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관각문학의 개념
3. 관각문학의 특징
4. 서거정 문학관을 통해 본 관각문학
4.1. 경세적 효용의 실재
4.2. 시운론(時運論)
5. 나오며
2. 관각문학의 개념
3. 관각문학의 특징
4. 서거정 문학관을 통해 본 관각문학
4.1. 경세적 효용의 실재
4.2. 시운론(時運論)
5. 나오며
본문내용
(『동문선』이 당대의 문신들이 대거 참여해 ‘아국지문(我國之文) 서거정 외, 위의 책, “우리 동방의 문은 한당의 문도 아니고 송원의 문도 아닌 바로 우리나라의 문입니다.”
’의 찬란한 업적을 드러내기 위한 사업이었다는 점을 상기해 볼 때) 당대 관각문인들의 문학관이 집약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5. 나오며
이상에서, 관각문학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관각문학 전성기의 정점에 위치한 서거정의 문학관을 관각적 문학의 측면에 기초하여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지금까지의 논의를 간략하게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관각문학의 성립조건은 그 문학 담당자의 주체와 창작의 목적, 관각에서 사용하는 문체 등 이 세 가지의 기본 요소가 동시에 부합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관각문학의 개념은 관각문인들에 의하여 관각에서 공용의 목적으로 창작된 관각의 여러 문체를 말한다.
관각문학의 특성으로는, 다양한 문체와 내용, 전아장중한 풍격, 대우와 변려의 사용, 정치적 효용을 들 수 있다.
서거정은 집현전 출신이었고, 무려 23년 동안 대제학에 있으면서 흔들릴 수 없는 문학적 규범을 마련하고자 했으며, 본고에서는 『동문선』을 통해 그의 관각적 문학관을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참고문헌>
강 도, 『고대산문문체개론』, 산서인민출판사, 1990.
김성룡, 『여말선초의 문학사상』,한길사, 1996.
김성언, 「한국 관각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89.
김태준,『(역주) 조선한문학사』, 시인사, 1997.
신복호, 「관각문학의 개념과 그 유형 및 특징」, 『한국한문학 연구 제30호』,
한국한문학회, 2002.
심경호,『한문 산문의 미학』,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8.
이동환, 「동문선의 선문방향과 그 의미」,『진단학보』56, 1983.
이병주,『(서예를 위한) 한국 한시의 이해』,이화문화출판사, 이화문화출판사, 2000.
이우성,「고려말, 이조초의 어문가창과 영을 통해 본 사대부문학의 성격의 일단」,
『성균관대학교 논문집』제9집, 1964.
이종건, 「徐居正」, 황패강 외 『한국문학작가론 2』, 집문당, 2000. pp.73~83.
임형택,「이조 전기의 사대부 문학」, 『한국문학사의 시각』, 창작과 비평사, 1984.
정정숙, 「서거정의 문학관과 중국시학의 수용관계」,『한성어문학 제18집』, 1999.
조동일,『한국문학통사2(제4판)』, 지식산업사, 2005.
조윤제, 『한국문학사』, 탐구당, 1992.
’의 찬란한 업적을 드러내기 위한 사업이었다는 점을 상기해 볼 때) 당대 관각문인들의 문학관이 집약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5. 나오며
이상에서, 관각문학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관각문학 전성기의 정점에 위치한 서거정의 문학관을 관각적 문학의 측면에 기초하여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지금까지의 논의를 간략하게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관각문학의 성립조건은 그 문학 담당자의 주체와 창작의 목적, 관각에서 사용하는 문체 등 이 세 가지의 기본 요소가 동시에 부합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관각문학의 개념은 관각문인들에 의하여 관각에서 공용의 목적으로 창작된 관각의 여러 문체를 말한다.
관각문학의 특성으로는, 다양한 문체와 내용, 전아장중한 풍격, 대우와 변려의 사용, 정치적 효용을 들 수 있다.
서거정은 집현전 출신이었고, 무려 23년 동안 대제학에 있으면서 흔들릴 수 없는 문학적 규범을 마련하고자 했으며, 본고에서는 『동문선』을 통해 그의 관각적 문학관을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참고문헌>
강 도, 『고대산문문체개론』, 산서인민출판사, 1990.
김성룡, 『여말선초의 문학사상』,한길사, 1996.
김성언, 「한국 관각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89.
김태준,『(역주) 조선한문학사』, 시인사, 1997.
신복호, 「관각문학의 개념과 그 유형 및 특징」, 『한국한문학 연구 제30호』,
한국한문학회, 2002.
심경호,『한문 산문의 미학』,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8.
이동환, 「동문선의 선문방향과 그 의미」,『진단학보』56, 1983.
이병주,『(서예를 위한) 한국 한시의 이해』,이화문화출판사, 이화문화출판사, 2000.
이우성,「고려말, 이조초의 어문가창과 영을 통해 본 사대부문학의 성격의 일단」,
『성균관대학교 논문집』제9집, 1964.
이종건, 「徐居正」, 황패강 외 『한국문학작가론 2』, 집문당, 2000. pp.73~83.
임형택,「이조 전기의 사대부 문학」, 『한국문학사의 시각』, 창작과 비평사, 1984.
정정숙, 「서거정의 문학관과 중국시학의 수용관계」,『한성어문학 제18집』, 1999.
조동일,『한국문학통사2(제4판)』, 지식산업사, 2005.
조윤제, 『한국문학사』, 탐구당, 1992.
추천자료
고전문학
[고전문학] 운영전 사상연구
[고전문학]배비장전의 풍자성 고찰
[고전문학]판소리 변강쇠가 연구
술로 본 고전문학
조선시대 서민가사 연구
노처녀가를 통해서 본 조선시대의 여성과 현대사회의 여성
일본고전문학 원씨물어(겐지모노가타리)의 작가 자식부, 일본고전문학 원씨물어(겐지모노가타...
한국 중세문학 고려시대문학 시가, 한국 중세문학 고려시대문학 고려가요, 한국 중세문학 고...
고전문학 교육과 ‘역사성`의 문제
[고전문학A+] 시조분석 및 문화콘텐츠화 - 이현보의「어부단가를 통해 보는 강호가도와 강호...
[고전문학 교육론] 다양한 관점으로 허생전 읽기
[고전문학 교육론] 재미있게 판소리 다시 보기 - 춘향가 흥보가 수궁가를 통해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