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사회적역할의이해
1. 귀속지위와 성취지위의 예를 각각 3가지씩 제시하시오.
2. 사회화의 생물학적 기초를 제시하시오.
3. 베버(M. Weber)가 구분한 사회적 행위의 유형과 파슨스(T. Parsons)가 구분한 사회적 행위의 유형을 제시하시오.
4. 문화의 속성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시오.
5. 권위주의적 리더십, 민주적 리더십, 자유방임적 리더십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시오.
6. 가족의 기능을 제시하시오.
7. 윤리적 소비가 무엇인지 설명하고 윤리적 소비를 청소년에게 가르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시오.
1. 귀속지위와 성취지위의 예를 각각 3가지씩 제시하시오.
2. 사회화의 생물학적 기초를 제시하시오.
3. 베버(M. Weber)가 구분한 사회적 행위의 유형과 파슨스(T. Parsons)가 구분한 사회적 행위의 유형을 제시하시오.
4. 문화의 속성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시오.
5. 권위주의적 리더십, 민주적 리더십, 자유방임적 리더십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시오.
6. 가족의 기능을 제시하시오.
7. 윤리적 소비가 무엇인지 설명하고 윤리적 소비를 청소년에게 가르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시오.
본문내용
다. 반면 인격 형성은 성인 가족 구성원을 정서적으로 도울 때 발휘되는 것으로, 성인 남녀가 결혼을 통해 서로 지지하고 정서적으로 건강하게 해주는 것을 의미한다. 파슨스가 제시한 가족의 기능은 오늘날 관점에서 구식으로 평가받으며 일차적 사회화나 인격 형성 등 그 기능을 설명할 때 정부, 학교, 대중매체 등 다른 요소들의 기여를 다루지 않는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는다.
7. 윤리적 소비가 무엇인지 설명하고 윤리적 소비를 청소년에게 가르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시오.
윤리적 소비(Ethical Consumption)란 소비행위가 타인, 사회, 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고려하면서 환경과 사회에 바람직한 방향으로 소비하는 것을 말한다. 즉, 인간과 동물, 환경을 착취하지 않고 해를 가하지 않는 윤리적으로 생산된 상품을 소비하는 행위이다. 구체적으로 윤리적 소비의 종류를 파악하면 에너지를 절감하는 제품 사용(환경 및 자원 보존), 유기농 제품 사용, 동물 실험을 하지 않은 제품 사용(동물 보호) 등 ‘친환경 소비’와 생산자에게 정당한 비용을 지불하는 공정무역, 공정 여행 등 ‘생산을 배려하는 소비’가 있다.
청소년의 경우, 행사 및 봉사활동, 벼룩시장에 참여하여 윤리적 소비를 접하는 경우가 많으며 전반적으로 윤리적 소비에 대한 교육이 부족하여 접근에 제약이 있다. 따라서 가정 및 학교 차원에서 윤리적 소비에 대한 교육이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또한, 인터넷이나 미디어를 통해서 윤리적 소비를 접하는 게 실천 가능성을 높여주므로 이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좋아하는 연예인이 윤리적 소비를 할 경우, 청소년에게 직접적인 효과가 나타날 수 있으며 친구들과 특정 경험을 공유하는 걸 좋아하는 심리를 이용해야 한다. 실제로 방탄소년단(폐기물을 재활용해 만든 백팩)이나 수지(위안부 후원 스마트폰 케이스) 등 청소년에게 인기 있는 연예인의 윤리적 소비가 알려졌을 때 해당 정보는 파급력이 있었으며 청소년들의 해당 제품 소비까지 그 영향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윤리적 소비를 SNS 인증 운동처럼 만들어서 윤리적 소비에 대한 개념을 알리고 이를 독려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
참고문헌 및 사이트
강의자료, 구조기능주의.
강의자료, 사회학, 문화의 속성.
강의자료, 새로운 시대의 리더십.
9) 이로운넷, ‘[기획특집] 모두에게 이로운 선택 \'윤리적소비(Ethical Consumerism)\'’, 이로운넷, 2012.12.28.
7. 윤리적 소비가 무엇인지 설명하고 윤리적 소비를 청소년에게 가르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시오.
윤리적 소비(Ethical Consumption)란 소비행위가 타인, 사회, 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고려하면서 환경과 사회에 바람직한 방향으로 소비하는 것을 말한다. 즉, 인간과 동물, 환경을 착취하지 않고 해를 가하지 않는 윤리적으로 생산된 상품을 소비하는 행위이다. 구체적으로 윤리적 소비의 종류를 파악하면 에너지를 절감하는 제품 사용(환경 및 자원 보존), 유기농 제품 사용, 동물 실험을 하지 않은 제품 사용(동물 보호) 등 ‘친환경 소비’와 생산자에게 정당한 비용을 지불하는 공정무역, 공정 여행 등 ‘생산을 배려하는 소비’가 있다.
청소년의 경우, 행사 및 봉사활동, 벼룩시장에 참여하여 윤리적 소비를 접하는 경우가 많으며 전반적으로 윤리적 소비에 대한 교육이 부족하여 접근에 제약이 있다. 따라서 가정 및 학교 차원에서 윤리적 소비에 대한 교육이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또한, 인터넷이나 미디어를 통해서 윤리적 소비를 접하는 게 실천 가능성을 높여주므로 이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좋아하는 연예인이 윤리적 소비를 할 경우, 청소년에게 직접적인 효과가 나타날 수 있으며 친구들과 특정 경험을 공유하는 걸 좋아하는 심리를 이용해야 한다. 실제로 방탄소년단(폐기물을 재활용해 만든 백팩)이나 수지(위안부 후원 스마트폰 케이스) 등 청소년에게 인기 있는 연예인의 윤리적 소비가 알려졌을 때 해당 정보는 파급력이 있었으며 청소년들의 해당 제품 소비까지 그 영향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윤리적 소비를 SNS 인증 운동처럼 만들어서 윤리적 소비에 대한 개념을 알리고 이를 독려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
참고문헌 및 사이트
강의자료, 구조기능주의.
강의자료, 사회학, 문화의 속성.
강의자료, 새로운 시대의 리더십.
9) 이로운넷, ‘[기획특집] 모두에게 이로운 선택 \'윤리적소비(Ethical Consumerism)\'’, 이로운넷, 2012.12.28.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