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본론
1. 중화사상이 동아시아에 미쳤던 영향
2. 중국몽이 동아시아에 미치는 영향
III. 결론
IV. 참고문헌
II. 본론
1. 중화사상이 동아시아에 미쳤던 영향
2. 중국몽이 동아시아에 미치는 영향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동아시아 국가들은 중국이 자신의 국가에 미치는 영향 중 긍정적인 영향만 받아들이고 부정적인 영향은 배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얻는 게 있으면 잃는 게 있기 마련이다. 과거에도 중국이 다방면으로 많은 영향을 미쳤지만 그 당시에는 사상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쳤다면, 현재 중국몽은 동아시아에 다방면으로 영향을 미친다. 중국은 동아시아의 경제를 통합함으로써 자본주의 국가인 미국에 대적하고자 한다. 중국이 동아시아에 미치는 영향은 장단점이 있지만, 국가차원에서 보면 중국 자체의 이익을 우선시 할 것이다. 동아시아국가들은 중국이 미치는 영향을 그대로 받아들일 것이 아니라 자국에게 어떠한 이득이 되는지, 얼마나 손해가 발생하는지, 손해보다 이득이 더 큰 것은 맞는지 따져봐야 한다. 또한 자신의 국가가 중국에 미치는 영향을 어떤지에 대해서도 알고 있어야 한다. 힘의 불균형은 위험하다. 역사적으로도 강대국과 약소국 간의 힘의 불균형으로 인해 약소국들이 입은 피해가 많다. 역사는 반복되는 것이고, 역사를 통해 배울 것이 많다. 그러므로 중국에 견제하여 동아시아 국가들도 힘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 사실 동아시아 국가들은 중국에 대응하는 것보다 중국이라는 강대국을 활용해 자신들의 이익을 취하려고 하는 모습을 드러내기 쉽다. 하지만 중국은 중국에 대응하지 않고 호혜적으로 행동하는 국가들에게 정치적으로나 외교적으로나 어떠한 영향을 표현하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동아시아의 국가들은 각자 나름대로 중국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에 대하여 깊이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IV. 참고문헌
신동호(2002). 중국 위협론의 실체와 한중 관계의 전망.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국제지역학과. 석사학위논문. 26-28쪽, 77-80쪽 참고.
유경민(2000). 중국·북한관계를 통해서 본 중화사상의 현대적 해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 석사학위논문. 14-58쪽 참고.
이정훈(2019). 중국적 전통 국제질서론의 비판적 재해석 : 열국체제 제국체제 조공체제의 병존.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외교안보학과. 박사학위논문. 47-52쪽, 71-78쪽, 248-308쪽 참고.
정영철(2011). 21세기 중국의 동아시아 패권전략과 한반도적 함의. 한남대학교 대학원 정치 및 지역발전학과. 박사학위논문. 179-209쪽 참고.
황영(2011). 동아시아 공동체에서의 중국의 역할 인식. 충남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석사학위논문. 25-40쪽 참고.
IV. 참고문헌
신동호(2002). 중국 위협론의 실체와 한중 관계의 전망.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국제지역학과. 석사학위논문. 26-28쪽, 77-80쪽 참고.
유경민(2000). 중국·북한관계를 통해서 본 중화사상의 현대적 해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 석사학위논문. 14-58쪽 참고.
이정훈(2019). 중국적 전통 국제질서론의 비판적 재해석 : 열국체제 제국체제 조공체제의 병존.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외교안보학과. 박사학위논문. 47-52쪽, 71-78쪽, 248-308쪽 참고.
정영철(2011). 21세기 중국의 동아시아 패권전략과 한반도적 함의. 한남대학교 대학원 정치 및 지역발전학과. 박사학위논문. 179-209쪽 참고.
황영(2011). 동아시아 공동체에서의 중국의 역할 인식. 충남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석사학위논문. 25-40쪽 참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