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세금의 의의
(2) 세금의 역할
(3) 관세의 의의
(4) 소득 재분배의 효과
(5) 관세의 재분배의 효과
① 소비효과와 보호효과
② 수입효과와 국제수지효과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2. 본론
(1) 세금의 의의
(2) 세금의 역할
(3) 관세의 의의
(4) 소득 재분배의 효과
(5) 관세의 재분배의 효과
① 소비효과와 보호효과
② 수입효과와 국제수지효과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dia.co.kr (관세의 효과: 도표 참조)
부분균형분석
P는 국제가격을 P’는 관세를 부과하고 나서의 국내가격이다. 그렇다면 관세는 P’-P 구간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D는 국내 수요곡선, S는 국내 공급곡선이라고 본다면 관세의 영향으로 해외상품의 국내가격이 오를 경우 국내에서 발생하는 소비는 Q3 지점에서 Q2 지점으로 이동하게 된다. 관세로 인해 발생하는 수입품에 대한 소비가 줄어드는 효과를 소비효과라고 하고 있다.
해외 상품의 국내 가격이 오르게 된다면 기존의 싼 수입품으로 인해 확실한 이윤 기대를 하기 어려웠던 생산업자도 국내에서 생산을 시작할 가능성이 높다. 단위 당 생산물을 추가로 생산 시 필요한 전체 비용의 증가분을 나타내는 한계비용과 가격이 같게 되는 지점까지 생산업자의 제품 생산은 Q0에서 Q1까지 늘어나게 될 것이다. 이를 보호효과라고 한다.
② 수입효과와 국제수지효과
도표의 한 단위당 관세는 P’-P, 그리고 수입량은 Q2-Q1이다. 관세수입은 도표의 c와 같은 크기를 가지게 되는 이를 수입효과라고 한다. 국가의 재정수입을 목적으로 하는 관세는 수입관세 또는 재정관세라고도 불린다.
관세의 영향으로 인해 수입품의 국내 가격 인상은 소비자잉여 감소와 함께 생산자잉여를 증가시킨다. 여기서 소비자잉여란 소비자가 생각하는 물건 가격에서 실제 시가를 뺀 차액이며, 생산자잉여란 생산자가 생각한 최저수입보다 커 추가로 발생하는 이윤을 뜻한다. 여기서 도표의 a부분의 넓이와 같이 재분배 효과가 발생하는데 소비자잉여의 감소분 중 일부는 생산자잉여로 옮기게 되는 것이다.
2)부분균형분석
관세의 국제수지효과는 관세의 부과로 인한 물품 등의 수입 감소가 수출 증대로 이어지는 것을 뜻한다고 할 수 있다. 도표에서 Q3-Q2-Q1-Q0은 수입량의 감소이며, 국제수지효과는 도표의 f+g의 넓이가 되는 것이다.
여러 측면에서 관세의 효과를 본다면 수입 품목의 감소는 국민소득의 증가와 더불어 국내의 고용을 개선하는 효과도 있다. 왜냐하면 국내 생산이 그만큼 늘어나기 때문이다. 그리고 승수효과도 말할 수 있는데, 관세부과에 의해 특정국가의 수입량이 감소하게 된다면 수입품의 국제가격 또한 하락하는 현상이 오는 것이다. 최근 국가 간의 관세부과와 관련된 이슈도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다면 굉장히 흥미로울 것이다.
3. 결론
관세는 수입품목에 대해 일정한 조세를 징수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관세를 부과함으로써 오는 효과는 다양하다고 할 수 있다. 국내에서 판매되는 수입품의 수요 감소와 더불어 국내 생산이 더 늘어남으로써 생산업자의 사업장 확장, 이로 인한 새로운 일자리 창출과 고용 개선, 수입품의 국제 가격 하락 등을 예상해볼 수 있다.
