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생활교육 ) 부부 대상의 부부관계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계획하고자 한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족생활교육 ) 부부 대상의 부부관계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계획하고자 한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가족생활교육
주제 : 부부 대상의 부부관계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계획하고자 한다. 부부교육은 5-10쌍 정도의 부부를 대상으로 하는 소규모 집단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제목 : 신혼기 부부의 의사소통 향상을 통한 결혼 생활 교육 프로그램

목차
1. 서론
2. 본론
(1) 프로그램 대상 설정 및 목표
(2) 프로그램 소개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와 같은 의사소통 방식을 사용하진 않았었는지, 있다면 언제였고 어떻게 느껴졌었는지에 대해 소통.
- 의사소통 간 서로 비난 혹은 감정적인 상태가 되지 않도록 객관적이며 상호 긍정적인 태도 유지 필수.
60
종이, 펜
종결
부부가 정기적으로 서로의 의사소통 방식에 대한 요구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매주 관련 대화하는 시간을 갖도록 요구;
이번 회기 후 서로 느낀 점 발표.
20
없음
3. 결론
본 문장은 신혼기 부부의 의사소통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를 증진하기 위한 간단하지만, 효과적일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소개했다. 이번 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며 느낀 점은, 이미 존재하는 다수의 부부간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들이 대부분 아내와 남편의 상호 이해를 증진하고 모순점을 스스로 찾도록 유도한다는 것을 느꼈다(유옥, 2010; 안향선, 2019). 즉, 부부간의 의사소통의 증진을 위해선, 진행자의 개념 강의보다도, 부부간 서로 느낀 점을 진솔하며 객관적으로 소통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진정성 있는 토론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다. 개인적으로 이런 교육 방향은 부부가 자기 주도적으로 결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훈련을 하는 것으로, 부작용이 적고 효과적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현재 여러 프로그램과 같이 단순히 의사소통의 시간과 방식만을 교육하는 것은 다소 부족하다 여겨진다. 개인적으로, 향후 프로그램들에서는 서로의 취미를 공유하거나, 생활 방식을 공유해보는 과제를 포함하는 것이 부부간 상호 이해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런 과정을 통해, 부부는 생활간 서로 이해하지 못했었던 불편들에 대해 스스로 느끼게 될 것이며, 이는 단순히 대화를 통한 상호 이해보다 더 깊고 효과적으로 작용할 것이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유옥. \"결혼생활 만족도 증진을 위한 신혼기 부부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검증.\" 국내박사학위논문 韓南大學校, 2010. 대전
안향선. \"자기-상대방 상호 의존성 모델을 활용한 신혼기 부부의 결혼만족도 영향요인.\" 국내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9. 경기도
통계청, “2019년 혼인 이혼 통계”, 사회통계국 인구동향과, 2020
Feldman, H. “Development of husband wife relationship”, Cornell
University. research report to nationalinstitate of marital
health, 1965.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2.07.28
  • 저작시기2022.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39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