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영아의 음악성 발달에 대해 설명
(2) 영아의 음악성 발달지원 활동사례 서술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1) 영아의 음악성 발달에 대해 설명
(2) 영아의 음악성 발달지원 활동사례 서술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러보는 활동을 할 수 있다. 이때 교사는 부를 때마다 스티커 부분을 손으로 짚어주면 유아들은 그 부분을 빠르게 불러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자연스럽게 빠르고 느리게 불러보는 경험을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빠르고 느리게 불러보고 나서 교사는 방금 한 활동의 음악적 요소를 알려준다. 예를 들어. “오늘 우리가 이렇게 빠르게 불러보기도 하고 늦게 불러보기도 했는데 이것을 음의 빠르기라고 해” 등의 말을 하며 오늘 배운 음악적 요소를 알려주고 활동을 평가하며 마무리한다. 그리고 셈여림에 관한 활동의 사례로는 앞과 같은 방법으로 준비할 수 있는데 이때 스티커를 조금 다르게 하여 좀 더 큰 코끼리, 작은 코끼리 그림을 준비하여 앞선 방범처럼 활동하되, 큰 코끼리를 붙인 부분은 더 크고 세게 부르고 작은 코끼리 그림을 붙인 부분은 작고 여리게 불러보는 활동을 해볼 수 있다. 그리고 음높이, 멜로디, 화성에 관한 활동사례로는 ‘높은 소리, 낮은 소리’ 활동이 있다. 활동에 필요한 자료로는 피아노와 긴 줄이 필요하다. 활동 방법은 ‘작은 별’ 노래를 교사가 피아노로 옥타브를 옮겨가면서 연주하고 음높이가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어본다. 예를 들어 “선생님이 방금 연주해준 소리와 아까 연주해준 소리는 어떻게 다른 것 같니?” 등의 이야기를 하면서 유아들이 스스로 생각해보고 자기 생각을 표현해 볼 기회를 제공한다. 그 후에는 연주되는 음높이를 몸으로 어떻게 표현해 볼지에 대해 이야기 나누어보고 소리에 맞추어서 신체를 두드려본다. “높은 소리를 연주할 때는 어디를 두드려 볼까?” 등의 이야기를 통해서 유아들과 함께 정한다. 그다음에는 도구인 긴 줄을 제공해준다. “높은 소리가 날 때는 줄 위를 어떻게 지나갈까?” 등의 이야기를 통해서 음의 높낮이를 경험해볼 수 있다. 또한, 이에 대한 다양한 활동을 위해서 긴 줄이 아닌 스카프 등의 다양한 자료를 준비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이렇게 활동을 하고 나서 교사는 음악적 요소인 음의 높낮이를 알려준다.
3. 결론
이렇게 유아들의 음악적 발달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활동 속에 음악적 요소가 녹아들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음악적 요소를 통해서 유아들은 음악적 발달을 이루고 나아가, 초등학교에 가서도 음악적 요소를 체험하고 배우게 되기 때문에 유아기부터 음악 활동에 음악적 요소가 베어들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나아가 앞서 말했던 것처럼 유아들의 발달단계를 정확히 알고 교사는 활동을 계획하고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활동하고 나서 우리 반 아이들이 어디까지 도달했는지에 대해 평가를 해봄으로써 다음 활동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유아교육 기관에 가게 되면 같은 만 5세의 반이라도 반마다 개인차가 매우 다름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우리 반에 맞는 우리 반의 발달 수준에 맞는 활동을 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교사가 어떤 활동을 준비하고 어떤 활동을 제공하고 어떤 도구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유아들의 음악적 발달은 다르게 이루어진다. 더 질 높고 다양한 도구, 즉 유아가 심미적으로 음악적 발달이 즐겁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사는 교육환경을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나아가 발달은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교사가 질 높은 수업환경을 준비한다면 다른 발달의 영역도 효과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는 것임을 알고 교육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4. 참고문헌
유아음악교육, 장은주, 양서원, 2013
만2세 영아의 음악경험이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황인주, 아동학회지. 2008
사회·정서 통합에 기초한 영아 음악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김미정. 유아교육학논집. 2011
3. 결론
이렇게 유아들의 음악적 발달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활동 속에 음악적 요소가 녹아들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음악적 요소를 통해서 유아들은 음악적 발달을 이루고 나아가, 초등학교에 가서도 음악적 요소를 체험하고 배우게 되기 때문에 유아기부터 음악 활동에 음악적 요소가 베어들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나아가 앞서 말했던 것처럼 유아들의 발달단계를 정확히 알고 교사는 활동을 계획하고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활동하고 나서 우리 반 아이들이 어디까지 도달했는지에 대해 평가를 해봄으로써 다음 활동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유아교육 기관에 가게 되면 같은 만 5세의 반이라도 반마다 개인차가 매우 다름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우리 반에 맞는 우리 반의 발달 수준에 맞는 활동을 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교사가 어떤 활동을 준비하고 어떤 활동을 제공하고 어떤 도구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유아들의 음악적 발달은 다르게 이루어진다. 더 질 높고 다양한 도구, 즉 유아가 심미적으로 음악적 발달이 즐겁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사는 교육환경을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나아가 발달은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교사가 질 높은 수업환경을 준비한다면 다른 발달의 영역도 효과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는 것임을 알고 교육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4. 참고문헌
유아음악교육, 장은주, 양서원, 2013
만2세 영아의 음악경험이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황인주, 아동학회지. 2008
사회·정서 통합에 기초한 영아 음악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김미정. 유아교육학논집. 2011
추천자료
2020년 1학기 영아발달 출석수업대체시험 과제물 E형(영아의 음악성발달)
영아발달 C형 영아의 언어발달에 대해 설명하고(15점), 영아의 언어발달지원 활동사례를 서...
영아발달 E형 영아의 음악성발달에 대해 설명하고(15점), 영아의 음악성발달지원 활동사례를...
2021년 1학기 영아발달 기말시험 과제물(영아발달 6가지 기본원리, 영아발달 핵심개념)
[영아발달 2021 기말] 1. 영아발달의 6가지 기본원리, 영아발달의 핵심개념 10가지 2. 영아의...
[영아발달 기말] 1. 영아발달의 6가지 기본원리, 영아발달의 핵심개념 10가지, 2. 영아의 발...
[ 영아발달 E형 ) 영아의 음악성발달에 대해 설명하고, 영아의 음악성 발달지원 활동사례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