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본론
(1)파주 스타벅스 감염을 중심으로 알아보는 환기와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연관관계
(2)감염 가능성을 낮추는 바람직한 실내환경이란?
3.결론
4.참고문헌
2.본론
(1)파주 스타벅스 감염을 중심으로 알아보는 환기와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연관관계
(2)감염 가능성을 낮추는 바람직한 실내환경이란?
3.결론
4.참고문헌
본문내용
비하는 것이 아닌, 기본 옵션으로서 설치하여 관리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출입할 때마다 손 뿐 아니라 전신 또는 자동차를 소독할 수 있는 설비도 필요하다. 그리고 물건이나 음식을 구매할 때 이제는 택배와 배달을 선호하게 된 것을 따라서, 단지 내에 택배와 배달이 출입할 때 사람의 움직임을 줄이고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해서 보다 사람간의 접촉이 적은 방향으로 발전한다면 좋겠다.
우크라이나의 건축가 세르게이 마크노는 COVID-19이후 우리의 거주공간인 집이 어떻게 변할 지에 대해서 일곱 가지의 예측을 내놓았는데, 다음과 같다. 첫번째, 아파트가 아닌 주택으로이다. 이유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효과적인 사회적 격리가 가능한 집에 대한 필요이다. 그는 ‘집이 일상과 도심의 혼돈을 벗어나는 도피처에 더해, 바이러스와 감염을 피하는 은신처로서의 기능을 더하게 되었다’며 주택으로 회귀할 것을 예측하였다. 또한 격리된 상황에서도 자연으로부터의 휴식을 즐길 수 있도록 마당과 테라스가 있는 작은 마을과 도시 외곽으로 사람들이 옮겨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러한 경향이 도시중심적 사회인 한국에서는 어떻게 나타날 지 모르겠다. 두 번째는 개방형 구조보다는 벙커이다. 최근 크게 유행한 개방형 공간, 즉 현관과 거실, 주방이 하나로 트여 있는 이러한 형식이 팬데믹의 여파로 인해 바깥의 먼지나 바이러스에 달라붙어 있을 옷 또는 신발, 외부 물건들을 생활공간에 들여놓지 않기 위해 현관이 분리될 것이라고 보았다. 현재 한국에서도 공기청정기와 가정용 의류 소독기가 불티나게 팔리는 것으로 보아 점차 그러한 방향으로 바뀔 것으로 보인다. 다음은 전력 및 수도의 자급자족이다. 이는 외부 세계로부터 독립해 사회 전반적으로 셧다운이 시행되었을 때 위험요소를 최소화시키는 방법이다. 이는 수도와 난방 뿐 아니라 위성을 통한 인터넷 연결을 포함한다. 앞서 말했듯이 정보의 차단이야말로 현 상황에서는 큰 공포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네번째로는 정화 및 중화가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가정 내에 개별적으로 공기 및 수도를 소독하고 감염원을 차단하는 시스템이 발전될 것이라는 전망이다.다섯 번째로는 새로운 사무공간이 된 집이 있다. 이는 집 안의 한 구석을 아예 사무실이나 교실처럼 꾸미는 것을 말한다. 여섯째로는 도심 텃밭의 세계적 확산이다. 식물을 기르면서 자가 격리로부터 오는 스트레스를 다스릴 수도 있고, 또한 공기 정화의 효과와 자급자족하는 먹거리를 기른다는 장점을 모두 잡을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대량산업의 거부이다. 대량생산 공장들이 장기간 휴업에 들어가자 공기가 맑아진 현상을 두고, 또 마스크로 인해 버려전 쓰레기가 동물들에게 큰 고통을 주는 것을 보며 사람들은 이 바이러스가 어떻게 오게 되었는지에 대해 고찰하며 환경 문제를 다시금 심각하게 여기기 시작했다. 현재 제로 웨이스트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것도 그 때문이다. COVID-19이후의 삶은 이렇듯 우리가 예상하지 못했던 변화들을 내놓고 있다. 긍정적인 변화와 부정적인 변화 모두 우리가 감당하고 살아내야 할 현실이 되었다.
