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단계이론을 설명,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리학 )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단계이론을 설명,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단계이론
(2) 콜버그 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비난을 받으면 죄책감을 느끼게 된다. 4단계는 근면성 대 열등감으로, 6~11세 아동이 해당한다. 이 시기는 학령기로 학교에서의 성취가 근면성을 발달시키며, 이 단계의 과업이 실패하면 열등감을 발달시킨다.
5단계는 정체감 대 역할 혼미의 단계로, 12~18세 청소년이 해당한다. 이 시기에 자아 정체감 발달을 성공적으로 완수하면 정체감 성취에 이르러 능동적으로 살아갈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하면 자아 개념과 역할에 대해 혼미를 겪는다. 6단계는 친밀감 대 고립감의 단계로, 19~24세의 성인 초기이다. 자신의 문제에서 벗어나 타인에 대한 조건 없는 선의를 베풀 수 있게 되는 것이 과업이다. 이에 실패하면 정서적으로 고립되고 자유로운 사랑에 어려움을 겪는다. 7단계는 생산성 대 침체성으로 25~54세의 성인 후기이다. 이들은 사회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며 생산성을 획득한다. 이 시기의 과업에 실패할 경우 침체를 경험한다. 마지막 8단계는 통합감 대 절망감으로, 54세 이상 노년기에 해당한다. 이들은 자신의 삶을 온전히 받아들이는 통합감을 발달시키며, 실패할 경우 자신의 삶에 대해 절망감을 경험하게 된다.
(2) 에릭슨 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에릭슨의 이론에서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시사점은 인간의 발달이 전 생애에 걸쳐 일어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평생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깨달을 수 있다. 인간의 발달이 성인 이후에도 일어나므로 이들에 대한 적절한 교육을 통해 과업 달성을 도와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각 나이의 교육 대상자에 대한 적절한 비계 제공을 통해 이들의 발달을 도모해야 한다. 예를 들어, 근면성 대 열등감에 해당하는 학령기 아동에게는 학업에 대한 도움을 제공하는 것이 적절하며, 통합감 대 절망감에 해당하는 54세 이상 노인에게는 자신의 삶을 회고하고 이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는 정서적 지지가 필요할 것이다.
결론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이론은 인간이 출생부터 사망까지 평생에 걸친 발달을 경험함을 제안한다. 이러한 이해는 다양한 나이의 교육 대상자가 현재 어떠한 과업에 당면해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적절한 교육 과제를 제시하고 이들의 발달 과업을 성취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을 것이다.
출처 및 참고문헌
임규혁. (학교학습 효과를 위한) 교육심리학. 서울: 학지사, 2007.
Carver, Charles S. 성격심리학. 서울: 학지사, 2012.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2.07.28
  • 저작시기202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40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