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교재에서의 내용
2) ‘공동체’ 장을 선택한 이유.
3) 나의 생각
3. 결론
- 참고 문헌 -
2. 본론
1) 교재에서의 내용
2) ‘공동체’ 장을 선택한 이유.
3) 나의 생각
3. 결론
- 참고 문헌 -
본문내용
다양해지기 시작했고 기존의 마을이라고 불릴 수 있는 규모도 이전과 다르게 커지게 되었다. 아파트와 같은 여러 단지들이 들어서게 되었고 마을이라고 불리는 규모가 다른 때와 다르게 커지게 되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과거와 같은 공동체 활동에는 분명 한계성이 있을 것이라고 본다. 하지만 나의 경우에는 이러한 공동체 사회를 다시 일으키는 것에 대해서 찬성을 한다.
다만, 이러한 공동체적인 모습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에 대해 잠시 고민을 해보았다. 이 책에서는 공동체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발전가능하며, 지속적인 모습이 필요로 한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지속되면서 발전이 가능한 것에는 무엇이 있는가에 대해 생각을 해보았다. 단순히 이를 효율적으로 이뤄내기 위해서는 무언가의 보상이 있는 것, 혹은 완전히 자리를 잡기 전까지는 이러한 활동을 자연스럽게 이뤄낼 수 있는 무언가가 필요로 하다는 것을 생각해보았다. 결국 첫 시작을 하기 전에는 서로에 대해 의심을 할 수 밖에 없고 서로에 대한 정보가 너무나 없다는 점이 내 생각이다. 결국 현재의 상황을 다시 과거의 모습처럼 완전히 바꾸는 것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고 판단된다. 어떻게 하면 개인주의로 만들어진 오늘날 사회가 다시 공동체적인 모습을 갖추기 위해서 어떤 점이 필요하고 기존의 문제점에 대해서 이야기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나의 생각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결국 이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오늘날 현대인의 관점으로 마을이라는 장소, 혹은 그 장소를 마을이 아닌 아파트 단지라는 기준으로 본다면 많은 방안이 있을지도 모른다. 아파트에는 각자 다른 사람들이 살고 있으며 이들에게 서로가 도움되는 일을 하게 된다면 장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단순히 생각을 한다면, 소소한 일부터 시작할 수 있다. 각자의 취미가 맞는 사람들끼리 모여서 대화를 나누고 이를 활성화시키는 방안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다양한 사람들이 존재하지만 어딘가 자신 혼자 하기에는 어렵고 다 같이 해야 재미있으면서 공유할 수 있는 활동에 대해서 사람들끼리 대화를 한다면 그에 대해 긍정적인 효과가 들어날 것이며, 공동작업 중, 현 상태에서 가능한 일이 있다면 이를 실현하는 것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본다. 상호간에 발전 가능성도 존재하며, 사람들끼리의 의지가 존재한다면 지속가능성 또한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이 모습을 사진으로 남긴다면 추억이라는 역사가 더해질 수 있기에 큰 장치가 될 것이라 생각된다.
결론
끝으로 공동체는 문화, 교양에 따라 본다면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이라고 본다. 문화와 교양을 올리기 위해서 무언가 수업을 듣는 것이 아닌 같은 무언가가 존재하고 이를 통해 상대방을 알고 그에 대해서 이해를 하게 된다면 이전보다 더욱 나은 사회가 될 것이라 생각되는 바이다.
참고 문헌 -
문화공동체 사업이 공동체의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성남 ‘우리동네문화공동체만들기’ 사례를 중심으로
학위논문(석사) -박수현-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 도시행정학과 도시정책 2013. 02
다만, 이러한 공동체적인 모습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에 대해 잠시 고민을 해보았다. 이 책에서는 공동체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발전가능하며, 지속적인 모습이 필요로 한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지속되면서 발전이 가능한 것에는 무엇이 있는가에 대해 생각을 해보았다. 단순히 이를 효율적으로 이뤄내기 위해서는 무언가의 보상이 있는 것, 혹은 완전히 자리를 잡기 전까지는 이러한 활동을 자연스럽게 이뤄낼 수 있는 무언가가 필요로 하다는 것을 생각해보았다. 결국 첫 시작을 하기 전에는 서로에 대해 의심을 할 수 밖에 없고 서로에 대한 정보가 너무나 없다는 점이 내 생각이다. 결국 현재의 상황을 다시 과거의 모습처럼 완전히 바꾸는 것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고 판단된다. 어떻게 하면 개인주의로 만들어진 오늘날 사회가 다시 공동체적인 모습을 갖추기 위해서 어떤 점이 필요하고 기존의 문제점에 대해서 이야기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나의 생각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결국 이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오늘날 현대인의 관점으로 마을이라는 장소, 혹은 그 장소를 마을이 아닌 아파트 단지라는 기준으로 본다면 많은 방안이 있을지도 모른다. 아파트에는 각자 다른 사람들이 살고 있으며 이들에게 서로가 도움되는 일을 하게 된다면 장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단순히 생각을 한다면, 소소한 일부터 시작할 수 있다. 각자의 취미가 맞는 사람들끼리 모여서 대화를 나누고 이를 활성화시키는 방안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다양한 사람들이 존재하지만 어딘가 자신 혼자 하기에는 어렵고 다 같이 해야 재미있으면서 공유할 수 있는 활동에 대해서 사람들끼리 대화를 한다면 그에 대해 긍정적인 효과가 들어날 것이며, 공동작업 중, 현 상태에서 가능한 일이 있다면 이를 실현하는 것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본다. 상호간에 발전 가능성도 존재하며, 사람들끼리의 의지가 존재한다면 지속가능성 또한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이 모습을 사진으로 남긴다면 추억이라는 역사가 더해질 수 있기에 큰 장치가 될 것이라 생각된다.
결론
끝으로 공동체는 문화, 교양에 따라 본다면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이라고 본다. 문화와 교양을 올리기 위해서 무언가 수업을 듣는 것이 아닌 같은 무언가가 존재하고 이를 통해 상대방을 알고 그에 대해서 이해를 하게 된다면 이전보다 더욱 나은 사회가 될 것이라 생각되는 바이다.
참고 문헌 -
문화공동체 사업이 공동체의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성남 ‘우리동네문화공동체만들기’ 사례를 중심으로
학위논문(석사) -박수현-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 도시행정학과 도시정책 2013. 0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