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윤리적 관점
-철학적 관점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윤리적 관점
-철학적 관점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무런 양심의 가책도 못 느낀다고는 하지만 대개 범죄자들은 선천적인 문제가 없이 평범하게 태어난 사람이다.
그러한 사람들이 자라온 환경에서 범죄에 노출되었거나, 어떠한 계기를 통해 범죄에 호기심을 가지고 그것에 동조하여 양심과 윤리를 져버리는 오류를 범했든가 하는 여러 이유들로 범죄를 저질렀을 것으로 생각한다.
이러한 해석은 범죄를 예방하고 범죄에 노출되지 않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것에 의미가 있는 해석이라 생각한다. 선천적으로 범죄를 저지를 가능성을 가지고 태어나는 것은 예방하는 것이 힘들지만 후천적으로 주변의 환경과 문화를 조성하여 범죄를 예방하는 것은 가능한 일이기 때문이다.
3. 결론
윤리적 관점과 철학적 관점에서 범죄자에 관해 생각해 보았는데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범죄자들은 다른 보통의 사람보다 더 악하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선천적으로 어떠한 결합을 가지고 태어나는 것 외에는 후천적으로 성장한 환경에서 범죄를 쉽게 접하거나 혹은 자신이 범죄를 당했거나 하는 경험과 올바른 윤리의식을 성립하지 못해 제대로 된 가치판단을 하지 못하는 태도를 가져 범죄를 저지른 것이라 생각한다.
그런 점에서 범죄는 개인과 사회가 모두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현재 발생하는 범죄에 맞추어 사회가 범죄에 대응하는 방식이 변화되어야 한다고 느낀다.
지금 우리는 범죄자에 대한 처벌이 정당하지 못하고 그들이 또 출소하여 범죄를 저지를 가능성이 높아 이에 불안에 하며, 강렬한 처벌을 원하지만 현재의 법은 그렇지 못하다.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범죄자들이 자신의 윤리의식과 양심을 져버리고 범죄 행동을 선택한 만큼 그들의 선택에 대한 확실한 책임을 물어야 하며, 범죄자들이 자신의 잘못에 책임을 다하며 자신이 가진 윤리의식과 도덕성을 고찰할 수 있는 사회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사회는 범죄가 발생하지 않도록 효과적인 예방을 해야 하며 대중매체는 범죄를 포장하여 긍정적인 요소로 소비해서도 안 된다고 생각한다. 또한 취약계층이나 사회적 약자들이 범죄에 노출될 수밖에 없는 환경을 바꾸어 그들을 보호하고 공평한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개인은 범죄를 선택하지 않을 양심과 윤리의식을 가지어야 하며 타인과 함께 공존하는 사회 속에서 존중과 배려의 마음을 잃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4. 참고문헌
1) 내용분석을 통해 본 사이코패스 관련 언론 보도 실태 및 추세. 박지선, 조준택. 한국경찰연구학회 Vol.12 (2013)
그러한 사람들이 자라온 환경에서 범죄에 노출되었거나, 어떠한 계기를 통해 범죄에 호기심을 가지고 그것에 동조하여 양심과 윤리를 져버리는 오류를 범했든가 하는 여러 이유들로 범죄를 저질렀을 것으로 생각한다.
이러한 해석은 범죄를 예방하고 범죄에 노출되지 않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것에 의미가 있는 해석이라 생각한다. 선천적으로 범죄를 저지를 가능성을 가지고 태어나는 것은 예방하는 것이 힘들지만 후천적으로 주변의 환경과 문화를 조성하여 범죄를 예방하는 것은 가능한 일이기 때문이다.
3. 결론
윤리적 관점과 철학적 관점에서 범죄자에 관해 생각해 보았는데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범죄자들은 다른 보통의 사람보다 더 악하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선천적으로 어떠한 결합을 가지고 태어나는 것 외에는 후천적으로 성장한 환경에서 범죄를 쉽게 접하거나 혹은 자신이 범죄를 당했거나 하는 경험과 올바른 윤리의식을 성립하지 못해 제대로 된 가치판단을 하지 못하는 태도를 가져 범죄를 저지른 것이라 생각한다.
그런 점에서 범죄는 개인과 사회가 모두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현재 발생하는 범죄에 맞추어 사회가 범죄에 대응하는 방식이 변화되어야 한다고 느낀다.
지금 우리는 범죄자에 대한 처벌이 정당하지 못하고 그들이 또 출소하여 범죄를 저지를 가능성이 높아 이에 불안에 하며, 강렬한 처벌을 원하지만 현재의 법은 그렇지 못하다.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범죄자들이 자신의 윤리의식과 양심을 져버리고 범죄 행동을 선택한 만큼 그들의 선택에 대한 확실한 책임을 물어야 하며, 범죄자들이 자신의 잘못에 책임을 다하며 자신이 가진 윤리의식과 도덕성을 고찰할 수 있는 사회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사회는 범죄가 발생하지 않도록 효과적인 예방을 해야 하며 대중매체는 범죄를 포장하여 긍정적인 요소로 소비해서도 안 된다고 생각한다. 또한 취약계층이나 사회적 약자들이 범죄에 노출될 수밖에 없는 환경을 바꾸어 그들을 보호하고 공평한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개인은 범죄를 선택하지 않을 양심과 윤리의식을 가지어야 하며 타인과 함께 공존하는 사회 속에서 존중과 배려의 마음을 잃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4. 참고문헌
1) 내용분석을 통해 본 사이코패스 관련 언론 보도 실태 및 추세. 박지선, 조준택. 한국경찰연구학회 Vol.12 (201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