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모더니즘 건축이론 발전의 배경, 특성, 사례
3. 포스트모더니즘 건축이론의 발전 배경, 특성 및 사례
4. 결론
5. 출처 및 참고문헌
2. 모더니즘 건축이론 발전의 배경, 특성, 사례
3. 포스트모더니즘 건축이론의 발전 배경, 특성 및 사례
4. 결론
5.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표적 건축물이라고 볼 수 있는 건축물은 글라스 하우스이다. 글라스 하우스의 대표적인 특성은 건축 재료 중 잘 쓰지 않는 유리를 사용했다는 점이다. 이 자체가 모더니즘의 규정적 양식에 벗어났으며 주체적인 건축물을 창조했다는 점에서 이의 두드러진 특성을 발견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도시가 아닌 자연 속에서 세워졌으며 내부 기하학적 특성에서 벗어나 자연과 함께 어울리는 건축물을 지었다는 점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의 대표적인 특성을 가진 건축물임을 파악할 수 있다
4. 결론
과거부터 우리는 역사 속에서 또 다른 역사를 만들며 살아왔다. 잘못된 역사에 대해 한계점을 파악하고 나아갔으며 새로운 조화를 만들어냈다. 이는 건축양식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모더니즘에서 비롯된 건축적 양식은 과거의 건축 양식을 청산하고 새로운 양식을 하고자 하는 도전이었으며 이는 새로운 도전의 또 다른 발판이 되었다. 모더니즘은 과거 과장된 건축물에서 벗어나 실용을 추구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는 건축이론이다. 특히 모더니즘 건축 이론이기에 나타낼 수 있는 여러 특성들과 이의 특성들을 융합한 건축물들의 사례를 살펴보며 기능주의, 기하학적 형태의 특성, 자유로운 공간 구조 채용 등의 특성에 대해 파악할 수 있었다. 모더니즘 이론을 통해서 건축의 외적이 아닌 내적의 공간 활용에 대해 조금 더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모더니즘은 다양성의 부재, 획일화된 공간의 추구라는 점에서 많은 한계가 존재했다. 이에 포스트모더니즘은 모더니즘의 한계를 발견했고 한계를 개선하기 위해 모더니즘에서 벗어난 포스트모더니즘을 추구했다. 즉 기능을 살리되 동시에 디자인까지 고려하는 이론이라고 볼 수 있다. 이의 이론을 통해서 다양성의 보존과 유연한 건축물 디자인까지 확보할 수 있었으며 더 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다. 앞으로의 건축양식이 더 어떻게 변화할지는 아무도 모른다. 하지만 더 확실한 것은 포스트모더니즘의 한계를 발견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나아갈 것임에 대해 본 필자는 확신한다.
5. 출처 및 참고문헌
왕신(Wang Chen),and 곽대영(Kwak Daeyoung). \"20세기 미국 모더니즘 건축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5.2 (2015): 931-940.
박성창(Park Sung Chang). \"모더니즘과 도시.\" 구보학보 5.- (2010): 129-158.
임기택. 포스트모더니즘과 건축이론. 서울: 시공문화사, 2014.
4. 결론
과거부터 우리는 역사 속에서 또 다른 역사를 만들며 살아왔다. 잘못된 역사에 대해 한계점을 파악하고 나아갔으며 새로운 조화를 만들어냈다. 이는 건축양식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모더니즘에서 비롯된 건축적 양식은 과거의 건축 양식을 청산하고 새로운 양식을 하고자 하는 도전이었으며 이는 새로운 도전의 또 다른 발판이 되었다. 모더니즘은 과거 과장된 건축물에서 벗어나 실용을 추구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는 건축이론이다. 특히 모더니즘 건축 이론이기에 나타낼 수 있는 여러 특성들과 이의 특성들을 융합한 건축물들의 사례를 살펴보며 기능주의, 기하학적 형태의 특성, 자유로운 공간 구조 채용 등의 특성에 대해 파악할 수 있었다. 모더니즘 이론을 통해서 건축의 외적이 아닌 내적의 공간 활용에 대해 조금 더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모더니즘은 다양성의 부재, 획일화된 공간의 추구라는 점에서 많은 한계가 존재했다. 이에 포스트모더니즘은 모더니즘의 한계를 발견했고 한계를 개선하기 위해 모더니즘에서 벗어난 포스트모더니즘을 추구했다. 즉 기능을 살리되 동시에 디자인까지 고려하는 이론이라고 볼 수 있다. 이의 이론을 통해서 다양성의 보존과 유연한 건축물 디자인까지 확보할 수 있었으며 더 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다. 앞으로의 건축양식이 더 어떻게 변화할지는 아무도 모른다. 하지만 더 확실한 것은 포스트모더니즘의 한계를 발견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나아갈 것임에 대해 본 필자는 확신한다.
5. 출처 및 참고문헌
왕신(Wang Chen),and 곽대영(Kwak Daeyoung). \"20세기 미국 모더니즘 건축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5.2 (2015): 931-940.
박성창(Park Sung Chang). \"모더니즘과 도시.\" 구보학보 5.- (2010): 129-158.
임기택. 포스트모더니즘과 건축이론. 서울: 시공문화사, 2014.
추천자료
[현대의서양문화A형]철학분야에서 포스트모던적 사유가 근대성에 가하는 비판양상서술-철학의...
(현대의서양문화A형) 철학분야에서 포스트모던적사유가 근대성에 대해 가하는 비판-철학분야...
[2016년 현대의서양문화A형] 권력과 진리의 문제에서 니체와 푸코의 유사점에 대해 서술, 권...
현대의서양문화A형 - 권력과 진리의 문제에서 니체와 푸코의 유사점에 대해 서술.-방송통신대...
[현대의 서양문화 A형] 권력과 진리의 문제에서 니체와 푸코의 유사점에 대해 서술. : 현대의...
현대의 서양문화 A형 프레드릭 제임슨 Fredric Jameson의
[현대의 서양문화 A형] 프레드릭 제임슨 Fredric Jameson의 『문화적 맑스주의와 제임슨 세계...
(방송통신대 현대의서양문화A형)모더니즘 건축 이론과 포스트모더니즘 건축 이론이 발전하는(...
현대의서양문화 A형, 모더니즘 건축 이론과 포스트모더니즘 건축 이론이 발전하는(발전한) 역...
(2020 2학기 방통대 경영학과 중간고사) 현대의서양문화-A형, 모더니즘 건축 이론과 포스트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