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한국어 문법 표현의 예시
가. “-지 말다.”
나. “-지 않다”
다. “-지 못하다.”
2. 교수 방법
Ⅲ. 결론
Ⅱ. 본론
1. 한국어 문법 표현의 예시
가. “-지 말다.”
나. “-지 않다”
다. “-지 못하다.”
2. 교수 방법
Ⅲ. 결론
본문내용
단순히 문법적인 상황을 파악하여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문장에 나타나는 상황과 현재 이야기하고 있는 대화의 맥락을 통해서 선택해야 하기 때문에 저 맥락 문화권에 있는 외국인들의 경우 세 가지 표현법의 차이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각각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앞서 예시를 두고 설명을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외국인을 교육할 때 첫 번째로 ‘-지 말다.’, ‘-지 않다.’, ‘-지 못하다.’의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어야 한다. 이때, 설명을 하면서 해당 외국인의 문화권에서도 이해할 수 있는 예시와 함께 금지, 또는 상황이 여의치 않음이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예를 들면, ‘길에 쓰레기를 버리지 않아야 한다.’등과 같은 표현을 이용해야 하는 것이다.
그다음에는 상황에 맞게 단어를 대입하는 등의 연습을 함으로써 각각의 표현과 그 표현이 자주 사용되는 상황 등을 알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통해 표현을 단순히 외우는 것이 아닌 상황을 이해하고, 그 상황과 맥락을 연결함으로써 다른 부분에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학습자가 스스로 특정 상황을 제시함으로써 해당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문법을 적용해보거나, 학습자와 지도자가 서로 대화를 통해서 능동적으로 의미를 해석한다면 쉽게 문법 형태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과정에서 학습자의 언어권으로 표현하여 교수를 한다면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예를 들어 영어권의 경우 ‘-지 말다. = should not’, ‘-지 않다. = do not’, ‘-지 못하다. = ’can not’과 같이 알려준다면 학습자가 이해하는데 수월함을 느낄 것이다.
마지막으로 똑같은 단어에 대하여 어떤 상황에서는 어떤 문법을 사용해야 하는지 직접 설명해보도록 한다면 활용을 하는 것에 있어서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쓰레기를 버리지 않아야 한다.’ ‘쓰레기를 버리지 못하였다.’와 같은 상황을 비교하는 것을 들 수 있다.
Ⅲ. 결론
한국어의 문법은 다른 문화권의 문법과는 다르게 상황이나 맥락에 따라서 생략을 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활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처음 한국어의 문법을 사용하는 외국인의 경우 이에 대하여 어려움을 많이 겪을 수도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이러한 문법의 예시로 ‘-지 말다.’, ‘-지 않다.’ 그리고 ‘-지 못하다.’를 설명하였다. 세 가지의 문법은 모두 부정 표현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각각에 있어서 행위자의 의도나 의지, 마음 등에 차이를 두고 있기 때문에 해당 문화권에 대한 이해와 함께 맥락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외국인들이 이러한 문법을 교육받을 경우에는 단순히 문법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공부를 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황에 맞춰서 문법을 활용하거나 대입하는 등의 교육을 함께 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남주, (2011).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원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이기령, (2006), 학교문법과 표준 한국어 문법의 비교 연구,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외국인을 교육할 때 첫 번째로 ‘-지 말다.’, ‘-지 않다.’, ‘-지 못하다.’의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어야 한다. 이때, 설명을 하면서 해당 외국인의 문화권에서도 이해할 수 있는 예시와 함께 금지, 또는 상황이 여의치 않음이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예를 들면, ‘길에 쓰레기를 버리지 않아야 한다.’등과 같은 표현을 이용해야 하는 것이다.
그다음에는 상황에 맞게 단어를 대입하는 등의 연습을 함으로써 각각의 표현과 그 표현이 자주 사용되는 상황 등을 알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통해 표현을 단순히 외우는 것이 아닌 상황을 이해하고, 그 상황과 맥락을 연결함으로써 다른 부분에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학습자가 스스로 특정 상황을 제시함으로써 해당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문법을 적용해보거나, 학습자와 지도자가 서로 대화를 통해서 능동적으로 의미를 해석한다면 쉽게 문법 형태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과정에서 학습자의 언어권으로 표현하여 교수를 한다면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예를 들어 영어권의 경우 ‘-지 말다. = should not’, ‘-지 않다. = do not’, ‘-지 못하다. = ’can not’과 같이 알려준다면 학습자가 이해하는데 수월함을 느낄 것이다.
마지막으로 똑같은 단어에 대하여 어떤 상황에서는 어떤 문법을 사용해야 하는지 직접 설명해보도록 한다면 활용을 하는 것에 있어서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쓰레기를 버리지 않아야 한다.’ ‘쓰레기를 버리지 못하였다.’와 같은 상황을 비교하는 것을 들 수 있다.
Ⅲ. 결론
한국어의 문법은 다른 문화권의 문법과는 다르게 상황이나 맥락에 따라서 생략을 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활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처음 한국어의 문법을 사용하는 외국인의 경우 이에 대하여 어려움을 많이 겪을 수도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이러한 문법의 예시로 ‘-지 말다.’, ‘-지 않다.’ 그리고 ‘-지 못하다.’를 설명하였다. 세 가지의 문법은 모두 부정 표현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각각에 있어서 행위자의 의도나 의지, 마음 등에 차이를 두고 있기 때문에 해당 문화권에 대한 이해와 함께 맥락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외국인들이 이러한 문법을 교육받을 경우에는 단순히 문법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공부를 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황에 맞춰서 문법을 활용하거나 대입하는 등의 교육을 함께 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남주, (2011).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원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이기령, (2006), 학교문법과 표준 한국어 문법의 비교 연구,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추천자료
외국어로서의한국어문법교육론 ) 한국어 문법에서 문법 표현의 예를 둘 이상 들고 각 문법 표...
한국어 문법에서 문법 표현의 예를 둘 이상 들고 각 문법 표현에 대해 어떤 의미•형태통사•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교육론 ) 한국어 문법에서 문법 표현의 예를 둘 이상 들고, 각 문법...
한국어 문법에서 문법 표현의 예를 둘 이상 들고, 각 문법 표현에 대해 어떤 의미·형태통사·...
배론원격평생교육원 한국어 교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교육 레포트 과제
《과제주제》한국어 문법에서 문법 표현의 예를 둘 이상 들고, 각 문법 표현에 대해 어떤 의...
[성적 A+] 한국어 문법에서 문법 표현의 예를 둘 이상 들고, 각 문법 표현에 대해 어떤 의미....
한국어 문법에서 문법 표현의 예를 둘 이상 들고, 각 문법 표현에 대해 어떤 의미·형태통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문법교육론_한국어 문법에서 문법 표현의 예를 둘 이상 들고, 각 문법 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