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역사
1) 신라 말
2) 고려 중기
3) 고려 말
4) 조선 전기
[2] 권근의 주옹설을 읽고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1] 역사
1) 신라 말
2) 고려 중기
3) 고려 말
4) 조선 전기
[2] 권근의 주옹설을 읽고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것보다 위태롭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이 글에 시가 삽입되어 있는데 긴 글보다 짧은 시를 통해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더 느낄 수 있었다. 시를 통해 주옹이 배 위에서 유유자적하며 살아가고자 함을 말하고 있고 험난한 삶을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해답을 이 글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아득한 강과 바다 유유한데
빈 배를 중류에 띄웠구나.
명월을 싣고 홀로 가노니
애오라지 한평생을 넉넉하게 살리라.
손이 배 위에서 살아가는 이유를 물었을 때 주옹은 험한 지경에 처하면 떨고 두려워하여 조심하여 굳게 지킬 수 있다고 말하는데 항상 준비하고 있으면 어떤 일도 걱정할 필요가 없음을 우리에게 말해준다. 인간 세상을 하나의 거대한 물결에 비유하고 사람의 마음을 거대한 바람으로 대신 말하며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이 쉽지 않음을 말하는데 어쩌면 당연한 말이지만 나는 나에게만 그런 것이 아님을 말해주는 것 같아 위로를 받을 수 있었다. 그리고 항상 한쪽으로 치우치지 말고 중심을 잘 잡아야 함을 내포한다. 현대 사회에서 이런 상황을 많이 마주치는데 특히 디지털 시대에 있어 온라인과 최첨단 기기에만 익숙해져 스마트한 삶을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아날로그적 감성도 같이 필요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하였다. 그리고 ‘워라벨’이라고 하는 단어가 한때 유행하였는데 일과 휴식의 균형이 중요함을 일컫게 해주는 단어이다. 워라벨을 행하며 살 수 있다면 작품에서 주옹이 말하는 균형 잡힌 삶을 살 수 있지 않을까라고 생각해 보았다.
3. 결론
문학은 각 시대의 역사적 배경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그 시대에 정치하는 사람들의 성격이 어떠하였느냐에 따라 당시 문학의 성격이 정해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언어를 통해 그 시대의 사회를 이야기하고 인간의 삶에 대해 표현하는 것인데 국가들은 항상 고유한 형태의 문학을 가지고 있다. 중국으로부터 한문을 받아들인 후 한문학이 발전하기 시작하였는데 특히 고려 시대에 한문학이 번성하였다. 고려 시대에는 피지배층은 고려가요를 지배층인 귀족은 경기체가를 향유하였다. 그러다 고려 말기에는 두 문학이 통합되었고 조선 시대에 영향을 주었다. 조선 전기는 훈민정음 창제로 인해 국문학이 등장하였는데 시, 소설 등이 이에 영향을 받아 크게 발전하였다. 이 글에서는 시대별로 대표적 산문이 무엇이 있고 작품들의 성격을 알아보았다. 조선 후기와 근현대기, 그리고 현대 문학의 특징을 따로 더 살펴보아도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였다. 조상들이 겪었던 삶이 표현된 것이 고대 문학인데 이를 통해 그 당시 그들이 느꼈던 감정을 간접적으로 체험해 볼 수 있다. 상상해볼 수 있고 그 시절로 여행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성숙해질 수 있으며 성장할 수 있음을 기대할 수 있다.
4. 참고문헌
우리역사네 사이트. 신편 한국사 고려 시대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Ⅱ. 문화의 발달 3. 문학 3) 경기체가·시조·어부가·가사
학습백과. 삼국사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고문, 한문학
[한국고전번역원] 고전의 향연 - 옛 선비들의 블로그 ⑪최치원 계원필경집, 김영봉
아득한 강과 바다 유유한데
빈 배를 중류에 띄웠구나.
명월을 싣고 홀로 가노니
애오라지 한평생을 넉넉하게 살리라.
손이 배 위에서 살아가는 이유를 물었을 때 주옹은 험한 지경에 처하면 떨고 두려워하여 조심하여 굳게 지킬 수 있다고 말하는데 항상 준비하고 있으면 어떤 일도 걱정할 필요가 없음을 우리에게 말해준다. 인간 세상을 하나의 거대한 물결에 비유하고 사람의 마음을 거대한 바람으로 대신 말하며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이 쉽지 않음을 말하는데 어쩌면 당연한 말이지만 나는 나에게만 그런 것이 아님을 말해주는 것 같아 위로를 받을 수 있었다. 그리고 항상 한쪽으로 치우치지 말고 중심을 잘 잡아야 함을 내포한다. 현대 사회에서 이런 상황을 많이 마주치는데 특히 디지털 시대에 있어 온라인과 최첨단 기기에만 익숙해져 스마트한 삶을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아날로그적 감성도 같이 필요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하였다. 그리고 ‘워라벨’이라고 하는 단어가 한때 유행하였는데 일과 휴식의 균형이 중요함을 일컫게 해주는 단어이다. 워라벨을 행하며 살 수 있다면 작품에서 주옹이 말하는 균형 잡힌 삶을 살 수 있지 않을까라고 생각해 보았다.
3. 결론
문학은 각 시대의 역사적 배경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그 시대에 정치하는 사람들의 성격이 어떠하였느냐에 따라 당시 문학의 성격이 정해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언어를 통해 그 시대의 사회를 이야기하고 인간의 삶에 대해 표현하는 것인데 국가들은 항상 고유한 형태의 문학을 가지고 있다. 중국으로부터 한문을 받아들인 후 한문학이 발전하기 시작하였는데 특히 고려 시대에 한문학이 번성하였다. 고려 시대에는 피지배층은 고려가요를 지배층인 귀족은 경기체가를 향유하였다. 그러다 고려 말기에는 두 문학이 통합되었고 조선 시대에 영향을 주었다. 조선 전기는 훈민정음 창제로 인해 국문학이 등장하였는데 시, 소설 등이 이에 영향을 받아 크게 발전하였다. 이 글에서는 시대별로 대표적 산문이 무엇이 있고 작품들의 성격을 알아보았다. 조선 후기와 근현대기, 그리고 현대 문학의 특징을 따로 더 살펴보아도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였다. 조상들이 겪었던 삶이 표현된 것이 고대 문학인데 이를 통해 그 당시 그들이 느꼈던 감정을 간접적으로 체험해 볼 수 있다. 상상해볼 수 있고 그 시절로 여행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성숙해질 수 있으며 성장할 수 있음을 기대할 수 있다.
4. 참고문헌
우리역사네 사이트. 신편 한국사 고려 시대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Ⅱ. 문화의 발달 3. 문학 3) 경기체가·시조·어부가·가사
학습백과. 삼국사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고문, 한문학
[한국고전번역원] 고전의 향연 - 옛 선비들의 블로그 ⑪최치원 계원필경집, 김영봉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