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초미시경제론 ) 가격과 수요량이 왜 역의 함수관계를 갖는지 설명하시오1 ]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 기초미시경제론 ) 가격과 수요량이 왜 역의 함수관계를 갖는지 설명하시오1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가격과 수요량이 왜 역의 함수관계를 갖는지 설명하시오
2. 수요곡선의 기울기와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 어떤 관계를 갖는지 설명하시오
3. 예산제약선과 무차별곡선을 이용하여 소비자의 최적 선택을 설명하시오
4. 단기 총비용함수를 설명하시오

본문내용

량의 단위를 변동시킬 때 발생하는 총비용의 변화량을 말하고, 평균비용은 총비용/산출량이다. 평균고정비용의 정의는 고정비용/산출량, 평균가변비용의 정의는 가변비용/산출량이다.
그리고 비용은 또 다시 단기비용과 장기비용으로 나눠서 생각할 수 있다. 경제학에서 이야기하는 단기와 장기는 우리가 일상에서 이야기하는 시간적인 측면을 기준으로 나눈 개념이 아니다. 경제학에서 장기간은 어떤 요소의 수량에 직접적인 변동을 줄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뜻한다. 반대로 한 가지 이상의 어떤 요소가 고정불변의 상태라면 이를 곧 단기라고 정의 내린다.
예를 들어 기업의 생산 공장에 대한 계획 중 크기를 확장 혹은 리모델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면 이 리모델링 계획은 장기적 계획이라고 이야기한다. 그러나 만약 크기 변동이 불가능한 공장이라면 이를 단기적인 계획이라고 하는 것이다. 단기 비용은 투입되는 요소 가운데 하나 이상이 고정되어 있는 기간에 드는 비용, 장기 비용은 투입요소가 가변적인 기간에 요구되는 비용인 것이다.
정리하자면 자본시설 자체는 변하지 않는 고정불변한 상태에서 투입되는 노동량만이 달라지는 경우의 비용을 단기총비용이라고 하고, 노동이 투입 되는 양과 함께 자본시설 자체가 변할 때 요구되는 비용을 장기총비용이라고 할 수 있다.
생산함수는 일정기간 동안 투입되는 자본과 노동력 등의 생산요소와 생산요소로 인해 얻어지는 최대산출량 사이의 관계를 보여준다. 그리고 비용함수는 이러한 생산함수의 형태를 가정함에 따라 유도된 생산량에 따른 생산비의 함수다. 들어가는 자본, 노동 등의 생산요소의 투입률에 따른 산출량을 나타내는 함수인 것이다.
예를 들어 한 기업의 특정 생산 시스템 안에서 투입물이 A고, 생산물이 B라고 해보자. A와 B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산출함수가 F(A, B). 그리고 이 F(A, B) 그래프 위에 무수히 많은 모든 점은 기업에서 생산이 가능한 투입물과 산출물의 조합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이런 생산함수에서 비용함수를 이끌어내기 위해서 함수가 0보다 크다고 가정을 하고, 투입해야 하는 요소들에 필요한 최소한의 비용을 계산하면 가격과 생산물의 양에 따라 함수 값이 달라지는 비용함수가 유도된다.
요약하자면 비용함수는 산출함수로부터 유도되는 최소비용과 산출량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인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산출과 비용, 비용함수의 개념에서 이어지는 단기 총비용함수는 어떠한 개념일까? 장기적인 관점에서 총비용은 변수가 L, K 두 가지라고 할 때, L과 K 모두 유동적으로 변할 수 있다.
그러나 단기적인 관점은 앞에서 이야기했듯 투입되는 요소 중 하나 이상이 고정되어 의사결정의 유연성이 떨어지는 상황을 말한다. 따라서 단기 총비용의 개념에서는 L, K 둘 중 하나의 변수는 고정되어 있다. 이렇게 변수를 고정시킨 후 산정한 총고정비용과 총가변비용을 합한 것이 바로 단기 총비용이다. 그리고 단기적인 관점에서 특정 산출량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최소비용을 나타내는 함수가 바로 단기 총비용함수인 것이다.
참고문헌
Mankiw, 맨큐의 경제학, 서울: 교보문고, 2002
임봉욱, (예제와 함께 하는) 미시경제학, 서울: 博英社, 2009
우리나라 항만의 비용함수 추정, 황소정, 인천 : 인하대학교 물류전문대학원, 2010
예산제약선과 신용카드라는 꼼수, 김의경, 한국경제, 2012
[100초 경제학] 50강 소비자 선택 이론 : 예산 제약과 무차별 곡선, 오철, 한국경제, 2018
김영철, 경제학의 원리와 응용, 서울: 학문사, 2005
수요곡선이 우하향하는 이유는 뭘까?, 김광섭, 특급뉴스, 2010
김상권, 경제원리의 이해와 활용, 서울 : 시그마프레스, 2015
  • 가격3,7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2.07.26
  • 저작시기2022.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32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