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모형을 적용.
조직문화는 Cameron and Quinn(2011)이 제시한 경쟁가치 모형을 중심으로 이를 응용한 이규홍(2017) 등의 조직문화 유형 분류를 통한 혁신문화, 관계문화, 과업문화, 위계문화로 선정하여 모형에 적용.
가설
1. 중소벤처 제조기업의 경영 전략은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2. 중소벤처 제조기업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3. 중소벤처 제조기업의 조직문화 유형은 경영성과에 매개 역할을 할 것이다.
조사 설계
삼성전자 모바일 사업부분 협력체 중소벤처 제조기업 간부급 직원을 대상으로 145명의 설문조사 실시.SPSS 18.0을 활용하였으며 내적 일관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크론바 알파(Cronbach\'s α)계수 산출을 함으로서 신뢰도 검증이 이루어짐. 불필요한 요인들을 제거하고 요인 선정의 타당성을 알아보기위해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함. 영전략과 CSR 활동이 조직문화를 매개로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각 요인들 간의 관계 즉,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함
연구 결과
1. 중소벤처 제조기업의 경영전략과 CSR활동은 경영성과에 정(+)에 방향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침.
2. 경영전략의 차별화 전략만이 경영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집중화, 저원가 전략은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3. 중소벤처 제조기업의 경영전략, CSR활동은 모두 조직문화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위계문화>과업문화>관계문화>혁신문화 순으로 영향을 미침.
4. 중소벤처 제조기업의 경영전략과 CSR활동의 차별화, 경제적 책임, 윤리적 책임 요인이 조직문화 유형의 위계문화(P<0.001), 과업문화(P<0.01), 관계 문화(P<0.001), 혁신문화(P<0.01) 순서로 경영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쳐서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한계 및 제언
1. 국내 일부 업체에서만 이루어진 조사 연구이기에 일반화의 어려움이 있음. 그렇기에 나라별 ,업종별, 지역별, 기업 규모, 조직문화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표집 연구가 필요함.
2. 연구변인 CSR활동과 경영전략의 한정적 범주. CSR활동과 경영전략은 매우 다양한데 이를 고려하지 않고 특정 범주에서만 응답함. 그렇기에 추후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범주의 문항 구성이 필요함.
3.CSR활동의 실천적 요소 고려를 하지 않음. 본 연구에서는 변인간의 관계를 살펴보았기에 중소기업이 실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제한적임. 추후에는 중소기업의 CSR활동의 실천적 유형을 중심으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됨.
참고 문헌
이창대. (2011). 경영전략, 조직문화, 경영혁신유형간의 관련성과 인과관계연구. 대한경영학회지, 24(6), 3441-3460.
최석봉, & 김규덕. (2012). 조직문화 유형, 협력적 노사관계, 조직성과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조직지원인식의 조절적 영향. 대한경영학회지, 25(3), 1675-1701.
조직문화는 Cameron and Quinn(2011)이 제시한 경쟁가치 모형을 중심으로 이를 응용한 이규홍(2017) 등의 조직문화 유형 분류를 통한 혁신문화, 관계문화, 과업문화, 위계문화로 선정하여 모형에 적용.
가설
1. 중소벤처 제조기업의 경영 전략은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2. 중소벤처 제조기업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3. 중소벤처 제조기업의 조직문화 유형은 경영성과에 매개 역할을 할 것이다.
조사 설계
삼성전자 모바일 사업부분 협력체 중소벤처 제조기업 간부급 직원을 대상으로 145명의 설문조사 실시.SPSS 18.0을 활용하였으며 내적 일관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크론바 알파(Cronbach\'s α)계수 산출을 함으로서 신뢰도 검증이 이루어짐. 불필요한 요인들을 제거하고 요인 선정의 타당성을 알아보기위해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함. 영전략과 CSR 활동이 조직문화를 매개로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각 요인들 간의 관계 즉,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함
연구 결과
1. 중소벤처 제조기업의 경영전략과 CSR활동은 경영성과에 정(+)에 방향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침.
2. 경영전략의 차별화 전략만이 경영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집중화, 저원가 전략은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3. 중소벤처 제조기업의 경영전략, CSR활동은 모두 조직문화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위계문화>과업문화>관계문화>혁신문화 순으로 영향을 미침.
4. 중소벤처 제조기업의 경영전략과 CSR활동의 차별화, 경제적 책임, 윤리적 책임 요인이 조직문화 유형의 위계문화(P<0.001), 과업문화(P<0.01), 관계 문화(P<0.001), 혁신문화(P<0.01) 순서로 경영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쳐서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한계 및 제언
1. 국내 일부 업체에서만 이루어진 조사 연구이기에 일반화의 어려움이 있음. 그렇기에 나라별 ,업종별, 지역별, 기업 규모, 조직문화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표집 연구가 필요함.
2. 연구변인 CSR활동과 경영전략의 한정적 범주. CSR활동과 경영전략은 매우 다양한데 이를 고려하지 않고 특정 범주에서만 응답함. 그렇기에 추후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범주의 문항 구성이 필요함.
3.CSR활동의 실천적 요소 고려를 하지 않음. 본 연구에서는 변인간의 관계를 살펴보았기에 중소기업이 실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제한적임. 추후에는 중소기업의 CSR활동의 실천적 유형을 중심으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됨.
참고 문헌
이창대. (2011). 경영전략, 조직문화, 경영혁신유형간의 관련성과 인과관계연구. 대한경영학회지, 24(6), 3441-3460.
최석봉, & 김규덕. (2012). 조직문화 유형, 협력적 노사관계, 조직성과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조직지원인식의 조절적 영향. 대한경영학회지, 25(3), 1675-1701.
추천자료
지식경영 사례 및 방법론
[인적자원개발] 인적자원개발론의 주요 내용과 방법
[경영 리더십][경영 리더쉽][여성농업인][호텔관리자][교사]교사와 경영 리더십(리더쉽), CKO...
[핵심역량][핵심역량 필요성][핵심역량 결정요소][핵심역량 인적자원개발][핵심역량 워크샵][...
[기술혁신] 기술혁신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 및 미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리더십] 카리스마적 리더십에 대하여 설명하고 성공적인 카리스마 리더와 실패한 카리스마 ...
[인적자원관리 공통] 직무특성분석과 인간특성분석이 인적자원관리에서 차지하는 위치에 대하...
인공지능이 경영에 미칠 영향에 대해 학습내용을 바탕으로 논하시오
4차 산업혁명시대의 확산으로 각 분야별 인적자원의 부족과 과잉인력이 이슈화 되고 있는 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