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관찰및행동연구 ) 유아교육에서 관찰의 필요성과 의의를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관찰및행동연구 ) 유아교육에서 관찰의 필요성과 의의를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아동관찰및행동연구
1. 유아교육에서 관찰의 필요성과 의의를 설명하시오.
2. 누리과정 영역별로 각각 다른 관찰법을 적용하여 관찰 기록하시오.
또한 각 관찰법을 사용한 이유와 장단점을 제시하시오.
3. 교사평가를 위한 수업평가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자신이 유아를 대상으로 수업을 시연해 보고 수업장면을 영상으로 찍은 후 관찰 기법 중 1개를 선정하여 자기평가를 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유아교육에서 관찰의 필요성과 의의
2. 누리과정 영역별로 각각 다른 관찰법을 적용하여 관찰 내용.
3. 각 관찰법을 사용한 이유와 장단점을 제시하시오.
4. 교사평가를 위한 수업평가의 목적과 방법
5. 자신이 유아를 대상으로 수업시연 후, 수업장면을 영상 촬영과 자기평가
Ⅲ 결론
Ⅳ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신이 유아를 대상으로 수업시연 후, 수업장면을 영상 촬영과 자기평가
지금까지 설명했던 관찰법을 이용하여 수업시연을 하였다. 먼저 햇님반 만 4세 15명을 대상으로 하는 수업이다. 영역 중에서는 예술 경험 영역을 그리고 세부 내용으로는 창의적으로 표현하기를 통하여 악기를 연주하는 것을 큰 틀로 삼아 수업을 진행하고자 계획하였다. 목표는 다양한 악기를 이용하여 자신이 연주하고자 하는 것을 자유롭게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다. 간단한 악기를 준비한다. 아이들에게 가장 익숙한 악기로 트라이앵글, 캐스터네츠, 작은 북, 리코더 등이다. 아이들은 집에서 준비하는 악기가 있다면 가지고 오고, 그것이 아니라면 미리 어린이집에서 미리 준비한 악기를 가지고 하나씩 선택을 한 후에 자유롭게 연주를 시작한다. 간단히 교사가 앞에서 동요 하나를 틀어주면서 그 음악에 맞추어 박자나 음을 생각해 리듬감을 만들어내는 것이 활동의 궁극적 목표이다.
대상
햇님반 만 4세, 15명
수업 시간
35분
영역
- 예술 경험
- 창의적으로 표현하기
학습 목표
악기를 이용하여 리듬을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준비물
트라이앵글, 캐스터네츠, 작은 북, 탬버린, 리코더
내용
도입
각자 준비한 악기들을 꺼내고 교사는 아이들에게 악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론
동요 하나를 선택하여 동요의 리듬에 맞는 박자나 음정에 맞춰서 각자 자유롭게 악기를 연주하여 표현한다.
마무리
마지막으로 악기를 정리하면서 수업을 마무리한다.
교사 피드백
아이들이 각자 선택한 악기들을 메모하고 어떻게 연주하여 표현한 것인지 확실하게 관찰할 수 있었다. 하지만 부족한 점도 있었는데, 더 많은 음악과 악기를 연주하는 기회를 주지 못했다는 점이다.
관찰법 중 참여 관찰법을 이용하였다. 어떻게 이용하게 되었는가를 먼저 설명하면, 직접 교사도 악기를 선택하여 음정을 맞춰주며 함께 어우러지도록 노력한다. 나는 작은 북을 선택하였고 작은 북을 이용해 동요의 박자에 맞춰 4/4 박자를 두드린다. 그러면 아이들이 그것에 따라 같이 연주를 시작하였고 트라이앵글 등의 각 악기의 음정과 박자를 자유롭게 표현한다. 그중에 대표적으로 아이들의 관찰한 내용 몇 가지를 말하면 수현이는 캐스터네츠를 가지고 박자를 위주로 연주했다. 딱딱거리는 소리를 좋아했는지 여러 번 부딪히며 자리를 빙글빙글 돌거나 온몸으로 리듬을 표현하는 듯했다. 은혁이는 탬버린을 선택했는데 처음에는 소심하게 흔들다가 옆의 친구가 도와주자 신나게 흔들기 시작했다.
나는 이 관찰을 통하여 아이들이 악기에 얼마나 관심이 있는지, 그리고 내향적이거나 외향적인 성격을 가진 아이들, 또 옆 친구의 영향을 받거나 혼자서도 신나게 잘 노는 아이들을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음악이라고 하는 아이들이 좋아하는 공통적인 소재로서 수업을 시연함으로 재미있고 흥미로운 주제로 수업을 시연할 수 있었다. 아쉬웠던 점이라고 하면 위의 표에서도 말하였지만, 시간이 넉넉하지 못하였고, 다양한 악기로 바꾸어 서로 연주해보는 시간을 갖지 못하였던 점이었다.
Ⅲ 결론
이러한 아이들의 발달은 계속될 것이다. 교사의 역할은 그러한 아이들을 옆에서 지켜보고,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수업시연을 통하여서도 느낀 것이지만, 아이들은 순수하고, 자신을 있는 그대로 표현한다. 그래서 “관찰”이라는 것을 통해 교사와 상호작용을 하면서 즐거운 수업을 이어나갈 수 있는 것이 아닐까 싶다.
Ⅳ 출처 및 참고문헌
교육부 사이트, 2019 개정 누리과정 확정 발표
유아관찰평가의 이론과 실제 . 2005 . 전남련, 권경미, 김덕일, 이미순, 양서원 출판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광운대학교 법인 광운학원 광운원격평생교육원
  • 가격3,7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2.07.29
  • 저작시기2022.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42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