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견과 반대의견을 서술하였다. 안락사에 대한 개인의 의견은 안락사를 전부 찬성하는 것은 아니지만 소극적인 안락사나, 품위 있는 죽음 혹은 의사 조력자살은 허용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고통에서 벗어나는 수단으로 안락사를 선택하는 것은 진정한 자유에 의한 선택이 아니라고 볼 수도 있지만, 그 또한 개인의 자유라고 생각한다.
개인이 자신의 고통과 아픔에서 벗어나고자 죽음을 선택하는 것이 자유가 아니라는 것에 개인을 계속 고통과 아픔에 머물도록 하는 것이 자유를 침해하는 것이고 개인에 대한 사회의 이기적인 행동이라고 생각한다.
개인은 자신의 아픔에서 벗어날 권리가 있으며 사회는 이를 존중해 주어야 한다고 보며, 개인이 자기 죽음을 선택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의사의 전문적인 의견과 가족의 의견을 합하여 안락사를 허용해야 한다. 의사의 전문적이고 객관적인 소견으로 개인이 다시 의식을 가지고 깨어나 자신의 의지를 밝힐 수 있는 상태가 아님을 확인하고 가족의 의견을 심리상담사와 같은 전문가와 함께 심사숙고하여 의사와 가족이 개인을 안락사하는 것이 어떠한 이익을 위해서가 아닌 정말 그 개인을 존중하기 위함을 확인하고 안락사를 하는 것은 찬성해야 한다.
자신의 의지를 선택할 수 없고 어떠한 사고를 할 수 없는 상태에서 의료기기에 의존하여 생명을 연장하고 있는 것은 오히려 존엄성을 헤치는 것으로 생각한다.
어떠한 사건이나 병으로 식물인간이나 의식불명의 상태가 된 개인은 이미 그 시점에서 죽음을 맞이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일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상태의 사람을 의사의 의무나 가족이 다가올 슬픔을 감당하는 것이 두려워 개인의 생명을 의도적으로 연장하는 것은 타인의 생각과 의지로 인해 억지스러운 삶을 연장하는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비도덕적인 행동이라 보인다. 하지만 안락사가 어떠한 이익을 위해 이용되는 수단이 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해야 하며 죽음이 경시되는 문화가 조성되지 않도록 사회는 노력해야 할 것이며 안락사가 시행되는 만큼 생명의 중요성을 알아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4. 참고문헌
1) 안락사의 허용여부에 대한 비교법적 연구 - 네덜란드, 독일, 미국, 일본을 중심으로. 한상훈. KRF. (2003)
2) 중환자 의료인의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인식 : \'09년 김할머니 사건 이후. 박명옥
서울: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2)
3) 극단으로 치닫는 안락사. 윈스턴 로스 뉴스위크 기자. 중앙일보. 2015.03.01. 기사
개인이 자신의 고통과 아픔에서 벗어나고자 죽음을 선택하는 것이 자유가 아니라는 것에 개인을 계속 고통과 아픔에 머물도록 하는 것이 자유를 침해하는 것이고 개인에 대한 사회의 이기적인 행동이라고 생각한다.
개인은 자신의 아픔에서 벗어날 권리가 있으며 사회는 이를 존중해 주어야 한다고 보며, 개인이 자기 죽음을 선택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의사의 전문적인 의견과 가족의 의견을 합하여 안락사를 허용해야 한다. 의사의 전문적이고 객관적인 소견으로 개인이 다시 의식을 가지고 깨어나 자신의 의지를 밝힐 수 있는 상태가 아님을 확인하고 가족의 의견을 심리상담사와 같은 전문가와 함께 심사숙고하여 의사와 가족이 개인을 안락사하는 것이 어떠한 이익을 위해서가 아닌 정말 그 개인을 존중하기 위함을 확인하고 안락사를 하는 것은 찬성해야 한다.
자신의 의지를 선택할 수 없고 어떠한 사고를 할 수 없는 상태에서 의료기기에 의존하여 생명을 연장하고 있는 것은 오히려 존엄성을 헤치는 것으로 생각한다.
어떠한 사건이나 병으로 식물인간이나 의식불명의 상태가 된 개인은 이미 그 시점에서 죽음을 맞이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일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상태의 사람을 의사의 의무나 가족이 다가올 슬픔을 감당하는 것이 두려워 개인의 생명을 의도적으로 연장하는 것은 타인의 생각과 의지로 인해 억지스러운 삶을 연장하는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비도덕적인 행동이라 보인다. 하지만 안락사가 어떠한 이익을 위해 이용되는 수단이 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해야 하며 죽음이 경시되는 문화가 조성되지 않도록 사회는 노력해야 할 것이며 안락사가 시행되는 만큼 생명의 중요성을 알아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4. 참고문헌
1) 안락사의 허용여부에 대한 비교법적 연구 - 네덜란드, 독일, 미국, 일본을 중심으로. 한상훈. KRF. (2003)
2) 중환자 의료인의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인식 : \'09년 김할머니 사건 이후. 박명옥
서울: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2)
3) 극단으로 치닫는 안락사. 윈스턴 로스 뉴스위크 기자. 중앙일보. 2015.03.01. 기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