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2) 공황장애
3) 우울증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2. 본론
1)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2) 공황장애
3) 우울증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 없으며 과거 취미에 대한 흥미 상실, 삶에 대한 의욕 없음, 피곤함 등으로 나타날 수 있다. 늘 피곤해하고 매사에 부담스럽다고 여기며 일하기를 몹시 싫어하며 일상 해오던 직업을 포기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성적 관심이나 욕구도 감소하게 된다.
식욕이 감소하거나 증가하기도 하는데, 특정 음식 예를 들어 달콤한 음식에 대해 갈망이 생기기도 한다. 이에 체중감소나 체중 증가가 나타난다.
수면장애는 불면증이나 과면증으로 나타난다. 대체로 중간에 깨는 불면증이나 새벽에 일찍 깨는 불면증이 많고 과면증의 경우는 밤낮으로 하루 종일 졸린다.
우울증은 아침에 일어났을 때 가장 심하고 오후에 해가 저물어 가면서 덜해지는 경향이 있다.
정신운동 장애는 이자극성으로 나타나게 된다. 가만히 있지 못하고 왔다 갔다 정신 사납게 하고, 손을 계속 움직이며 비비고는 한다. 이를 초조성 우울이라고 칭하는데, 지속해서 불안하고 걱정하고, 긴장하며 장래의 위해에 대한 느낌과 함께 어쩔 줄 몰라하는 걱정과 초조감 등이 동반된 우울증을 의미한다.
정신운동 지연으로도 우울증은 표현될 수 있는데, 말이나 움직임, 생각 등이 적고 느리다. 이를 지연성 우울이라고 한다. 때로는 환자 자신은 아무런 느낌이 없다고 말하며, 심한 경우는 혼수상태에 빠지기도 한다.
우울증 환자는 에너지가 급속히 줄고 하루종일 피곤하다. 가만있어도 혹은 사소한 일을 해도 금방 몸이 지친다. 평소 해오던 일의 능률도 감소한다. 민성길, 위의 문헌, 327~329쪽 참고
3. 결론
우리는 지금까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공황장애, 우울증에 대해 알아보았다.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는 충격적인 외상 사건을 경험하고 난 이후 여러 가지 심리적 부적응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 외상후 스트레스는 전쟁 파병을 다녀온 군인이나 소방관과 같은 직업군에 많다는 얘기를 들었다. 나라와 국민을 위해 힘쓴 사람들인 만큼 그들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치료해줄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공황장애란, 갑자기 들이닥치는 강렬한 불안인 공황발작을 반복적으로 경험하는 장애를 의미한다. TV에서 많은 연예인이 공황장애를 앓고 있다고 밝히는 것을 보았는데, 생각보다 흔히 있는 심리적 장애라고 생각했다. 어쩌면 우리 주변에도 누군가는 공황장애를 겪고 있음에도 몰라서 치료를 못 받는 사람이 있지 않을까 한다.
우울장애는 슬픔이나, 공허감, 짜증스러운 기분과 그에 수반되는 신체적, 인지적 증상으로 인해서 개인의 기능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부적응 증상을 말한다. 흔히 우울증이라고 불리는 우울장애는 주변에서도 흔하게 볼 수 있는 심리적 장애이다. 보통 ‘마음의 감기’, ‘마음의 독감’이라고 부르며 누구나 걸릴 수 있는 병이라고 얘기한다. 그러나 감기나 독감이 심해지면 폐렴이 이르거나 죽음에 이를 수도 있다. 이에 그들의 병을 가볍게 얘기하기보다는 마음의 소리를 들어주고 보듬어 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민성길(2020), 『최신정신의학』, 일조각
권석만(2019), 『현대 이상심리학』, 학지사
식욕이 감소하거나 증가하기도 하는데, 특정 음식 예를 들어 달콤한 음식에 대해 갈망이 생기기도 한다. 이에 체중감소나 체중 증가가 나타난다.
