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연구논문을 찾을 때 사용한 방법을 서술하시오
2. 연구제목과 해당되는 조사연구 유형에 대해 서술하시오
3. 연구 대상자에 대해 서술하시오
4. 연구 설계에 대해 설명하시오
5. 연구의 주요 결론과 의의에 대한 견해를 간략하게 서술하시오
6. 참고문헌
2. 연구제목과 해당되는 조사연구 유형에 대해 서술하시오
3. 연구 대상자에 대해 서술하시오
4. 연구 설계에 대해 설명하시오
5. 연구의 주요 결론과 의의에 대한 견해를 간략하게 서술하시오
6. 참고문헌
본문내용
과계와 외과계 대상자의 사정도 구별 점수를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는 내과계와 외과계 대상자의 사정 도구별 타당도를 비교하였다.
5. 연구의 주요 결론과 의의에 대한 견해를 간략하게 서술하시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낙상군과 비낙상군을 분류한 후 비교를 하는 연구를 하였다. 그리고 그 두 집단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여기서 차이를 판단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 직업과 교육의 정도 그리고 입원 경로 및 입원 방법이다. 질병 관련 특성 중 순환기계, 신경계 등과 같은 질환에서도 통계적으로 눈에 보이는 차이는 확인할 수 없었다.
낙상과 관련된 실태를 파악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적이나 정서적인 증상 정도가 독립적인 경우는 43명이었다. 그리고 42명은 부분적인 도움이 필요했다. 한편, 항상 도움이 필요한 경우는 32명이었으며 외상의 상태는 3명이었다. 낙상한 후 약 28%는 어지럼증을 호소했다. 약 19%는 수면장애를 호소했다.
낙상-군과 비-낙상-군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경우는 다음과 같다. 각 낙상 위험 사정 도구의 평균점수에서 두 집단은 차이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비-낙상-군이 더 낮은 점수 결과를 보였다. 3가지의 사정 도구에서 모두 비-낙상-군이 더 낮은 점수를 보였다. 그리고 Morse 낙상 위험 사정 도구가 가장 높은 판별력을 지닌 것을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의 의의는 이 연구를 통해서 낙상 위험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키고 이에 관한 연구를 계속해서 진행하여 환자들의 안전을 도모하는 것에 있다. 그리고 Morse 낙상 위험 사정 도구가 가장 판별력이 높은 것으로 판명되었으므로 이를 낙상 위험 평가에 적용하는 것에 대한 신뢰도를 상승시킬 수 있었다. 물론 이를 일반화할 수는 없지만 이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이 논문에서는 보여주고 있다. 추가적인 연구로는 낙상 사고에 관한 체계화된 전향적 연구가 있을 수도 있으며 타당도 조사를 위한 반복 연구가 있을 수도 있다. 또는 낙상 위험 사정 점수를 측정하는 시점에 변화를 주어서 연구할 수도 있다.
6. 참고 문헌
최은희 ( Choi Eun Hee ) , 고미숙 ( Ko Mi Suk ) , 유정숙 ( Yoo Cheong Suk ) , 김미경 ( Kim Mi Kyoung ). 2017. 입원 환자의 낙상실태 및 위험요인 조사연구: 국내 500병상 이상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임상간호연구, 23(3) : 350-360
5. 연구의 주요 결론과 의의에 대한 견해를 간략하게 서술하시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낙상군과 비낙상군을 분류한 후 비교를 하는 연구를 하였다. 그리고 그 두 집단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여기서 차이를 판단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 직업과 교육의 정도 그리고 입원 경로 및 입원 방법이다. 질병 관련 특성 중 순환기계, 신경계 등과 같은 질환에서도 통계적으로 눈에 보이는 차이는 확인할 수 없었다.
낙상과 관련된 실태를 파악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적이나 정서적인 증상 정도가 독립적인 경우는 43명이었다. 그리고 42명은 부분적인 도움이 필요했다. 한편, 항상 도움이 필요한 경우는 32명이었으며 외상의 상태는 3명이었다. 낙상한 후 약 28%는 어지럼증을 호소했다. 약 19%는 수면장애를 호소했다.
낙상-군과 비-낙상-군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경우는 다음과 같다. 각 낙상 위험 사정 도구의 평균점수에서 두 집단은 차이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비-낙상-군이 더 낮은 점수 결과를 보였다. 3가지의 사정 도구에서 모두 비-낙상-군이 더 낮은 점수를 보였다. 그리고 Morse 낙상 위험 사정 도구가 가장 높은 판별력을 지닌 것을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의 의의는 이 연구를 통해서 낙상 위험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키고 이에 관한 연구를 계속해서 진행하여 환자들의 안전을 도모하는 것에 있다. 그리고 Morse 낙상 위험 사정 도구가 가장 판별력이 높은 것으로 판명되었으므로 이를 낙상 위험 평가에 적용하는 것에 대한 신뢰도를 상승시킬 수 있었다. 물론 이를 일반화할 수는 없지만 이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이 논문에서는 보여주고 있다. 추가적인 연구로는 낙상 사고에 관한 체계화된 전향적 연구가 있을 수도 있으며 타당도 조사를 위한 반복 연구가 있을 수도 있다. 또는 낙상 위험 사정 점수를 측정하는 시점에 변화를 주어서 연구할 수도 있다.
6. 참고 문헌
최은희 ( Choi Eun Hee ) , 고미숙 ( Ko Mi Suk ) , 유정숙 ( Yoo Cheong Suk ) , 김미경 ( Kim Mi Kyoung ). 2017. 입원 환자의 낙상실태 및 위험요인 조사연구: 국내 500병상 이상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임상간호연구, 23(3) : 350-360
추천자료
병원중심 가정간호사업 모형개발 및 제도화 방안
2020년 2학기 고급간호연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조사연구 논문)
[고급간호연구] 교재 94-95p. 96p. 98-99p. 101-102p. 103p. 119-120p. 123p.에서 제시하고 ...
[간호연구] 2021년, 1. 양적 연구방법은 간호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양적 연구의 ...
고급간호연구 기말 2021) 주요어, 핵심이 되는 전자데이터베이스, 순수실험연구의 조건 세가...
2021년 고급간호연구 기말] 주요어, 핵심이 되는 전자데이터베이스, 순수실험연구의 조건 세...
고급간호연구 ) 교재 94-95p
고급간호연구 ) 연구논문을 찾을 때 사용한 방법을 서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