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평 ) 영국 모더니즘 비평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비평 ) 영국 모더니즘 비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블룸즈버리 그룹의 탄생과 회화
(2) 오메가 공방
(3) 프라이의 형식주의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율성을 주장하며 구조적 형태로 규명되고 통합되는 것이 훌륭한 미술작품이라고 여겼다. 심리상태의 묘사나 그림의 주제, 어떠한 장면의 재현 등은 비본질적 요소들로서, 제거해야 할 대상이었으며 그 결과 회화적 요소들이 맺는 관계인 형식만이 남았던 것이다. 이와 같은 형식의 강조는 영국 모더니즘 회화의 대표적인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가 주장한 예술의 절대적 자율성은 그의 이론 체계가 완성되어 갈수록 점차 포기되었는데 회화가 지니는 형식적 요소가 일단 우리에게 수용되면 물질 세계에 대한 인간의 인식에 의해서 이해되기 때문이다.
결론
로저 프라이는 블룸즈버리 그룹을 이끌며 영국에 모더니즘이라는 새로운 바람을 일으켰다. 특히 그는 형식주의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밝히며 당시 예술계에서 대립각을 세우던 관전파와 모더니스트 사이에서 모더니스트의 입장을 지지하며 영국 모더니즘의 대표적 인물이 되었다. 형식을 바탕으로 조형 요소가 지니는 미학 그 자체를 추구하고 예술의 자율성을 확보했다는 점에 있어 영국 모더니즘이 미술사에 지니는 가치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사회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형성되는 가치판단, 아름다움에 대한 이해, 도덕적 판단을 배제하였을 때 경험되는 미학적 즐거움은 그야말로 근본적인 ‘미’ 그 자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고에서 살펴보았듯이 형식주의가 견지하는 예술의 자율성은 논리상 모순이 발생하는데, 여러 요소가 회화 상으로는 형식적 요소에 해당하더라도 이것이 인간에 의해 경험되는 순간 심리적인 요소와 결합하는 것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엄격하게 평면의 이차원적인 조형 요소만으로 표현되는 작품이더라도 인간의 심리과정을 거쳐 처리되며 삼차원의 환영과 공간의 재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또한, 형식주의를 중심으로 하는 모더니즘이 주장하는 바를 회화에서 실현하기 위해서는 표현의 제약이 수반되었다는 점, 영국의 모더니즘을 이끌었던 로저 튀김, 블룸즈버리 그룹이 영국 상류층에 속하여 자유로운 세계를 향한 그들의 욕망을 실현하기에는 현실적인 제약이 매우 컸다는 점 등은 영국 모더니즘이 지니는 한계라고 할 수 있다.
출처 및 참고문헌
월간미술. 세계미술용어사전. 서울: 월간미술, 1999.
전영백. \"영국의 형식주의 비평과 블룸즈버리(Bloomsbury) 그룹의 모더니즘 작품 연구.\" 美術史學 17.- (2003)
미술대사전 편찬위원회. 미술대사전. 서울: 한국사전연구사, 1998.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2.08.03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52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