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우리나라 노노케어 프로그램 조사하기
가.프로그램 목적 및 대상,프로그램 운영 주체
나.프로그램의 세부내용
다.기대효과
라.프로그램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
출처
가.프로그램 목적 및 대상,프로그램 운영 주체
나.프로그램의 세부내용
다.기대효과
라.프로그램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
출처
본문내용
뒤 부모님 세대를 부양하고 책임질 때 사용할 수 있는 좋은 사례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충청북도와 같이 시와 군이 분리되어 있고, 도시와 비도시 간 인프라, 서비스 그리고 활용자원의 격차가 큰 지역에서 9988 행복지키미 사업이 이러한 격차를 해소하는데 적절한 도움을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9988 행복지키미 사업과 같은 노노케어 프로그램이 단순히 관심연령층을 떠나서 사회적으로 관심을 더 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대표적으로 유튜브와 인스타그램 등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를 이용하여, 노노케어 프로그램을 시각적인 측면에서 대대적으로 홍보하고 더 많은 노인 계층의 유입과 비 노인 계층의 관심을 이끌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단순히 노노케어 프로그램이 관련 대상자, 노인계층에 국한된다면, 이러한 긍정적인 정책사업도 주류의 관심에서 멀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한다. 노인이라는 사회적 비주류 계층의 정책사업을 설명하면서, 우리 사회가 고령화 사회를 직접적으로 준비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본인도 보고서를 쓰기 전까지 노노케어 프로그램의 운영목적 및 방법 그리고 노노케어 프로그램의 다양한 종류에 대해서 잘 모르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좋은 취지의 사회적 복지 프로그램은 시청 및 구청 그리고 대한노인회 차원에서 더 홍보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단순히 노인층을 위한 프로그램이라고 해도 이러한 프로그램을 인지할 수 있는 연령층이 다양해져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노인복지 프로그램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전반적으로 높아진다면 9988 행복지키미 사업과 같은 노노케어프로그램이 더 많이 발굴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해본다. 정답은 멀리 있지 않고 가까이 있다. 노노케어 프로그램을 9988 행복지키미와 같이 창의적이면서 현실에 적합한 모델을 더욱 개발하여 고령화 및 초고령화 사회를 대비해야 할 것이다.
출처
염지혜.(2016).노노(老老)케어의 빛과 그늘: 서비스 제공자와 수혜자의 경험을 중심으로.노인복지연구,71(2),270-271.
김혜경. (2007). 재가 요보호노인 가족케어자의 부양부담에 관한 연구 - 노노(老老) 케어자와 일반 케어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 노인복지연구, 37(0), 49-65
김학실. (2017). 공동체 기반 서비스 공동생산(co-production)에 관한 연구 - 충북의 `9988 행복`지키미`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보, 26(2), 80-81
출처
염지혜.(2016).노노(老老)케어의 빛과 그늘: 서비스 제공자와 수혜자의 경험을 중심으로.노인복지연구,71(2),270-271.
김혜경. (2007). 재가 요보호노인 가족케어자의 부양부담에 관한 연구 - 노노(老老) 케어자와 일반 케어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 노인복지연구, 37(0), 49-65
김학실. (2017). 공동체 기반 서비스 공동생산(co-production)에 관한 연구 - 충북의 `9988 행복`지키미`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보, 26(2), 80-81
추천자료
노인케어 분야에 관한 조사
[간호학]노인 장기요양보험제도
[지역사회복지기관 평가] 사회복지평가의 배경과 절차
[지역사회복지기관 평가] 사회복지사업 평가의 개념과 도입배경 및 현황
[지역사회보호] 지역사회보호의 개념과 특징, 필요성, 방법, 외국(영국, 일본)과 우리나라(한...
노인케어
목적은 우리나라에서 시행하고 있는 노노케어프로그램이 어떤 종류가 있는지 그 내용은 어떠...
방송통신대학교/우리나라 노노케어 프로그램/우리나라에서 시행하고 있는 노노케어프로그램이...
[ 사회문제론 ) 한국사회에서 돌봄과 육아의 문제가 사회문제로 받아들여지게 된 역사는 길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