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가상 문화기술지
2. 자료의 수집과 분석
Ⅱ. 네트워크 사회화와 시각문화교육
Ⅲ. SNS 속 짧은 동영상에 나타난 시각적 특징
1. 화면의 전환 속도에 따른 시각이미지
2. 다양한 시각이미지의 결합과 변형
3. 자기표현의 도구
Ⅳ. SNS 참여와 시각적 소통의 의미
1. 정체성의 분화
2. 새로운 시각언어의 출현
3. 시각적 네트워크 사회화의 과정
Ⅴ. 결론
1. 가상 문화기술지
2. 자료의 수집과 분석
Ⅱ. 네트워크 사회화와 시각문화교육
Ⅲ. SNS 속 짧은 동영상에 나타난 시각적 특징
1. 화면의 전환 속도에 따른 시각이미지
2. 다양한 시각이미지의 결합과 변형
3. 자기표현의 도구
Ⅳ. SNS 참여와 시각적 소통의 의미
1. 정체성의 분화
2. 새로운 시각언어의 출현
3. 시각적 네트워크 사회화의 과정
Ⅴ. 결론
본문내용
동영상들은 문자 메시지를 통한 상호작용에서 진화하여 시각적 소통의 한 양식으로서 그 역할을 하고 있고, 이에 관한 방식도 지속적으로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본론에서 살펴본 것처럼 짧은 동영상들은 자기표현과 전시의 장이 되며 정체성을 구현하고 동시에 놀이 문화를 이루면서 그들만의 사회적 연결망을 확대하고 있다. 짧은 동영상 내에서 디지털 미디어 경험이 구조화되고 있으며, 정체성의 분화와 같이 네트워크화된 자아를 창출하기도 한다. 이러한 모든 과정이 초등학생들의 주도적인 기획과 실천으로 행해지고 있다는 사실은 그들이 디지털 문화 생산의 주체로서 성장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SNS 참여가 새로운 시각문화에 관한 미래의 긍정적 변화와 혁신, 창의성을 주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추천자료
유아연구 및 평가
[기본텍스트][설명텍스트][픽션텍스트][TV광고][일렉트로닉][친일문학][사진][영상]기본텍스...
트위터와싸이월드비교,싸이월드,싸이월드마케팅,싸이월드커뮤니케이션,싸이월드장점,싸이월드...
구전 커뮤니케이션의 정의와 종류와 사례
원왕생가 문학적해독
(영상제작입문 공통) 국내 1인 미디어 현황과 성공 사례를 조사하고 성공요인을 분석하시오
1인 미디어 인터넷 개인방송의 특성과 전망
[현대의서양문화 B형] 팝아트와 네오팝이 주로 사용하는 미술의 형식을 설명하고 이들이 어떤...
(인간과사회 공통) 코로나 19의 확산 이후 우리 사회에 새롭게 나타난 대표적인 사회현상 중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