바로 안전한 관계라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아동상담에 참여하게 되는 아동은 자력으로 풀기 힘든 어려운 문제가 있기 때문에 상담에 참여하게 되는 것이다. 아동상담에 참여하는 아동 중에는 성폭력 가해자가 있을 수도 있고, 부모나 친구에게 칼을 들이 미는 아동도 있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동상담에 참여하는 상담사(사회복지사)라면 당연히 내담자 아동을 심판적으로 대해서도 안되고 섣불리 아동에 패해 판단해서도 안되는 것이다. 또한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아동을 관찰할 수 있어야 하며, 아동의 정상화 및 문제행동 해결에 있어 실제적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는 것이다. 이처럼 상담사가 아동을 심판적으로 대하지 않고 내담자 아동의 정상화를 위해 진심으로 노력할 때, 이것이 바로 안전한 관계라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2. 참고자료
아동상담의 실제 김춘경, 배선윤 외 3명 저 | 학지사 | 2021.06.3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