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변형이 가능한데 ‘만약 이 사람이 그 때 이런 행동을 하지 않았다면?’ 혹은 ‘이 사람이 하는 이야기가 모두 거짓이라면?’하는 가설이 설정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다양한 사고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경계하기는 자연스럽게 비판적 사고로 이어지게 된다. ‘만일’이라고 시작하게 된 다양한 사고들을 확인하는 작업에 이르는 것이다. 이 비판적 사고는 한 사람의 이야기가 그 사건을 이야기하는 모든 것이 아님을 확인하는 작업이다. 결국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의 이야기를 듣고, 들은 이야기를 통해 발견한 다양한 사고를 통해 동일한 이야기를 여러 사람들에게 확인하는 작업을 거치게 된다. 이 확인 작업을 통해 알 수 있게 되는 모든 것들은 사회복지사의 시야의 틀을 넓히는 것에 일조하게 될 것이며, 한 사람의 이야기에 무조건 공감하고, 위로해주는 것만이 이 사람을 위하는 길이 아님을 알게 될 것이다. 혹여 클라이언트의 이야기가 사실과 다르다면 그 다른 사실을 알려주고, 현실을 직시하게 도와주는 것 또한 사회복지사의 몫이다.
3. 결론
사회복지사는 사람을 상대하는 직업이기 때문에 사람과의 관계설정이 중요하다. 먼저는 사회복지사에게 가장 중요한 덕목이라고 불리는 것이 바로 경청과 공감인데, 이 경청과 공감이 과할 경우 오히려 사회복지사의 중요한 덕목을 해칠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는 사회복지사를 친구로 생각하여 만나는 것이 아니다. 이것은 중요한 요소인데 이것이 바로 사회복지사가 ‘직업’으로 존재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결국 사회복지사는 자기인식을 할 때 이것을 직업적인 책임감을 가지고 확인을 해야만 하는 필수적인 일이다. 만약 자기인식이 되어있지 않은 사회복지사를 클라이언트가 만나게 된다면 클라이언트는 무엇이 잘못되어 있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상담과 상황을 종료시켜버릴 수도 있다. 그렇게 된다면 결국 문제점은 해결방향을 찾지 못한 채 표류하게 되어 버린다.
사회복지사는 자기인식을 통해 발전하는 직업이다. 이것은 물론 사회복지사 뿐만이 아닌 모든 직업과 개인에게 중요한 일이겠지만 사회복지사는 사람의 감정을 업으로 삼는 일이기 때문에 더더욱 중요하게 생각되는 일이기도 하다. 결국 사회복지사에게 업무를 효과적으로 진행하고 클라이언트의 해결과 만족을 위해서는 자기 자신을 잘 알아야만 남에게도 이야기할 수 있는 조건이 생긴다.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라는 말이 있듯이 말이다.
4. 참고문헌
이윤로, 사회복지실천기술론, 2005
그리고 경계하기는 자연스럽게 비판적 사고로 이어지게 된다. ‘만일’이라고 시작하게 된 다양한 사고들을 확인하는 작업에 이르는 것이다. 이 비판적 사고는 한 사람의 이야기가 그 사건을 이야기하는 모든 것이 아님을 확인하는 작업이다. 결국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의 이야기를 듣고, 들은 이야기를 통해 발견한 다양한 사고를 통해 동일한 이야기를 여러 사람들에게 확인하는 작업을 거치게 된다. 이 확인 작업을 통해 알 수 있게 되는 모든 것들은 사회복지사의 시야의 틀을 넓히는 것에 일조하게 될 것이며, 한 사람의 이야기에 무조건 공감하고, 위로해주는 것만이 이 사람을 위하는 길이 아님을 알게 될 것이다. 혹여 클라이언트의 이야기가 사실과 다르다면 그 다른 사실을 알려주고, 현실을 직시하게 도와주는 것 또한 사회복지사의 몫이다.
3. 결론
사회복지사는 사람을 상대하는 직업이기 때문에 사람과의 관계설정이 중요하다. 먼저는 사회복지사에게 가장 중요한 덕목이라고 불리는 것이 바로 경청과 공감인데, 이 경청과 공감이 과할 경우 오히려 사회복지사의 중요한 덕목을 해칠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는 사회복지사를 친구로 생각하여 만나는 것이 아니다. 이것은 중요한 요소인데 이것이 바로 사회복지사가 ‘직업’으로 존재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결국 사회복지사는 자기인식을 할 때 이것을 직업적인 책임감을 가지고 확인을 해야만 하는 필수적인 일이다. 만약 자기인식이 되어있지 않은 사회복지사를 클라이언트가 만나게 된다면 클라이언트는 무엇이 잘못되어 있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상담과 상황을 종료시켜버릴 수도 있다. 그렇게 된다면 결국 문제점은 해결방향을 찾지 못한 채 표류하게 되어 버린다.
사회복지사는 자기인식을 통해 발전하는 직업이다. 이것은 물론 사회복지사 뿐만이 아닌 모든 직업과 개인에게 중요한 일이겠지만 사회복지사는 사람의 감정을 업으로 삼는 일이기 때문에 더더욱 중요하게 생각되는 일이기도 하다. 결국 사회복지사에게 업무를 효과적으로 진행하고 클라이언트의 해결과 만족을 위해서는 자기 자신을 잘 알아야만 남에게도 이야기할 수 있는 조건이 생긴다.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라는 말이 있듯이 말이다.
4. 참고문헌
이윤로, 사회복지실천기술론, 2005
추천자료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을 토대로 사회복지사로의 자기인식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나의 강...
사회복지사로의 자기인식의 중요성에 대해서 설명하고 나의 강점과 단점을 분석하고, 훌륭한 ...
수업 시간에 배운 내용을 토대로 사회복지사로의 자기인식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나의 강...
사회복지사로서의 나
사회복지사로서의 나
사회복지사로서의 나, 자기인식의 중요성
[ A+만점답안] 사회복지사로서의 나(사회복지실천기술론 과제)
사회복지사로의 자기인식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나의 강점과 단점을 분석하고, 훌륭한 사...
[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사회복지사로의 자기인식의 중요성에 대해서 설명하고 나의 강점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