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영양소 섭취기준 미만자 분율
2) 영양소 미만자 분율 추이
3) 영양소 미만자 분율 성별 차이
4) 섭취수준이 가장 문제가 되는 영양소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2. 본론
1) 영양소 섭취기준 미만자 분율
2) 영양소 미만자 분율 추이
3) 영양소 미만자 분율 성별 차이
4) 섭취수준이 가장 문제가 되는 영양소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
⑧ 나이아신
2009년부터 2015년까지는 약 20%대를 꾸준히 지속하다가 2016년부터 30%대로 증가했다.
⑨ 비타민 C
2009년부터 2012년까지는 40%대였으나 2013년부터 2015년까지는 약 60%대까지 증가했다. 2016년 이후부터는 70%까지 올랐다.
(2) 여자
① 단백질
단백질은 대체적으로 큰 변화의 폭 없이 20%대를 유지하고 있다.
② 지방
2009년에는 40%대까지 육박했으나 점차 감소하여 2018년에는 약 30%대에 이르렀다.
③ 칼슘
이렇다 할 큰 변화 없이 70%대를 유지하고 있다.
④ 인
2009년부터 2014년까지는 약 15%대를 유지하고 있었으나 2016년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2018년에는 약 25%까지 증가하였다.
⑤ 철
2009년부터 조금씩 감소하여 2013년부터 2015년에는 24%대까지 떨어졌으나, 2016년부터 20%대로 증가했다.
⑥ 티아민
2009년부터 2012년까지는 약 40%대를 유지했으나 2013년부터 2015년까지는 12%대로 떨어졌다. 그러나 2016년부터 다시 약 40%대를 기록하고 있다.
⑦ 리보플라빈
2009년에는 50%대였으나 점차 감소하기 시작하여 2018년에는 30%대에 이르렀다.
⑧ 나이아신
2009년부터 2015년까지는 약 40%대를 유지했으나 2016년부터 50%대까지 증가했다.
⑨ 비타민 C
2009년부터 2015년까지는 50%대를 유지했으나 2016년부터 70%대로 증가했다.
4) 섭취수준이 가장 문제가 되는 영양소
국민건강영양조사(2016)에 따르면 영양섭취부족자분율의 산출기준이 되는 영양소로는 리보플라빈, 칼슘, 철, 비타민 A를 제시했다. 그 가운데 섭취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영양소는 리보플라빈과 칼슘이 있었다. 고미선. \"한국인 섭취부족 영양소의 급원식품에 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9.
위의 영양섭취기준 미만자 분율을 분석해볼 때 우리나라에서 섭취수준이 가장 문제가 되는 영양소는 칼슘이었다. 전체와 성별층에서 미만 섭취자 비율이 70%나 되기 때문이다.
3. 결론
우리는 지금까지 우리나라 국민의 영양소 섭취기준 미만자 분율의 추이를 살펴보고 분석해보았다.
영양소는 신체에 열량을 공급하고 몸의 구조를 유지하게 해주며 화학반응을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는 식품 내의 물질을 말한다.
몸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영양소는 적절하게 섭취하는 것이 필요하며 기준보다 적거나 많게 섭취할 경우 몸의 기능이 감소하며, 그 정도가 심각해지면 결국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에서 섭취수준이 가장 문제가 되는 영양소는 칼슘이었다.
과학적인 분석을 통해 섭취수준이 문제가 되는 영양소를 찾아내고 이를 국민에게 알려 국민의 건강증진과 질병예방에 기여할 수 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이수진. \"한국 성인 남녀의 다량영양소 에너지섭취비에 따른 대사증후군 연관성.\" 국내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고미선. \"한국인 섭취부족 영양소의 급원식품에 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9.
⑧ 나이아신
2009년부터 2015년까지는 약 20%대를 꾸준히 지속하다가 2016년부터 30%대로 증가했다.
⑨ 비타민 C
2009년부터 2012년까지는 40%대였으나 2013년부터 2015년까지는 약 60%대까지 증가했다. 2016년 이후부터는 70%까지 올랐다.