또한 거두어들인 관세 또한 사회복지. 노동, 보건 등등 다양하게 투자됨으로써 최종적으로는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두피디아(관세의 효과)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08806
-김찬환, 시사논술 개념사전, (주)북이십일 아울북 , 2009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d7345961987b50bf&control_no=a7f78fe6f1f5c465ffe0bdc3ef48d419
-박은태, 경제학사전, 경연사, 2011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6386959
-한경 경제용어사전
http://dic.hankyung.com
부분균형분석
P는 국제가격을 P’는 관세를 부과하고 나서의 국내가격이다. 그렇다면 관세는 P’-P 구간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D는 국내 수요곡선, S는 국내 공급곡선이라고 본다면 관세의 영향으로 해외상품의 국내가격이 오를 경우 국내에서 발생하는 소비는 Q3 지점에서 Q2 지점으로 이동하게 된다. 관세로 인해 발생하는 수입품에 대한 소비가 줄어드는 효과를 소비효과라고 하고 있다.
해외 상품의 국내 가격이 오르게 된다면 기존의 싼 수입품으로 인해 확실한 이윤 기대를 하기 어려웠던 생산업자도 국내에서 생산을 시작할 가능성이 높다. 단위 당 생산물을 추가로 생산 시 필요한 전체 비용의 증가분을 나타내는 한계비용과 가격이 같게 되는 지점까지 생산업자의 제품 생산은 Q0에서 Q1까지 늘어나게 될 것이다. 이를 보호효과라고 한다.
② 수입효과와 국제수지효과
도표의 한 단위당 관세는 P’-P, 그리고 수입량은 Q2-Q1이다. 관세수입은 도표의 c와 같은 크기를 가지게 되는 이를 수입효과라고 한다. 국가의 재정수입을 목적으로 하는 관세는 수입관세 또는 재정관세라고도 불린다.
관세의 영향으로 인해 수입품의 국내 가격 인상은 소비자잉여 감소와 함께 생산자잉여를 증가시킨다. 여기서 소비자잉여란 소비자가 생각하는 물건 가격에서 실제 시가를 뺀 차액이며, 생산자잉여란 생산자가 생각한 최저수입보다 커 추가로 발생하는 이윤을 뜻한다. 여기서 도표의 a부분의 넓이와 같이 재분배 효과가 발생하는데 소비자잉여의 감소분 중 일부는 생산자잉여로 옮기게 되는 것이다.
2)부분균형분석
관세의 국제수지효과는 관세의 부과로 인한 물품 등의 수입 감소가 수출 증대로 이어지는 것을 뜻한다고 할 수 있다. 도표에서 Q3-Q2-Q1-Q0은 수입량의 감소이며, 국제수지효과는 도표의 f+g의 넓이가 되는 것이다.
여러 측면에서 관세의 효과를 본다면 수입 품목의 감소는 국민소득의 증가와 더불어 국내의 고용을 개선하는 효과도 있다. 왜냐하면 국내 생산이 그만큼 늘어나기 때문이다. 그리고 승수효과도 말할 수 있는데, 관세부과에 의해 특정국가의 수입량이 감소하게 된다면 수입품의 국제가격 또한 하락하는 현상이 오는 것이다. 최근 국가 간의 관세부과와 관련된 이슈도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다면 굉장히 흥미로울 것이다.
3. 결론
관세는 수입품목에 대해 일정한 조세를 징수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관세를 부과함으로써 오는 효과는 다양하다고 할 수 있다. 국내에서 판매되는 수입품의 수요 감소와 더불어 국내 생산이 더 늘어남으로써 생산업자의 사업장 확장, 이로 인한 새로운 일자리 창출과 고용 개선, 수입품의 국제 가격 하락 등을 예상해볼 수 있다.
또한 거두어들인 관세 또한 사회복지. 노동, 보건 등등 다양하게 투자됨으로써 최종적으로는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두피디아(관세의 효과)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08806
-김찬환, 시사논술 개념사전, (주)북이십일 아울북 , 2009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d7345961987b50bf&control_no=a7f78fe6f1f5c465ffe0bdc3ef48d419
-박은태, 경제학사전, 경연사, 2011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6386959
-한경 경제용어사전
http://dic.hankyung.co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