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자기 주도적 학습론
2. 전환학습론
3. 자기 주도적 학습론과 전환학습론이 성인학습 및 교육에 시사 하는 바
4. 참고문헌
2. 전환학습론
3. 자기 주도적 학습론과 전환학습론이 성인학습 및 교육에 시사 하는 바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 있고, 성취감을 느낄 수 있다고 알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또 자기 주도적 학습론은 학습과정에 대한 직관적인 이해를 제공하고, 학습을 어떻게 이해해야하는지 형식적인 환경을 제공하기도 했다. 특히 자기 주도적 학습을 대표하는 ‘자습시간’은 학습자 스스로 공부를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는 상황에서 던져져 어떻게 해서든지 공부를 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며 스스로에게 맞는 형식을 찾아가는 과정이 된 것이다. 그리고 자기 주도적 학습론은 성인학습자의 자율적이며 자주적인 행동에 영향을 주게 된다. 즉 스스로 해 나가는 학습에 대한 자부심과 자존심으로 학습에 있어서도, 맥락을 파악하는데 있어서도 큰 도움이 된다.
그리고 전환학습론은 자기 주도적 학습론과 함께 병행되는 학습이라고 생각한다. 성인에게 있어 학습과 교육은 스스로 진행해야 할 부분이지만 이 또한 계기가 없으면 불가능하다. 특히 경험에 대해 지식과 태도에 대해 배우게 되고, 이를 자기 것으로 만들어 발전시키는 것은 성인 학습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다. 이러한 전환학습론은 학습이 단순히 영어, 수학을 공부하는 일이 아닌 자신의 삶에 있어 일어나는 일 중에서 학습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한다. 즉 성인들에게 가장 어려운 문제 중 하나인 직장이나 대학교, 동아리 등에서 사람과의 일 들이 그것이다.
사람과 사람을 대하는 것은 너무나 어려운 일이며 우리는 이것을 주입식으로 학습하고자 했던 시절도 있다. 하지만 사람을 경험해보면 알 듯이 한 사람의 행동을 미루어보면 그 사람이 어떠한 환경에서 어떤 경험을 통해 어떻게 학습했는지를 대충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어림짐작을 통해 그 사람과의 관계성을 맺어가는 것이다. 그리고 전환학습론의 가장 중요한 것인 경험과 비판적 사고를 통해 사람과의 관계에 대해 무조건 긍정적으로 생각할 것이 아닌 비판적인 사고와 눈으로 바라보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사고를 통해 이후 사람과의 관계에 있어 어떻게 해결해 나갈 것인지를 정의 내리게 된다.
이처럼 자기 주도적 학습론과 전환학습론은 한 성인에게 계속해서 이야기되는 학습방법이다. 이 학습은 단순히 책을 읽거나 문제집을 푸는 학습이 아닌 사회에서 살아나갈 때 우리가 익혀야 하는 학습이며, 어떻게 살아나가야 할 것인지에 대해 생각하는 학습이다.
4. 참고문헌
Mark Tennant, 이경화, 2018, 심리학과 성인학습, 학지사
최윤정, 2018, 성인학습 및 상담론, 학지사
또 자기 주도적 학습론은 학습과정에 대한 직관적인 이해를 제공하고, 학습을 어떻게 이해해야하는지 형식적인 환경을 제공하기도 했다. 특히 자기 주도적 학습을 대표하는 ‘자습시간’은 학습자 스스로 공부를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는 상황에서 던져져 어떻게 해서든지 공부를 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며 스스로에게 맞는 형식을 찾아가는 과정이 된 것이다. 그리고 자기 주도적 학습론은 성인학습자의 자율적이며 자주적인 행동에 영향을 주게 된다. 즉 스스로 해 나가는 학습에 대한 자부심과 자존심으로 학습에 있어서도, 맥락을 파악하는데 있어서도 큰 도움이 된다.
그리고 전환학습론은 자기 주도적 학습론과 함께 병행되는 학습이라고 생각한다. 성인에게 있어 학습과 교육은 스스로 진행해야 할 부분이지만 이 또한 계기가 없으면 불가능하다. 특히 경험에 대해 지식과 태도에 대해 배우게 되고, 이를 자기 것으로 만들어 발전시키는 것은 성인 학습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다. 이러한 전환학습론은 학습이 단순히 영어, 수학을 공부하는 일이 아닌 자신의 삶에 있어 일어나는 일 중에서 학습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한다. 즉 성인들에게 가장 어려운 문제 중 하나인 직장이나 대학교, 동아리 등에서 사람과의 일 들이 그것이다.
사람과 사람을 대하는 것은 너무나 어려운 일이며 우리는 이것을 주입식으로 학습하고자 했던 시절도 있다. 하지만 사람을 경험해보면 알 듯이 한 사람의 행동을 미루어보면 그 사람이 어떠한 환경에서 어떤 경험을 통해 어떻게 학습했는지를 대충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어림짐작을 통해 그 사람과의 관계성을 맺어가는 것이다. 그리고 전환학습론의 가장 중요한 것인 경험과 비판적 사고를 통해 사람과의 관계에 대해 무조건 긍정적으로 생각할 것이 아닌 비판적인 사고와 눈으로 바라보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사고를 통해 이후 사람과의 관계에 있어 어떻게 해결해 나갈 것인지를 정의 내리게 된다.
이처럼 자기 주도적 학습론과 전환학습론은 한 성인에게 계속해서 이야기되는 학습방법이다. 이 학습은 단순히 책을 읽거나 문제집을 푸는 학습이 아닌 사회에서 살아나갈 때 우리가 익혀야 하는 학습이며, 어떻게 살아나가야 할 것인지에 대해 생각하는 학습이다.
4. 참고문헌
Mark Tennant, 이경화, 2018, 심리학과 성인학습, 학지사
최윤정, 2018, 성인학습 및 상담론, 학지사
추천자료
성인학습및상담론=> 행동주의 학습이론, 인본주의 학습이론, 사회학습이론, 구성주의 학습이...
[성인학습및상담론] 행동주의 학습이론, 인본주의 학습이론, 사회학습이론, 구성주의 학습이...
[성인학습 및 상담론 공통] 행동주의 학습이론, 인본주의 학습이론, 사회학습이론, 구성주의 ...
[성인학습 및 상담론 공통] 행동주의 학습이론, 인본주의 학습이론, 사회학습이론, 구성주의 ...
[2020 성인학습및상담론_기말시험][출처표기] 자기주도적 학습론과 전환학습론을 설명하고, ...
[성인학습및상담론 3학년] 자기주도적 학습론과 전환학습론을 설명하고, 각 이론이 성인학습 ...
2021년 1학기 성인학습및상담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행동, 인본, 사회학습, 구성주의)
[ 성인학습및상담론 ) 자기주도적 학습론과 전환학습론을 설명하고, 각 이론이 성인학습 및 ...
[ 성인학습및상담론 ) 자기주도적 학습론과 전환학습론을 설명하고, 각 이론이 성인학습 및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