(2) 여자
① 단백질
단백질은 대체적으로 큰 변화의 폭 없이 20%대를 유지하고 있다.
② 지방
2009년에는 40%대까지 육박했으나 점차 감소하여 2018년에는 약 30%대에 이르렀다.
③ 칼슘
이렇다 할 큰 변화 없이 70%대를 유지하고 있다.
④ 인
2009년부터 2014년까지는 약 15%대를 유지하고 있었으나 2016년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2018년에는 약 25%까지 증가하였다.
⑤ 철
2009년부터 조금씩 감소하여 2013년부터 2015년에는 24%대까지 떨어졌으나, 2016년부터 20%대로 증가했다.
⑥ 티아민
2009년부터 2012년까지는 약 40%대를 유지했으나 2013년부터 2015년까지는 12%대로 떨어졌다. 그러나 2016년부터 다시 약 40%대를 기록하고 있다.
⑦ 리보플라빈
2009년에는 50%대였으나 점차 감소하기 시작하여 2018년에는 30%대에 이르렀다.
⑧ 나이아신
2009년부터 2015년까지는 약 40%대를 유지했으나 2016년부터 50%대까지 증가했다.
⑨ 비타민 C
2009년부터 2015년까지는 50%대를 유지했으나 2016년부터 70%대로 증가했다.
4) 섭취수준이 가장 문제가 되는 영양소
국민건강영양조사(2016)에 따르면 영양섭취부족자분율의 산출기준이 되는 영양소로는 리보플라빈, 칼슘, 철, 비타민 A를 제시했다. 그 가운데 섭취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영양소는 리보플라빈과 칼슘이 있었다. 고미선. \"한국인 섭취부족 영양소의 급원식품에 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9.
위의 영양섭취기준 미만자 분율을 분석해볼 때 우리나라에서 섭취수준이 가장 문제가 되는 영양소는 칼슘이었다. 전체와 성별층에서 미만 섭취자 비율이 70%나 되기 때문이다.
3. 결론
우리는 지금까지 우리나라 국민의 영양소 섭취기준 미만자 분율의 추이를 살펴보고 분석해보았다.
영양소는 신체에 열량을 공급하고 몸의 구조를 유지하게 해주며 화학반응을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는 식품 내의 물질을 말한다.
몸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영양소는 적절하게 섭취하는 것이 필요하며 기준보다 적거나 많게 섭취할 경우 몸의 기능이 감소하며, 그 정도가 심각해지면 결국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에서 섭취수준이 가장 문제가 되는 영양소는 칼슘이었다.
과학적인 분석을 통해 섭취수준이 문제가 되는 영양소를 찾아내고 이를 국민에게 알려 국민의 건강증진과 질병예방에 기여할 수 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이수진. \"한국 성인 남녀의 다량영양소 에너지섭취비에 따른 대사증후군 연관성.\" 국내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고미선. \"한국인 섭취부족 영양소의 급원식품에 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9.
추천자료
다미디어 시대의 시민미디어와 미디어 법제
[지역사회영양학]질병발생 패턴의 변화와 지역사회 영양사업 프로그램 조사 및 식생활 유지방안
미디어교육의 개념, 미디어교육의 특성, 미디어교육의 목표, 미디어교육의 실행형태, 미디어...
◈ 영양교사의 자질, 역할, 직무와 영양교사의 전문성과 영양교육의 내실화 방안
<사회복지 공동모금회 선정 프로포절>장애-비장애가 차이와 차별 없는 오감자극 캠프 - ‘따로...
보건교육A형) 흡연청소년의 금연교육- 개별적으로 개인이나 집단을 정하고, 선택대상에 대한 ...
청소년지도자로서 갖추어야할 역량과 직업윤리에 대해 이론적 정리, 청소년교육시설 지도자 ...
[사회복지조사] 사회복지조사의 개념과 목적 사회복지조사의 윤리적 문제 사회복지조사의 과...
지역사회영양학 ) 지난 10년간 우리나라 영양소 섭취기준 미만자 분율 추이는 어떠한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