4.참고문헌
김응민, 에어컨 전파, 美CDC논문과 스타벅스 야당점 비교해보니,Pharm News,2020.08.19
노정연, 파주 스타벅스 집단감염 원인은?...에어컨 가동하며 환기 소홀, 마스크 미착용,경향신문,2020.08.16
이호진, 파주 스타벅스 2층에 둥둥 떠다닌 슈퍼전파자의 ‘비말’,뉴시스,2020.08.18
sergey Makhno, Life after coronavirus: how will the pandemic affect our homes?,2020.03.25.dezeen
우크라이나의 건축가 세르게이 마크노는 COVID-19이후 우리의 거주공간인 집이 어떻게 변할 지에 대해서 일곱 가지의 예측을 내놓았는데, 다음과 같다. 첫번째, 아파트가 아닌 주택으로이다. 이유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효과적인 사회적 격리가 가능한 집에 대한 필요이다. 그는 ‘집이 일상과 도심의 혼돈을 벗어나는 도피처에 더해, 바이러스와 감염을 피하는 은신처로서의 기능을 더하게 되었다’며 주택으로 회귀할 것을 예측하였다. 또한 격리된 상황에서도 자연으로부터의 휴식을 즐길 수 있도록 마당과 테라스가 있는 작은 마을과 도시 외곽으로 사람들이 옮겨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러한 경향이 도시중심적 사회인 한국에서는 어떻게 나타날 지 모르겠다. 두 번째는 개방형 구조보다는 벙커이다. 최근 크게 유행한 개방형 공간, 즉 현관과 거실, 주방이 하나로 트여 있는 이러한 형식이 팬데믹의 여파로 인해 바깥의 먼지나 바이러스에 달라붙어 있을 옷 또는 신발, 외부 물건들을 생활공간에 들여놓지 않기 위해 현관이 분리될 것이라고 보았다. 현재 한국에서도 공기청정기와 가정용 의류 소독기가 불티나게 팔리는 것으로 보아 점차 그러한 방향으로 바뀔 것으로 보인다. 다음은 전력 및 수도의 자급자족이다. 이는 외부 세계로부터 독립해 사회 전반적으로 셧다운이 시행되었을 때 위험요소를 최소화시키는 방법이다. 이는 수도와 난방 뿐 아니라 위성을 통한 인터넷 연결을 포함한다. 앞서 말했듯이 정보의 차단이야말로 현 상황에서는 큰 공포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네번째로는 정화 및 중화가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가정 내에 개별적으로 공기 및 수도를 소독하고 감염원을 차단하는 시스템이 발전될 것이라는 전망이다.다섯 번째로는 새로운 사무공간이 된 집이 있다. 이는 집 안의 한 구석을 아예 사무실이나 교실처럼 꾸미는 것을 말한다. 여섯째로는 도심 텃밭의 세계적 확산이다. 식물을 기르면서 자가 격리로부터 오는 스트레스를 다스릴 수도 있고, 또한 공기 정화의 효과와 자급자족하는 먹거리를 기른다는 장점을 모두 잡을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대량산업의 거부이다. 대량생산 공장들이 장기간 휴업에 들어가자 공기가 맑아진 현상을 두고, 또 마스크로 인해 버려전 쓰레기가 동물들에게 큰 고통을 주는 것을 보며 사람들은 이 바이러스가 어떻게 오게 되었는지에 대해 고찰하며 환경 문제를 다시금 심각하게 여기기 시작했다. 현재 제로 웨이스트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것도 그 때문이다. COVID-19이후의 삶은 이렇듯 우리가 예상하지 못했던 변화들을 내놓고 있다. 긍정적인 변화와 부정적인 변화 모두 우리가 감당하고 살아내야 할 현실이 되었다.
4.참고문헌
김응민, 에어컨 전파, 美CDC논문과 스타벅스 야당점 비교해보니,Pharm News,2020.08.19
노정연, 파주 스타벅스 집단감염 원인은?...에어컨 가동하며 환기 소홀, 마스크 미착용,경향신문,2020.08.16
이호진, 파주 스타벅스 2층에 둥둥 떠다닌 슈퍼전파자의 ‘비말’,뉴시스,2020.08.18
sergey Makhno, Life after coronavirus: how will the pandemic affect our homes?,2020.03.25.dezeen
추천자료
[인간과과학 1학년 공통] 3. covid 19가 유행하는 이 시기에 회의실, 교실 교회 등에서 창을 ...
인간과과학 3. covid 19가 유행하는 이 시기에 회의실, 교실 교회 등에서 창을 닫은 채 에어...
방송통신대학교/인간과 과학/covid 19가 유행하는 이 시기에 회의실, 교실 교회 등에서 창을 ...
인간과 과학 ) Covid 19가 유행하는 이 시기에 회의실, 교실 교회 등에서 창을 닫은 채 에어...
인간과 과학 ) covid 19가 유행하는 이 시기에 회의실, 교실 교회 등에서 창을 닫은 채 에어...
인간과 과학 ) covid 19가 유행하는 이 시기에 회의실, 교실 교회 등에서 창을 닫은 채 에어...
인간과과학 ) covid 19가 유행하는 이 시기에 회의실, 교실, 교회 등에서 창을 닫은 채 에어...
인간과 과학 ) covid 19가 유행하는 이 시기에 회의실, 교실 교회 등에서 창을 닫은 채 에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