수면장애는 불면증이나 과면증으로 나타난다. 대체로 중간에 깨는 불면증이나 새벽에 일찍 깨는 불면증이 많고 과면증의 경우는 밤낮으로 하루 종일 졸린다.
우울증은 아침에 일어났을 때 가장 심하고 오후에 해가 저물어 가면서 덜해지는 경향이 있다.
정신운동 장애는 이자극성으로 나타나게 된다. 가만히 있지 못하고 왔다 갔다 정신 사납게 하고, 손을 계속 움직이며 비비고는 한다. 이를 초조성 우울이라고 칭하는데, 지속해서 불안하고 걱정하고, 긴장하며 장래의 위해에 대한 느낌과 함께 어쩔 줄 몰라하는 걱정과 초조감 등이 동반된 우울증을 의미한다.
정신운동 지연으로도 우울증은 표현될 수 있는데, 말이나 움직임, 생각 등이 적고 느리다. 이를 지연성 우울이라고 한다. 때로는 환자 자신은 아무런 느낌이 없다고 말하며, 심한 경우는 혼수상태에 빠지기도 한다.
우울증 환자는 에너지가 급속히 줄고 하루종일 피곤하다. 가만있어도 혹은 사소한 일을 해도 금방 몸이 지친다. 평소 해오던 일의 능률도 감소한다. 민성길, 위의 문헌, 327~329쪽 참고
3. 결론
우리는 지금까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공황장애, 우울증에 대해 알아보았다.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는 충격적인 외상 사건을 경험하고 난 이후 여러 가지 심리적 부적응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 외상후 스트레스는 전쟁 파병을 다녀온 군인이나 소방관과 같은 직업군에 많다는 얘기를 들었다. 나라와 국민을 위해 힘쓴 사람들인 만큼 그들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치료해줄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공황장애란, 갑자기 들이닥치는 강렬한 불안인 공황발작을 반복적으로 경험하는 장애를 의미한다. TV에서 많은 연예인이 공황장애를 앓고 있다고 밝히는 것을 보았는데, 생각보다 흔히 있는 심리적 장애라고 생각했다. 어쩌면 우리 주변에도 누군가는 공황장애를 겪고 있음에도 몰라서 치료를 못 받는 사람이 있지 않을까 한다.
우울장애는 슬픔이나, 공허감, 짜증스러운 기분과 그에 수반되는 신체적, 인지적 증상으로 인해서 개인의 기능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부적응 증상을 말한다. 흔히 우울증이라고 불리는 우울장애는 주변에서도 흔하게 볼 수 있는 심리적 장애이다. 보통 ‘마음의 감기’, ‘마음의 독감’이라고 부르며 누구나 걸릴 수 있는 병이라고 얘기한다. 그러나 감기나 독감이 심해지면 폐렴이 이르거나 죽음에 이를 수도 있다. 이에 그들의 병을 가볍게 얘기하기보다는 마음의 소리를 들어주고 보듬어 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민성길(2020), 『최신정신의학』, 일조각
권석만(2019), 『현대 이상심리학』, 학지사
추천자료
사회조사연구 : 자기만족도 및 성형에 대한 태도관계(설문지 별첨)
협동학습의 개념과 특징, 협동학습의 필요성과 구조, 협동학습과 JIGSAWⅠ(직소우Ⅰ)학습모형, ...
한국을 버려라 읽고 요약정리 및 감상문
교수학습모델 3가지를 소개하고 이 중 관심 있는 모델을 선택하여 유아에게 적당한 교육 프로...
2020년 2학기 이상심리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강의 1~5강 요약, 나의생각 정리)
이상심리학 - 멀티미디어 강의 1-5강 및 이에 해당하는 교재를 정독한 후, 주요 주제 세 가...
이상심리학 ) 멀티미디어 강의 1-5강 및 이에 해당하는 교재를 정독한 후, 주요 주제 세 가...
유아음악교육 =) 유아음악교육의 중요성 및 역할에 대해 설명하고, 음악교육 철학을 바탕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