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도체 ) N형 반도체와 P형 반도체에 대하여 논하시오 ]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 반도체 ) N형 반도체와 P형 반도체에 대하여 논하시오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2.본론
1)반도체
2)N형 반도체
3)P형 반도체
4) P형-N형 반도체 접합
3.결론
4.참고문헌

본문내용

과잉전자가 사용되면서 음의 전하를 갖는 자유전자가 이동해 전류가 흐르게 한다. 5가 불순물이 도너가 되며 이 도너를 통해 형성되는 준위는 도너준위로 전도율이 높아지고 저항은 감소할 수 있다.
반대로 P형은 전하를 옮기는 운반자로 정공을 사용해 전류를 흐르게 한다. 3가 불순물이 억셉터로 불리며 이로 인해 형성되는 준위는 업셉터준위다. 전공으로 인해 저항률의 역수가 커지면서 저항은 감소하게 된다.
N형과 P형 반도체는 접합형식에 따라 PNP형과 NPN형 반도체 등으로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다. 가장 기본이 되는 P형-N형 접합의 경우 P형 반도체에 +전압, N형 반도체에 전압이 걸려 순방향 바이어스로 전류는 흐르지만 반대로 전압을 걸면 역방향 바이어스로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P형 반도체는 정공이 다수 캐리어고, N형은 전자가 다수 캐리어인 상태에서 만나게 되면 균일하게 분포되어 전기적으로 중성 상태였던 것들이 접합한 면에서 생겨나는 공핍층인 공간 전하 영역이 형성되게 된다. 이 상황에서 전위가 형성되면서 N형 반도체 내 전자가 P형 반도체로 이동하는 것을 막으면서 평행한 상태가 되며 공핍층 내 이온들로 인해 생겨난 전위로 인해 캐리어가 더 나올 수 없도록 전위 장벽을 형성하는데 이는 접촉 전위라고 한다. 이처럼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접촉해놓은 것을 반도체 소자의 기본인 다이오드로 정의하게 된다. P-N형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다이오드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반도체는 다른 도체보다 전기가 잘 통하지는 않지만, 부도체보다는 전기를 잘 통하게 하는 성질로 인해 우리의 실생활에서 생각보다 더 많은 범위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첨단과학에서도 이용되고 있다.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컴퓨터나 핸드폰에서부터 우주선에도 활용될 만큼 그 범위는 무궁무진하다.
이러한 반도체는 진성반도체에서부터 불순물을 함유한 N형 반도체, P형 반도체 등 다양한 형태로 나눌 수 있으며 이러한 반도체들의 접합을 통해 우리가 원하는 형태의 다이오드 형성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의 일상생활 속에서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반도체를 만드는 것이 우리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4.참고문헌
1) 물리학백과, 한국물리학회
2) 기계용어편찬회. \"(도해)기계용어사전\", 일진사, (2012)
3) 삼성반도체이야기 홈페이지
4) 월간 전기기술 편집부. \"E+ 전자용어 대사전\", 성안당, 1995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2.07.26
  • 저작시기2022.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32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