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아시아공동체의 구축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한국이 아시아공동체 구축의 중심적 역할을 하기 위해 한국사회는 경제, 사회, 정치, 문화적 맥락에서 어떤 활동을 추진해야 하고, 또한 한국의 젊은이들은 이에 대해 어떤 준비를 해야 할 것인지를 제시하여 보세요.
목차
1. 서론
1. 본론
1) 아시아 공동체 형성의 필요성과 방해요인
2) 분야별 아시아 공동체 형성
(1) 경제
(2) 정치
(3) 문화
3. 결론
4. 참고문헌 및 사이트
목차
1. 서론
1. 본론
1) 아시아 공동체 형성의 필요성과 방해요인
2) 분야별 아시아 공동체 형성
(1) 경제
(2) 정치
(3) 문화
3. 결론
4. 참고문헌 및 사이트
본문내용
의 문화적 정체성을 제대로 파악하고 이를 포용하는 상호 간의 관용적 태도의 발전이 특히 전제되어야 한다.
3. 결론
전 세계적으로 동아시아의 영향력이 크게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아시아 공동체 형성은 필수 불가결한 것이지만 오랜 역사 갈등과 경제, 사회, 정치, 문화적 정체성에 기인한 다양한 방해 요소들이 산재하여 있다. 하지만 동아시아의 국제 정세가 미·중의 양강구도로 재편되는 상황에서 인적, 물적, 자본의 교류는 물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신뢰에 기반한 협력적-통합적 관계 구축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한국은 정치, 문화적 관점에서 아시아 공동체 형성에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밖에 없으며 점진적 협력을 추구하고 있다.
아시아 공동체 형성을 위해서는 다양한 국가와 민족이 ‘아시아인’의 정체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일차적으로 사회, 문화의 통합을 이뤄 다양한 협력 및 통합의 밑바탕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우리 청년들에게 중요한 책임과 역할이 있다 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감정의 골이 깊은 일본과 한국에 있어서, 일본의 젊은 세대들이 한국의 대중문화를 소비하면서 ‘혐한’을 비판하게 되는 사례를 보면 청년들을 중심으로 한 인적교류의 중요성을 실감할 수 있다. 따라서 반중, 반일 감정으로 표현되는 극단적 감정에 매몰되지 않고 타 아시아 문화에 대한 포용력을 늘리는 한편, 인터넷을 활용한 아시아 청년들의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것이 아시아 공동체 형성을 위해 필요하며 우리 청년들이 적절하게 준비, 대응해야 한다.
4. 참고문헌 및 사이트
1) 김흥태, 「한·중·일 아시아공동체 형성을 위한 기초연구」, 대전발전연구원, 2013.
2) 박승우, 「동아시아 공동체 담론 리뷰」, 아시아리뷰 제1권 제1호, 61-110쪽, 2011.
2) 김기봉, 『역사를 통한 동아시아 공동체 만들기』, 푸른역사, 2006,
3) 백영서, 「제국을 넘어 동아시아공동체로」, 백영서 외, 『동아시아의 지역질서: 제국을 넘어 공동체로』, 10-34쪽, 파주: 창비, 2005.
4) 강상중, 『동북아시아 공동의 집을 향하여』, 뿌리와 이파리, 2002.
5) 와다 하루키, 『동북아시아 공동의 집』(이운덕 역), 일조각, 2003.
6) 임우경, 「비판적 지역주의로서 한국 동아시아론의 전개」, 중국현대문학, 2007.
7) 개번 매코맥, ‘[개번 매코맥 칼럼](24)한국이 아시아 공동체 ‘균형자’ 돼라’, 경향신문, 2009.12.07.
3. 결론
전 세계적으로 동아시아의 영향력이 크게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아시아 공동체 형성은 필수 불가결한 것이지만 오랜 역사 갈등과 경제, 사회, 정치, 문화적 정체성에 기인한 다양한 방해 요소들이 산재하여 있다. 하지만 동아시아의 국제 정세가 미·중의 양강구도로 재편되는 상황에서 인적, 물적, 자본의 교류는 물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신뢰에 기반한 협력적-통합적 관계 구축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한국은 정치, 문화적 관점에서 아시아 공동체 형성에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밖에 없으며 점진적 협력을 추구하고 있다.
아시아 공동체 형성을 위해서는 다양한 국가와 민족이 ‘아시아인’의 정체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일차적으로 사회, 문화의 통합을 이뤄 다양한 협력 및 통합의 밑바탕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우리 청년들에게 중요한 책임과 역할이 있다 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감정의 골이 깊은 일본과 한국에 있어서, 일본의 젊은 세대들이 한국의 대중문화를 소비하면서 ‘혐한’을 비판하게 되는 사례를 보면 청년들을 중심으로 한 인적교류의 중요성을 실감할 수 있다. 따라서 반중, 반일 감정으로 표현되는 극단적 감정에 매몰되지 않고 타 아시아 문화에 대한 포용력을 늘리는 한편, 인터넷을 활용한 아시아 청년들의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것이 아시아 공동체 형성을 위해 필요하며 우리 청년들이 적절하게 준비, 대응해야 한다.
4. 참고문헌 및 사이트
1) 김흥태, 「한·중·일 아시아공동체 형성을 위한 기초연구」, 대전발전연구원, 2013.
2) 박승우, 「동아시아 공동체 담론 리뷰」, 아시아리뷰 제1권 제1호, 61-110쪽, 2011.
2) 김기봉, 『역사를 통한 동아시아 공동체 만들기』, 푸른역사, 2006,
3) 백영서, 「제국을 넘어 동아시아공동체로」, 백영서 외, 『동아시아의 지역질서: 제국을 넘어 공동체로』, 10-34쪽, 파주: 창비, 2005.
4) 강상중, 『동북아시아 공동의 집을 향하여』, 뿌리와 이파리, 2002.
5) 와다 하루키, 『동북아시아 공동의 집』(이운덕 역), 일조각, 2003.
6) 임우경, 「비판적 지역주의로서 한국 동아시아론의 전개」, 중국현대문학, 2007.
7) 개번 매코맥, ‘[개번 매코맥 칼럼](24)한국이 아시아 공동체 ‘균형자’ 돼라’, 경향신문, 2009.12.07.
추천자료
세대별 사랑의 재구성/n세대와 구세대의 사랑에 대한 차이
환경운동의 흐름을 통해 살펴 본 우리사회의 환경문제와 그 의미
『한국과 일본의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 한ㆍ일의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분석 및 연계에 대하여
민족주의에 대하여
사회복지이론화(후기근대주의부터 정치경제적 관점에서)
일탈과 사회통제
[붉은 악마][붉은 악마 현상][응원][길거리 응원][응원문화][월드컵][축구]붉은 악마 현상의 ...
기독교(그리스도교) 특성, 기독교(그리스도교) 기원, 기독교(그리스도교) 神(신)개념, 기독교...
일본의 정치문화 21세기 당면한 문제점 및 세개화 대처 자세
생각의지도 독서감상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